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6202385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8-05-2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산 좋고 물 좋은 자그마한 동네, 어두니골 8
1부 꽃이 피던 그때 그 시절
며느리와 시아버지가 싸우게 된 원인 ··풋고추석박김치 17
미역을 메고 오빠가 돌아왔다 ··미역국 22
이로 박박 긁어 먹다 ··우유 가루떡 27
공기 천 판 내기 결전의 날들 ··주먹밥 31
보솔산 수리취 누가 다 뜯어갈까? ··수리취떡 36
할머니의 누에 사랑 ··꽁치구이 41
멀리까지 나물 뜯으러 가는 날 ··곤드레밥 46
전나무 잎으로 살아난 팔불출 할아버지 ··전나무 물 52
나물 한 다래끼와 바꿔 먹는다 ··요술양념장 57
아이가 계란을 깨뜨려도 좋다 ··계란찜 62
고기 맛이 나는 맛있는 가루 ··미원국 66
산에서 나는 으뜸가는 자연 간식 ··송기 70
신랑이 제대하기 전에 한글을 배우자 ··삶은 감자 75
2부 동네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다
옥선이네 집에서 퉁소 소리를 듣다 ··강냉이냉죽 85
탄탄하고 씩씩하게 자란 찐돌이네 아이들 ··개구리구이 90
쌀보다 옥수수가 맛나네 ··풋강냉이기정 95
삼복더위에 여자들끼리 가는 피서 ··생떡 미역국 100
낮에도 맘 놓고 수영할 수 있는 옷 ··고얏국 105
아침에 따서 바로 요리해 먹다 ··첫물 고추무침 110
옥자는 많이 컸습니다 ··삶은 강냉이 114
영철이 아부지, 왜 호박잎을 안 먹어유? ··호박잎쌈 122
삼치라우 여울물을 타고 온 아이들 ··골뱅이죽 126
빠지직 빠지직 가재 씹는 소리 ··가재죽 131
동네에서 큰 솥단지째 끓여 먹던 죽 ··어죽 135
천렵꾼들이 모였습니다 ··쏘가리 회 140
어렵게 수확한 보리를 타작할 때 ··보리밥 147
꼬투리를 하나하나 까야 한다 ··파란콩 순두부 153
마낙쟁이가 된 큰오빠와 작은오빠 ··장어죽 161
3부 온 가족이 일을 하다
무슨 일을 하든 고비를 잘 넘겨야 한다 ··단풍들이 깻잎 169
집안에 큰소리가 나는 원인 ··꽃계란 174
하늘이 세상을 만들 때 그렇게 만들었단다 ··도토리밥 180
돌아서면 먹고 돌아서면 배 꺼지는 타작날 ··타작밥 185
바느질보다 미꾸리를 잡고 싶습니다 ··미꾸리찜 190
세 번째 큰 무로 뽑아오거라 ··고등어머리찌개 198
오늘 자네만 믿네 ··동동주 202
온 가족이 호박을 줍는 동안 ··연두색 호박국 210
모두 묵 쳐 먹고 가시길 바랍니다 ··도토리묵 214
노래자랑에 노란 원피스를 입고 나간 수희 ··전병 219
옥순이가 찾던 중앙청 꼭대기 같은 밥 ··밤밥 226
이밥에 채김치 넣고 양푼째 올리는 제사상 ··이밥 230
뱀이 밤한테 얻어맞고 나한테 달려들었어 ··삶은 밤 235
시누이와 올케가 열심히 만든 떡 ··추석 송편 240
도야지 내장국 먹는 보름 미리 잔치 ··돼지국밥 246
4부 한가한 날, 술 한잔 같이하다
둘은 구덩이 파고 여덟은 등 두드리는 거 ··꽁맨두 253
한바가지 할머니의 마지막 감자떡 ··나이떡 258
메밀로 만들어 콧등 치던 어머니 음식 ··꼴두국수 264
김장 날, 속을 데우기 위해 먹는 죽 ··배추 밑동죽 268
평생에 한번은 실컷 먹어보자 ··굴비구이 273
혼자 있을 새가 없는 일교 어머니 ··메밀 적 277
억부 어머니가 마음대로 먹을 수 있는 양식 ··미꾸리탕 286
고기는 눈 닦고 보아도 보이지 않습니다 ··밀만두 295
내 언제 한번 먹게 해주꾸마 ··총각무 동치미 302
그해 겨울은 고소했네 ··잣죽 307
촌스런 나물을 먹고 가는 대화 할머니 ··콩비지밥 311
어메는 어디 가고 언나들끼리 쌀을 빻나 ··절편 316
고추는 머리 쪽을 들고 먹어야 한다 ··콩죽과 고추 장아찌 321
대보름에 처녀들은 밤새 노래합니다 ··찰밥 326
백사를 잡았다고 소문냅시다 ··감기약 331
60년 만에 자유의 몸이 되다 ··팥죽 336
작가의 말 346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수희는 장날에 친구들과 전병을 사러 갔습니다. 난전에서 부치기 굽는 할머니한테 “할머니 옘병 좀 주세요.” 말이 헛나갔습니다. “이런 옘병할 놈의 간나들이 먹는 음식 가지고 옘병이라니. 예라 이 옘병할 년들.” 소금을 냅다 뿌립니다.
수희는 그 길로 돌아와 아무 가루나 있는 대로 풀어 전병을 만들어 먹게 되었습니다. 융통성이 얼마나 좋은지 어느 날은 나물도 무쳐 넣고 두르르 말아 온 식구가 출출할 때 오며 가며 하나씩 먹을 수 있게 잘도 만듭니다. 메밀가루는 없지만 밀가루에 도토리 가루를 섞었더니 까무스름한 것이 메밀전병 같습니다. 전병 속은 무츨 채칼에 쓱쓱 밀어 얼큰하게 무쳐 넣었습니다. 생채가 아삭아삭 씹히는 맛이 괜찮습니다.
-<노래자랑에 노란 원피스를 입고 나간 수희_전병> 중에서
누에 수매 날은 꽁치를 두어 드럼(두름) 사다가 꽁치 잔치를 합니다. 한 드럼은 스무 마리인데, 비료 포대로 싸고 새끼줄로 묶어서 사 가지고 옵니다. 보리가 날 때쯤 나오는 꽁치는 ‘보리꽁치’라 하여 특별히 더 맛이 있었습니다.
해가 중천에 있을 때부터 저녁 준비를 합니다. 마당에 멍석을 깔고 화롯불을 준비하고 싸릿가지도 준비합니다. (……) 상추와 배추 속고갱이 쌈도 준비해서 상을 차려놓고, 화롯불에 굼벙쇠를 올려 그 위에 싸릿가지를 총총히 놓고, 미리 씻어서 소금을 뿌려놓은 꽁치를 올려 굽습니다. 싸릿가지가 노랗게 익으면서 꽁치도 함께 익습니다. 한참 지나 싸릿가지가 타면서 구수한 향이 꽁치에 배어들어 맛있는 꽁치구이가 됩니다. 싸릿가지가 타면 새 가지로 바꿔서 올립니다. 참깨를 볶는 냄새보다 더 고소하면서도 구수한 냄새가 멀리까지 퍼져 나갑니다. 이웃집 고양이도 ‘양옹’ 하며 ㅤㅏㄹ려오고 개도 쫓아옵니다.
“이놈들아, 우리도 아직 밥 안 먹었다. 기다려라.”
-<할머니의 누에 사랑_보리꽁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