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95685097
· 쪽수 : 529쪽
· 출판일 : 2019-05-08
목차
약어 | 16
일러두기 | 18
마하시 사야도 일대기 | 19
마하시 사야도 『담마짝까 법문』 제8쇄 발간사 | 25
서문 | 28
제1장 1962년 음력 8월 그믐
법문을 시작하며 | 46
경의 서문 | 48
설한 시기 | 49
세 가지 서문 | 51
출가하기까지 | 53
보살과 세속의 영화 | 53
저열한 구함 | 54
거룩한 구함 | 54
보살의 출가 | 58
스승을 찾다 | 59
알라라에게 가다 | 59
알라라 선인에게서 방법을 배우다 | 60
매우 힘이 되고 만족할 만한 말 | 62
자기가 먹지 못할 약을 다른 이에게 주어선 안 된다 | 62
올바르게 숙고하는 모습 | 63
높여줄 것은 높여주는 것이 스승의 의무 | 63
우다까 수행자에게 가다 | 65
우루웰라 숲에서 고행하다 | 67
세 가지 비유 | 68
마음을 마음으로 제압하는 고행 | 69
들숨날숨을 참아 숨 없는 선정에 들다 | 72
음식을 먹지 않는 고행 | 73
마라 천신이 유혹하며 말하다 | 74
붓다가 되다 | 78
바르게 반조하는 지혜가 생겨나다 | 78
어릴 때 초선정을 얻은 모습 | 79
음식을 다시 수용하다 | 81
오비구들 떠나다 | 82
붓다가 되다 | 83
고행이 자기학대에 포함된다는 사실 | 87
초전법륜을 설하시다 | 89
법을 처음 설하기 위해 숙고하시다 | 89
7일 일찍 죽어서 도과를 놓쳐버리다 | 91
하루 일찍 죽어서 도과를 놓쳐버리다 | 92
법을 처음 설하기 위해 가시다 | 94
우빠까 나체외도와 만나다 | 94
잘못에 집착하면 진리를 안 믿는다 | 99
오비구가 있는 곳에 도착하다 | 100
법을 듣도록 청하고 격려하다 | 101
「담마짝까숫따」의 가르침 | 106
출가자는 양극단을 의지해선 안 된다 | 106
중도실천 | 110
제2장 1962년 음력 9월 상현의 8일
양극단 | 114
성전과 의미 | 114
출가자는 양극단을 의지해선 안 된다 | 114
두 가지 극단부분 | 115
감각욕망쾌락의 탐닉에 몰두하는 것 | 117
감각욕망을 즐기는 것은 저열하다 | 118
감각욕망을 즐기는 것은 통속적이다 | 119
감각욕망을 즐기는 일은 범속하다 | 121
감각욕망 몰두는 거룩한 성자들의 실천이 아니다 | 121
감각욕망 몰두는 진정한 이익과 관련없다 | 122
재가자는 감각욕망에 의지해도 되는가 | 124
스스로를 힘들게 하는 실천 | 126
스스로를 힘들게 실천하는 모습 | 127
자기학대 실천은 고통일 뿐이다 | 131
자기학대 실천은 불이익과만 관련된다 | 131
자기학대를 잘못 견지하는 모습 | 133
행복함과 괴로움을 관찰하면 안 된다고까지 견해가 잘못된다 | 136
어떤 재가 수행지도자의 견해 | 137
중도실천의 이익 | 140
양극단에서 떠나도록 실천하는 모습 | 145
눈과 지혜를 생겨나게 하는 모습 | 146
번뇌를 잠재우는 모습 | 155
특별한 지혜로 아는 모습 | 159
꿰뚫어서 아는 모습 | 161
열반을 실현하는 모습 | 162
성스러운 도 구성요소 여덟 가지 | 166
제3장 1962년 음력 9월 보름
팔정도 상설 | 172
바른 말 도 구성요소 | 173
바른 행위 도 구성요소 | 176
바른 생계 도 구성요소 | 177
바른 노력 도 구성요소 | 180
바른 새김 도 구성요소 | 185
팔정도를 자세하게 설하셨는가 | 188
위빳사나 새김을 생겨나게 하려면 | 190
위빳사나 찰나삼매 | 191
현재법을 관찰해야 진짜 통찰지가 생겨난다 | 193
새김확립이 포함되지 않으면 통찰지가 생겨나지 않는다 | 194
바른 삼매 도 구성요소 | 196
성전과 의미 | 196
선정을 얻지 못하면 위빳사나 관찰을 해선 안 된다는 주장 | 197
세 종류의 삼매 | 199
바른 견해 도 구성요소 | 201
성전과 의미 | 201
업 자산 정견 | 203
닦아야 할 삼단 도 요소 | 207
바른 생각 도 구성요소 | 219
제4장 1962년 음력 9월 하현의 8일
사성제 | 224
괴로움의 진리 | 224
성전 검증 | 224
성스러운 진리 네 가지 | 230
괴로움의 진리 | 231
괴로움의 진리 법체 | 232
