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9621165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9-10-0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부
新교육 패러다임의 시작
6월 30일, 김영민 과장, 상무의 호출을 받다 18
밀어붙이는 교육, 교실 안의 관광객 21
新교육 패러다임을 향해 24
쓰레기통에 버려지는 음식, 지식들 27
강력한 자성(磁性)을 가진 교육 29
‘진짜 자기’로 살게 되다 31
2부
역으로 접근하는 풀(Pull) 교육 패러다임
7월 2일, 되고자 하는 것이 없는 사람들 34
교육은 되고자 하는 걸 돕는 것: 김과장의 시(詩) 수업 38
존재가 바뀌니 동시에 바뀐 사고와 행동방식 42
학습은 지속적인 변화다 44
기존의 교육방식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다 46
가장 인간다운 교육: 시 쓰기 학습과 기존의 교육방식 간의 차이 49
부모로서 경험한 교육의 본질 52
자기주도학습: 지식과 생각이 무럭무럭 성장하다 56
지금의 동기유발 모델은 유용한가? 58
개인적인 청사진 없는 인생 그리고 교육 61
존재의미가 유발하는 내적 동기: 소명감 63
운영자 마음가짐에서 창조자의 마음가짐으로! 67
8월 20일 첫 번째 보고: 新교육 패러다임 69
ppt1: 학습은 지속적인 변화
ppt2: 사고와 행동을 바꿔주는 존재변화
ppt3: 교육은 ‘존재방식’을 창조하고 실현하는 것
ppt4. 성장 마인드세트와 교육
ppt5: Push 교육이냐, Pull 교육이냐
3부
터닝포인트를 만들어내는 계기(존재변화의 조건)
교육 출발점은 학습자의 감정 진단부터 104
무의식 욕구와 감정을 헤아리는 교육 106
터닝포인트를 만드는 다양한 계기 108
- 질문을 통한 터닝포인트
- 사랑의 힘을 통한 터닝포인트
- 기타 다양한 방식의 터닝포인트
터닝포인트를 스스로 만드는 법 112
준비된 우연? 그거 우연 아니야! 114
정신세계에도 작용하는 물리 법칙 118
주입식 교육은 컴퓨터에나 적절한 방식 121
9월 8일, 두 번째 보고: 어떻게 하면 존재변화가 일어나지? 122
정신의 면역작용을 극복하라 123
교육과정에서의 감정설계 126
코칭은 강렬한 감정의 터닝포인트를 만든다 130
터닝포인트라는 감정적 계기를 끌어내는 코칭질문 132
ppt1. 1단계) 교육은 ‘나’의 정체성을 파괴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ppt2. 2단계) 교육은 새 존재의미를 창조하는 것이다
ppt3. 3단계) 교육은 일과 삶의 연결점을 찾아주는 것이다
ppt4. 존재변화의 터닝포인트를 만드는 교육 첫날
ppt5. 존재변화를 위한 교육의 전체 절차
ppt6: 교육의 2개 모델: ‘성장모델’ vs. ‘질병모델’
4부
티핑포인트 없는 성장은 없다(인간성장 원리와 과정)
9월 12일, 두 딸의 갈등 156
후배의 실천을 코칭하다 160
질문의 힘 162
존재의미와 변화플랜이 작성되다 166
인간은 한순간에 급격히 성장한다 169
변화와 성장은 시간과 관심을 먹고 자란다 170
10월 2일, 세 번째 보고: 지속적인 진정한 변화를 가져오는 비결 173
ppt1: 변화는 S자 성장곡선을 거친다
ppt2. 교육은 변화관리다: 변화관리에 실패하는 이유
ppt3: 교육관리는 교육담당, 현장 리더, 교육생의 3자가 협업해야 한다
ppt4. 티핑포인트,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가져오는 핵심원리
ppt5. 티핑포인트의 3요소
ppt6. 교육의 진정한 마무리는 변화체득: 완전학습 루프
ppt7. 교육 성공은 터닝포인트와 티핑포인트의 결합이다
존재의미가 이끄는 삶 202
5부
