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하시 사야도의 담마짝까 법문

마하시 사야도의 담마짝까 법문

(초전법륜경 해설)

마하시 사야도 (지은이), 비구 일창 담마간다 (옮긴이), 우 소다나Sodhana 사야도 (감수)
불방일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하시 사야도의 담마짝까 법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하시 사야도의 담마짝까 법문 (초전법륜경 해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95685097
· 쪽수 : 529쪽
· 출판일 : 2019-05-08

목차

약어 | 16
일러두기 | 18
마하시 사야도 일대기 | 19
마하시 사야도 『담마짝까 법문』 제8쇄 발간사 | 25
서문 | 28

제1장 1962년 음력 8월 그믐
법문을 시작하며 | 46
경의 서문 | 48
설한 시기 | 49
세 가지 서문 | 51
출가하기까지 | 53
보살과 세속의 영화 | 53
저열한 구함 | 54
거룩한 구함 | 54
보살의 출가 | 58
스승을 찾다 | 59
알라라에게 가다 | 59
알라라 선인에게서 방법을 배우다 | 60
매우 힘이 되고 만족할 만한 말 | 62
자기가 먹지 못할 약을 다른 이에게 주어선 안 된다 | 62
올바르게 숙고하는 모습 | 63
높여줄 것은 높여주는 것이 스승의 의무 | 63
우다까 수행자에게 가다 | 65
우루웰라 숲에서 고행하다 | 67
세 가지 비유 | 68
마음을 마음으로 제압하는 고행 | 69
들숨날숨을 참아 숨 없는 선정에 들다 | 72
음식을 먹지 않는 고행 | 73
마라 천신이 유혹하며 말하다 | 74
붓다가 되다 | 78
바르게 반조하는 지혜가 생겨나다 | 78
어릴 때 초선정을 얻은 모습 | 79
음식을 다시 수용하다 | 81
오비구들 떠나다 | 82
붓다가 되다 | 83
고행이 자기학대에 포함된다는 사실 | 87
초전법륜을 설하시다 | 89
법을 처음 설하기 위해 숙고하시다 | 89
7일 일찍 죽어서 도과를 놓쳐버리다 | 91
하루 일찍 죽어서 도과를 놓쳐버리다 | 92
법을 처음 설하기 위해 가시다 | 94
우빠까 나체외도와 만나다 | 94
잘못에 집착하면 진리를 안 믿는다 | 99
오비구가 있는 곳에 도착하다 | 100
법을 듣도록 청하고 격려하다 | 101
「담마짝까숫따」의 가르침 | 106
출가자는 양극단을 의지해선 안 된다 | 106
중도실천 | 110

제2장 1962년 음력 9월 상현의 8일
양극단 | 114
성전과 의미 | 114
출가자는 양극단을 의지해선 안 된다 | 114
두 가지 극단부분 | 115
감각욕망쾌락의 탐닉에 몰두하는 것 | 117
감각욕망을 즐기는 것은 저열하다 | 118
감각욕망을 즐기는 것은 통속적이다 | 119
감각욕망을 즐기는 일은 범속하다 | 121
감각욕망 몰두는 거룩한 성자들의 실천이 아니다 | 121
감각욕망 몰두는 진정한 이익과 관련없다 | 122
재가자는 감각욕망에 의지해도 되는가 | 124
스스로를 힘들게 하는 실천 | 126
스스로를 힘들게 실천하는 모습 | 127
자기학대 실천은 고통일 뿐이다 | 131
자기학대 실천은 불이익과만 관련된다 | 131
자기학대를 잘못 견지하는 모습 | 133
행복함과 괴로움을 관찰하면 안 된다고까지 견해가 잘못된다 | 136
어떤 재가 수행지도자의 견해 | 137
중도실천의 이익 | 140
양극단에서 떠나도록 실천하는 모습 | 145
눈과 지혜를 생겨나게 하는 모습 | 146
번뇌를 잠재우는 모습 | 155
특별한 지혜로 아는 모습 | 159
꿰뚫어서 아는 모습 | 161
열반을 실현하는 모습 | 162
성스러운 도 구성요소 여덟 가지 | 166

