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95695973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9-04-30
책 소개
목차
책 머리에 _ 대한민국 백 년의 시작
1부 민주공화제의 탄생 - 제국에서 민국으로
1장 그해 독립선언은 세 번이었다 _ 김태휘
첫 번째: 대한독립선언 | 쉽게 읽는 ‘대한독립선언서’ | 두 번째: 2·8독립선언 | 쉽게 읽는 ‘2·8독립선언서’ | 세 번째: 3·1독립선언 | 쉽고 바르게 읽는 ‘3·1독립선언서’
2장 민족 대표 33인과 이종교의 연합 _ 손안나
평등 세상을 꿈꾼 동학과 천도교 | 민족주의와 결합한 기독교 | 일본화에 대항한 불교 | 민족 대표에 유교와 천주교가 빠진 이유 | 변절한 민족 대표
3장 무너진 나라, 다시 세워진 나라 _ 김홍렬
무너져가는 나라 조선 | 대한제국의 희망은 물거품이 되고 | 대한으로 망한 나라, 대한으로 다시 흥하자 | 대한민국 임시헌장 | 새로운 나라 체제의 틀을 마련하다 | 임시정부의 지난한 시간들
4장 하나 된 임시정부, 민국을 꿈꾸다 _ 임정화
임시정부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다 | 대한국민의회: 노령정부 | 대한민국임시정부: 상하이임시정부 | 대한공화국임시정부: 한성임시정부 | 통합 임시정부가 출범하다
2부 맞서 싸우거나 야합하거나 - 독립운동의 사람들
5장 죽기를 각오하고 일제에 맞서다 _ 최강문
종교와 사상, 국내 항일운동의 중심에 서다 | 민족해방 앞에는 좌우가 없다 | 여성 계몽으로 시작한 항일 여성운동 | 무장 행동에 나선 사람들 | 김원봉과 의열단 | 김구와 한인애국단
6장 우리가 몰랐던 여성 독립운동가 _ 강선애
정정화, 한국의 잔 다르크 | 남자현, 독립군의 어머니 | 권기옥, 최초의 여성 비행사 | 박자혜, 간우회를 조직한 아기나인 | 동풍신, 북쪽의 유관순 | 김향화, 기생들의 만세 행렬 | 윤희순, 안사람 의병장 | 이화림, 이봉창과 윤봉길 의거의 조력자
7장 독립운동을 도운 대한외국인 _ 주보연
일제의 만행을 고발한 어니스트 베델 | 근대 교육의 선구자 호머 헐버트 | 3·1운동을 처음 외신 보도한 앨버트 테일러 | 가장 존경받는 선교사 프랭크 스코필드 | 임시정부 교통국 안동지부의 조지 루이스 쇼 | 대 이어 독립운동을 도운 조지 애쉬모어 피치 | 건국훈장을 받은 첫 프랑스인 루이 마랭 | 일본의 쉰들러 후세 다쓰지
8장 조선 귀족의 친일과 반일 그리고 항일 _ 한이수
서로 다른 길을 걸은 귀족들 | 왕족이 된 황족, 귀족이 된 매국노 | 친일과 반일로 갈라선 왕공족
표석 찾아보기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마침내 1919년 2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독립선언을 했다. 일명 ‘조선청년독립선언’이라고도 하는데, 3·1운동 전후에 발표된 독립선언서 중 2·8독립선언서는 학생들에 의해 작성되었다는 점과 3·1운동 발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_ ‘1장 그해 독립선언은 세 번이었다’의 <두 번째: 2·8독립선언> 중에서
기독교와 천도교의 연합이 시사하는 점은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서는 종교와 이념을 초월하여 협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교분리와 유일신을 따르는 배타적인 기독교의 교리 때문에 정치운동에 참여하는 것과 타 종교와의 연합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당시 천도교와의 연합을 놓고 일부 기독교 지도자들은 ‘죄악’이라고 비판했다.
_ ‘2장 민족 대표 33인과 이종교의 연합’의 <민족주의와 결합한 기독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