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97002144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1-09-17
목차
약어 | 16
일러두기 | 18
마하시 사야도 일대기 | 19
마하시 사야도의 『아낫딸락카나숫따 법문』 제6쇄 발간사 | 25
웩렉 마소예인 사야도 우 띳사의 서문 | 27
제1강
서문 | 44
경의 서문 | 45
설하신 시기 | 46
다섯 무더기는 무아다 | 49
물질은 무아다 | 49
자아라고 생각할 만한 물질 | 50
물질이 자아라면 | 52
물질이 괴롭히는 모습 | 53
??h?a의 의미 고찰 | 55
물질은 바라는 대로 되지 않는다 | 57
물질이 무아인 직접적인 이유 | 58
영혼자아와 절대자아 | 61
바까 대범천을 제도하시다 | 62
창조론의 시작 | 65
물질을 자아라고 집착하는 모습 | 66
자아집착 모습을 모르면 무아를 아는 모습도 확실치 않다 | 68
자아집착 네 가지 | 69
수다원에게 자아집착은 없어도 자만집착은 아직 있다 | 70
위빳사나 관찰을 하면서 무아 거듭관찰이 생겨나는 모습 | 73
제1강 역자 보충설명 | 79
제2강
느낌은 무아다 | 84
아비담마와 경전의 비교 | 86
느낌을 자아로 집착하는 모습 | 88
느낌이 자아라면 | 90
느낌이 무아인 직접적인 이유 | 92
느낌이 괴롭히는 모습 | 94
느낌은 바라는 대로 되지 않는다 | 96
사리뿟따 존자가 법을 얻는 모습과 수행하는 모습 | 102
디가나카숫따 | 108
느낌을 관찰해 염오한다 | 118
염오해서 도와 과의 지혜가 생겨난다 | 120
바른 말을 하는 이는 논쟁하는 것에 해당하지 않는다 | 121
사리뿟따 존자가 아라한이 되는 모습 | 122
제자의 모임이 열리다 | 123
제2강 역자 보충설명 | 126
제3강
인식은 무아다 | 130
인식이 자아라면 | 131
인식이 무아인 직접적인 이유 | 132
형성들은 무아다 | 140
부처님의 말씀과 정반대의 가르침 | 142
여기서의 형성 | 144
형성들이 자아라면 | 147
형성들이 괴롭히는 모습 | 149
형성들은 바라는 대로 되지 않는다 | 150
형성들이 무아인 직접적인 이유 | 151
관찰하면서 무아가 드러나는 모습 | 157
제3강 역자 보충설명 | 162
제4강
의식은 무아다 | 168
의식이 자아라면 | 169
의식이 무아인 직접적인 이유 | 171
의식이 괴롭히는 모습 | 172
의식은 바라는 대로 되지 않는다 | 174
조건이 있어야 결과가 생겨난다 | 176
사띠 비구 일화 | 179
바른 가르침의 요약 | 183
각각의 조건 때문에 각각의 의식이 생겨난다 | 188
땔감이 탈 때마다 새로운 불이 타오르듯 | 189
페나삔두빠마숫따 | 192
물질은 물거품과 같다 | 193
느낌은 물방울과 같다 | 197
인식은 신기루와 같다 | 200
형성은 파초와 같다 | 202
의식은 마술과 같다 | 206
보아서 아는 마음이 마술을 보이는 것처럼 알게 하는 모습 | 209
즉시 관찰할 수 있다면 단지 보는 것 등에만 멈춘다 | 212
제4강 역자 보충설명 | 216
제5강
무아특성 | 220
무아특성은 알기 어렵다 | 221
무상을 통해 무아를 설명하시다 | 223
괴로움을 통해 무아를 설명하시다 | 227
무상과 괴로움 두 가지를 통해 무아를 설명하시다 | 227
삿짜까 유행자가 논쟁을 제기하는 모습 | 228
다섯 무더기에서 벗어난 것이라고 주장하는 자아교리도 제거한다 | 242
항상한가 무상한가 등으로 문답하다 | 244
문답으로 물질에 대해 세 가지 특성 모두를 보이시다 | 244
왜 무상이라고 하는가 | 247
무상특성 89 | 252
무상 거듭관찰의 지혜 | 253
괴로움 두 가지 | 254
괴로움특성 | 256
괴로움 거듭관찰의 지혜 | 257
나의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갈애로 집착하는 것 | 259
나라고 생각하는 것은 자만으로 집착하는 것 | 260
나의 자아라고 생각하는 것은 사견으로 집착하는 것 | 261
제5강 역자 보충설명 | 266
제6강
문답으로 느낌에 대해 세 가지 특성 모두를 보이시다 | 274
세 가지 느낌을 사실대로 보는 모습 | 284
문답으로 인식에 대해 세 가지 특성 모두를 보이시다 | 287
문답으로 형성들에 대해 세 가지 특성 모두를 보이시다 | 291
문답으로 의식에 대해 세 가지 특성 모두를 보이시다 | 300
11가지로 분석해 무아 등으로 관찰하도록 설하시다 | 311