제3장 1962년 음력 9월 보름
팔정도 상설 | 172
바른 말 도 구성요소 | 173
바른 행위 도 구성요소 | 176
바른 생계 도 구성요소 | 177
바른 노력 도 구성요소 | 180
바른 새김 도 구성요소 | 185
팔정도를 자세하게 설하셨는가 | 188
위빳사나 새김을 생겨나게 하려면 | 190
위빳사나 찰나삼매 | 191
현재법을 관찰해야 진짜 통찰지가 생겨난다 | 193
새김확립이 포함되지 않으면 통찰지가 생겨나지 않는다 | 194
바른 삼매 도 구성요소 | 196
성전과 의미 | 196
선정을 얻지 못하면 위빳사나 관찰을 해선 안 된다는 주장 | 197
세 종류의 삼매 | 199
바른 견해 도 구성요소 | 201
성전과 의미 | 201
업 자산 정견 | 203
닦아야 할 삼단 도 요소 | 207
바른 생각 도 구성요소 | 219

제4장 1962년 음력 9월 하현의 8일
사성제 | 224
괴로움의 진리 | 224
성전 검증 | 224
성스러운 진리 네 가지 | 230
괴로움의 진리 | 231
괴로움의 진리 법체 | 232
(1) 태어남이라는 괴로움 | 232
(2) 늙음이라는 괴로움 | 241
(3) 죽음이라는 괴로움 | 242
(4) 슬픔이라는 괴로움 | 243
(5) 비탄이라는 괴로움 | 244
(6) 고통이라는 괴로움 | 245
(7) 근심이라는 괴로움 | 246
(8) 절망이라는 괴로움 | 246
(9) 싫어하는 것과 함께함이라는 괴로움 | 247
(10) 좋아하는 것과 헤어짐이라는 괴로움 | 248
(11)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함이라는 괴로움 | 249
(12) 다섯 취착무더기라는 괴로움 | 250

제5장 1962년 음력 9월 그믐
생겨남의 진리 | 274
생겨남의 진리 개요 | 274
갈애의 성품 | 277
갈애의 종류 | 323

제6장 1962년 음력 10월 보름
소멸의 진리 | 336
도의 진리 | 345
바른 견해 | 347
들어서 아는 지혜도 필요하다 | 354
도 구성요소를 닦는 모습 | 358
지혜라는 바른 견해가 생겨나는 모습 | 360
관찰할 때마다 팔정도가 포함되는 모습 | 365
위빳사나 지혜로 네 가지 진리를 아는 모습 | 372
성스러운 도의 지혜로 네 가지 진리를 동시에 알고 보는 모습 | 374
위빳사나도 소멸에 이르게 하는 도에 포함된다 | 376

제7장 1963년 음력 2월 보름
3전 12행상 | 380
괴로움의 진리 | 380
괴로움의 진리에 대한 진리 지혜 | 380
괴로움의 진리에 대한 역할 지혜 | 390
괴로움의 진리에 대한 완수 지혜 | 394
생겨남의 진리 | 399
생겨남의 진리에 대한 진리 지혜 | 399
생겨남의 진리에 대한 역할 지혜 | 404
생겨남의 진리에 대한 완수 지혜 | 409
소멸의 진리 | 412
소멸의 진리에 대한 진리 지혜 | 412
소멸의 진리에 대한 역할 지혜 | 413
소멸의 진리에 대한 완수 지혜 | 415
도의 진리 | 416
도의 진리에 대한 진리 지혜 | 416
도의 진리에 대한 역할 지혜 | 419
도의 진리에 대한 완수 지혜 | 423
성스러운 도의 순간에 네 가지 진리를 동시에 아는 모습 | 426