인본주의 패러다임의 평가
10월 10일, 거부할 수 없는 의구심 206
커크패트릭의 평가가 과연 성인교육에 적절한가? 206
인본주의 패러다임의 평가방식을 창조하다 208
커크패트릭 1~3수준 평가는 과연 유효한가? 219
행동주의 vs. 인본주의 기반의 평가 221
11월 30일, 네 번째 보고: 평가는 어떻게 변해야 하지? 224
ppt1. 기존 교육과정개발 모델의 모순
ppt2. 커크패트릭 평가와 인본주의 평가의 비교
ppt3. 평가 개선안: 인본주의 평가
ppt4. 마인드-풀(Mind-Pull) 교육 절차(종합)
ppt5. 마인드-풀 교육의 기대효과
파일럿 테스트: 교육담당자와 현장 리더들을 학습코치로 변화시키다 259
에필로그: (1년 반 후) 교육연금술사, 김과장 262
저자소개
책속에서
장기적인 청사진 없이 고급 지식과 기술만 쌓는다면? 주위의 요구에 의해 자꾸 자아 정체성이 바뀐다면? 그 사람은 고유한 존재감을 잃고 내부가 텅 빈 공허함, 또는 반대로 아주 복잡한 혼란함을 느낄 것이다. 이것이 지금까지 자신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더 나아가서 평범하고 순종적이고 성실한 직장인들의 모습 아닐까? 그러기에 교육도 개인의 장기적인 삶의 실현을 도와주는 것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아무리 기업교육이라 해도 회사 성과에 기여하는 것만이 전부는 아닐 것이다. 직장은 인생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회사가 정한 인재상에 맞추라고 강조한다면, 개인의 청사진 없이 집을 지
으라고 하는 것과 똑같다. - 2부 <역으로 접근하는 풀(Pull) 교육 패러다임>
“원하는 존재방식으로 터닝을 한 다음에, 그 방향으로 교육생의 사고와 행동이 자연스레 끌리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풀(Pull) 방식이죠. 가슴 뛰는 미래의 존재방식이 현재의 나를 강하게 끌어당기는 겁니다. 그러니 과거의 푸시 패러다임과는 순서가 완전히 역으로 바뀌는 것입니다. 이런 풀 방식을 끌고 나가는 데 중요한 촉매요인은 미래를 열망하고 존재를 완성하려는 긍정적인 감정이죠. 접근동기입니다. 반면에 푸시 방식의 주요 감정은 외부 즉 교육담당자나 강사가 정해준 계획을 밀어내는 감정, 즉 회피동기입니다. 다시 말해서 이 두 패러다임의 큰 차이점은 푸쉬 교육은 마음이 채 끌리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을 시킨다’는 것이고, 풀 교육은 이미 마음이 충분히 끌린 상태에서 ‘스스로 학습하는 것을 지원’한다는 것입니다.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비교하면 행동주의 교육과 인본주의 교육의 차이라 하겠습니다.” - 2부 <역으로 접근하는 풀(Pull) 교육 패러다임>
내면의 소리를 듣는 것은 내 안에 있는 무의식의 욕구, 즉 ‘진짜 자기가 하는 말’을 잘 헤아리는 것이다. 내면의 소리를 억압하고 듣지 못하면 내 욕구와는 다른 일을 할 수도 있고, 일을 지속할 수 있는 감정적 에너지를 충전 받을 수도 없어 결국 불만족스러운 결론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성공의 지름길은 타인이 아닌 자신으로부터 긍정적인 감정을 계속 주입받는 일이다. 그리고 긍정적인 감정은 자기의 존재의미와 일치될 때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존재의미는 한 사람의 감정과 사고와 행동을 만족스럽고 일관성 있게 끌고 가는 삶의 지향성이다. - 3부, <터닝포인트를 만들어내는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