물질을 관찰하는 모습 | 311
제자들의 관찰 대상법 | 313
생겨나고 있는 것만을 시작으로 관찰해야 한다 | 314
‘나의 것이 아니다’와 무아라고 관찰하는 모습의 관계 | 316
수다원에게 무아라고 관찰하도록 지도하신 이유 | 318
물질을 세 시기로 관찰하는 모습 | 322
물질을 내부와 외부로 관찰하는 모습 | 326
물질을 거칠고 미세한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27
물질을 저열하고 수승한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28
물질을 멀고 가까운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29
제6강 역자 보충설명 | 333
제7강
느낌을 관찰하는 모습 | 336
느낌을 세 시기로 관찰하는 모습 | 338
느낌을 내부와 외부로 관찰하는 모습 | 342
느낌을 거칠고 미세한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44
느낌을 저열하고 수승한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45
느낌을 멀고 가까운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46
인식을 관찰하는 모습 | 347
인식을 세 시기로 관찰하는 모습 | 349
인식을 내부와 외부로 관찰하는 모습 | 352
인식을 거칠고 미세한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53
인식을 저열하고 수승한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53
인식을 멀고 가까운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54
형성들을 관찰하는 모습 | 355
형성들을 세 시기로 관찰하는 모습 | 358
형성들을 내부와 외부로 관찰하는 모습 | 361
형성들을 거칠고 미세한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62
형성들을 저열하고 수승한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62
형성들을 멀고 가까운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64
의식을 관찰하는 모습 | 365
계속된 생에서 마음이 생겨나는 모습 | 368
업 윤전과 과보 윤전을 통해 연기를 안다 | 370
의식을 세 시기로 관찰하는 모습 | 371
의식을 내부와 외부로 관찰하는 모습 | 375
의식을 거칠고 미세한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76
마음 거듭관찰에 따라 알고 보는 모습 | 377
의식을 저열하고 수승한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81
의식을 멀고 가까운 것으로 관찰하는 모습 | 382
제7강 역자 보충설명 | 385
제8강
염오의 지혜 등이 생겨나는 모습 | 389
위빳사나 지혜가 향상되는 모습 | 389
무상을 보면 염오의 지혜가 생겨난다 | 396
괴로움을 보면 염오의 지혜가 생겨난다 | 397
무아를 보면 염오의 지혜가 생겨난다 | 400
염오의 지혜 법체 | 404
열반을 바라는 데 진짜와 가짜 | 405
열반이 행복한 모습 | 405
열반을 내다보는 지혜 | 406
형성평온의 지혜 덕목_평온 관찰 덕목 세 가지 | 407
형성평온의 지혜 덕목_특별한 덕목 세 가지 | 413
출현인도 위빳사나가 생기는 모습 | 416
열반을 실현하는 모습 | 419
성스러운 도와 과의 지혜가 생겨나는 모습 | 421
아라한에게 반조의 지혜가 생겨나는 모습 | 423
법문을 끝내는 부처님의 말씀 | 426
결집 | 428
결집 기록 | 428
거룩한 아라한 여섯 분에게 예경하는 모습 | 431
결어와 서원 | 431
제8강 역자 보충설명 | 433
부 록
『아낫딸락카나숫따』 빠알리어와 해석 | 440
칠청정과 위빳사나 지혜들 | 454
마음부수 52가지 | 456
인식과정 | 460
물질 28가지 | 462
빠알리어의 발음과 표기 | 464
빠알리어에 대해 | 470
역자후기 | 472
참고문헌 | 475
찾아보기 | 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