(1) 태어남이라는 괴로움 | 232
(2) 늙음이라는 괴로움 | 241
(3) 죽음이라는 괴로움 | 242
(4) 슬픔이라는 괴로움 | 243
(5) 비탄이라는 괴로움 | 244
(6) 고통이라는 괴로움 | 245
(7) 근심이라는 괴로움 | 246
(8) 절망이라는 괴로움 | 246
(9) 싫어하는 것과 함께함이라는 괴로움 | 247
(10) 좋아하는 것과 헤어짐이라는 괴로움 | 248
(11)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함이라는 괴로움 | 249
(12) 다섯 취착무더기라는 괴로움 | 250
제5장 1962년 음력 9월 그믐
생겨남의 진리 | 274
생겨남의 진리 개요 | 274
갈애의 성품 | 277
갈애의 종류 | 323
제6장 1962년 음력 10월 보름
소멸의 진리 | 336
도의 진리 | 345
바른 견해 | 347
들어서 아는 지혜도 필요하다 | 354
도 구성요소를 닦는 모습 | 358
지혜라는 바른 견해가 생겨나는 모습 | 360
관찰할 때마다 팔정도가 포함되는 모습 | 365
위빳사나 지혜로 네 가지 진리를 아는 모습 | 372
성스러운 도의 지혜로 네 가지 진리를 동시에 알고 보는 모습 | 374
위빳사나도 소멸에 이르게 하는 도에 포함된다 | 376
제7장 1963년 음력 2월 보름
3전 12행상 | 380
괴로움의 진리 | 380
괴로움의 진리에 대한 진리 지혜 | 380
괴로움의 진리에 대한 역할 지혜 | 390
괴로움의 진리에 대한 완수 지혜 | 394
생겨남의 진리 | 399
생겨남의 진리에 대한 진리 지혜 | 399
생겨남의 진리에 대한 역할 지혜 | 404
생겨남의 진리에 대한 완수 지혜 | 409
소멸의 진리 | 412
소멸의 진리에 대한 진리 지혜 | 412
소멸의 진리에 대한 역할 지혜 | 413
소멸의 진리에 대한 완수 지혜 | 415
도의 진리 | 416
도의 진리에 대한 진리 지혜 | 416
도의 진리에 대한 역할 지혜 | 419
도의 진리에 대한 완수 지혜 | 423
성스러운 도의 순간에 네 가지 진리를 동시에 아는 모습 | 426
제8장 1963년 음력 3월 보름
붓다의 지위를 선언하시다 | 430
붓다의 지위를 선언하지 않으셨던 모습 | 430
붓다의 지위를 선언하시는 모습 | 434
끝맺는 말씀 | 436
숙고할 점 | 439
실천 방법을 직접 설하신 것이 없다 | 439
법문을 듣는 대중들이 특별한 법을 얻는 모습 | 440
결집 기록 | 444
꼰단냐 장로에게 법안이 생겨나다 | 445
성전과 의미 | 445
법문을 들으면서 꼰단냐 존자가 특별한 법을 얻는 모습 | 446
도의 순간에 때나 더러움이 사라지는 모습 | 448
위빳사나로 가능한 제거해야 도의 지혜가 번뇌의 뿌리까지 제거한다 | 449
위빳사나 지혜에서 도의 지혜가 생겨난다 | 450
도의 대상인 열반은 모든 물질·정신이 소멸한 성품 | 453
설한 법을 이해하는 것만으로 도의 지혜가 생겨나는 것 아닌가 | 455
천신과 범천들이 찬탄하는 모습 | 456
“그 순간에”라는 구절에 대해 | 459
대지의 진동과 광채가 나타나다 | 460
부처님께서 감흥어를 읊으시다 | 461
안냐시꼰단냐가 비구가 되길 청하는 모습 | 462
성전과 대역 | 462
전통을 버리기는 쉽지 않다 | 463
“법을 보게 되어”라는 등의 덕목을 갖추는 모습 | 464
찟따 장자와 나따뿟따 | 468
매우 존경할 만하다 | 469
에히 빅쿠로 비구가 되는 모습 | 471
초전법륜, 그 후 | 472
초전법륜을 듣고 특별한 법을 얻은 이들 | 472
노력하고 나서야 특별한 법을 얻게 된 모습 | 473
교법의 시작부터 체계적으로 노력하고 보호하는 모습 | 474
듣는 것만으로는 되지 않고 수행해야 한다 | 482
왑빠 존자 등이 노력하는 모습 | 483
부처님을 포함 아라한 여섯 분이 출현하시다 | 485
부 록
「담마짝까숫따」 빠알리어와 해석 | 488
삼장의 구성 | 508
상윳따 니까야의 구성 | 510
칠청정과 위빳사나 지혜단계 | 512
빠알리어의 발음과 표기 | 514
역자후기 | 518
참고문헌 | 521
찾아보기 | 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