제8장 1963년 음력 3월 보름
붓다의 지위를 선언하시다 | 430
붓다의 지위를 선언하지 않으셨던 모습 | 430
붓다의 지위를 선언하시는 모습 | 434
끝맺는 말씀 | 436
숙고할 점 | 439
실천 방법을 직접 설하신 것이 없다 | 439
법문을 듣는 대중들이 특별한 법을 얻는 모습 | 440
결집 기록 | 444
꼰단냐 장로에게 법안이 생겨나다 | 445
성전과 의미 | 445
법문을 들으면서 꼰단냐 존자가 특별한 법을 얻는 모습 | 446
도의 순간에 때나 더러움이 사라지는 모습 | 448
위빳사나로 가능한 제거해야 도의 지혜가 번뇌의 뿌리까지 제거한다 | 449
위빳사나 지혜에서 도의 지혜가 생겨난다 | 450
도의 대상인 열반은 모든 물질·정신이 소멸한 성품 | 453
설한 법을 이해하는 것만으로 도의 지혜가 생겨나는 것 아닌가 | 455
천신과 범천들이 찬탄하는 모습 | 456
“그 순간에”라는 구절에 대해 | 459
대지의 진동과 광채가 나타나다 | 460
부처님께서 감흥어를 읊으시다 | 461
안냐시꼰단냐가 비구가 되길 청하는 모습 | 462
성전과 대역 | 462
전통을 버리기는 쉽지 않다 | 463
“법을 보게 되어”라는 등의 덕목을 갖추는 모습 | 464
찟따 장자와 나따뿟따 | 468
매우 존경할 만하다 | 469
에히 빅쿠로 비구가 되는 모습 | 471
초전법륜, 그 후 | 472
초전법륜을 듣고 특별한 법을 얻은 이들 | 472
노력하고 나서야 특별한 법을 얻게 된 모습 | 473
교법의 시작부터 체계적으로 노력하고 보호하는 모습 | 474
듣는 것만으로는 되지 않고 수행해야 한다 | 482
왑빠 존자 등이 노력하는 모습 | 483
부처님을 포함 아라한 여섯 분이 출현하시다 | 485

부 록
「담마짝까숫따」 빠알리어와 해석 | 488
삼장의 구성 | 508
상윳따 니까야의 구성 | 510
칠청정과 위빳사나 지혜단계 | 512
빠알리어의 발음과 표기 | 514

역자후기 | 518
참고문헌 | 521
찾아보기 | 524

저자소개

마하시 사야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얀마 제6차 결집의 질문자이자 최종결정자의 역할을 담당하였던 교학과 수행의 고승, 1957년에 악가마하빤디따(최승대현자) 칭호를 수여받았음. 미얀마의 세이쿤에서 출생하여 1916년에 사미계, 1923년에 비구계를 수지하고, 1931년에 밍궁 제따완 사야도에게 위빳사나를 배워 현재 유행하는 마하시 위빳사나의 연원이 되었다.
펼치기
비구 일창 담마간다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96년 서울대 화공과를 졸업하고 해인사 백련암에서 원융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범어사 강원을 졸업하였고 2000년과 2005년 두 차례 미얀마에 머물면서 미얀마 어와 빠알리 어 등을 공부하고 찬매 센터, 파옥 센터, 마하시 센터 등에서 수행하였다. 현재 진주 녹원정사에서 초기불교에 대해 정기적으로 강의를 하고 있으며, 한국마하시선원에서 지내며 우 소다나 스님의 통역을 도와드리고 있다. 저서로 『부처님을 만나다』, 역서로 『위빳사나 수행방법론』(전2권) 등이 있다.
펼치기
우 소다나Sodhana 사야도 (감수)    정보 더보기
1957년 미얀마 머그웨이 주에서 출생하여 1972년에 사미계, 1979년에 비구계를 구족하였다. 1992년에 담마짜리야 법사 시험에 합격하였고 잠시 몽유아 조티카 빨리 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95년에 마하시 수행센터에서 수행한 뒤 외국인 법사학교에서 5년간 수학하였다. 그 후 마하시 수행센터에서 수행지도 법사로 수행자를 지도하다 2002년에 처음 한국에 왔다. 2007년 8월부터 한국마하시선원 선원장으로 지내며 경전과 아비담마를 강의하고 있으며, 강릉 인월사 등에서 위빳사나 수행을 지도하고 있다. 2013년에 양곤 마하시 수행센터 국외 나야까 사야도로 임명되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