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91196269456
· 쪽수 : 410쪽
· 출판일 : 2018-09-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해설
편집인의 말
1. 남자들에 의한 원치 않는 모든 접촉으로부터 해방되기 위해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여성들의 저항, 1880-1914
사회정화운동│섹슈얼리티에 대한 페미니즘 사상│엘리자베스 울슨홈 엘미와 프랜시스 스위니│섹슈얼리티와 여성참정권운동
2. 케이트 밀렛의 성 정치학
40주년을 맞이하여
성 정치학의 중요성│성 정치학과 관련한 밀렛의 생애 및 저서│성정치학에 대한 반응│섹슈얼리티의 정치학│현대 포르노 산업│성 정치학 사장시키기│결론
3. 장애와 남자의 섹스 권리
도입│돌봄인과의 관계에서 원치 않는 또는 강압적인 섹스│여자 장애인의 성매매│장애 페티시│성매매와 남자 장애인의 성적 ‘요구’
4. 성산업과 비즈니스 관행: 여성 평등의 방해물
주요한 시장 부문으로서의 성매매의 성장│새로운 유리천장│성매매와 비즈니스 관행│남자 직원을 위한 네트워킹과 유흥│뇌물과 보너스│컨벤션과 컨퍼런스│여성 기회의 평등에 대한 성산업의 영향│성산업 이용이라는 성차별│직장 내 여성의 지위│성희롱의 정상화│여성 예속의 아웃소싱│결론
5. 성매매, 인신매매와 페미니즘
관점 없는 의견?│인신매매는 노동을 위한 이주로 여겨져야 한다?│성 도덕주의 비판: 몸 외면하기│여성 인신매매는 노예제인가?│결론
6. 트랜스젠더 운동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트랜스젠더리즘: 무엇이 새로운가?│인권침해│포스트모더니즘의 정당화│성전환자는 레즈비언일 수 있는가?│왜 레즈비언들이 성전환하는가?│퀴어 정치학│무엇을 해야 하는가?
7. 2004년 영국의 성별인정법 분석
법 제정의 발단│성별인정법에서의 섹스, 젠더, 트랜스젠더리즘│페미니즘과 성별인정법│결론
8. 화장실의 정치학
여성 공간을 '성중립화'시키는 운동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대응
트랜스젠더의 정의│‘젠더’는 성별을 지운다│젠더 ‘권리’와 여성전용 공간에 대한 공격│화장실의 성별 구분 철폐를 주장하는 퀴어 이론들│공공장소에서의 섹스│여자 화장실의 역사와 정치성│여성들의 안전│여자아이들에 대한 화장실 성폭력│여성전용 화장실과 여성의 존엄성 및 안전에 대한 권리│성전환에 대한 권장 사항│결론
9. 바디 아트와 사회적 지위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 절단, 문신, 피어싱
자해란 무엇인가?│자해에 관한 설명│대리자해│트랜스섹슈얼리즘│신체 개조 산업│신체 손상│신체 예술 이데올로기│몸에 관한 탈근대적 사상전환│예술로서의 신체 장식│장애와 바디아트│유해 문화로서의 자해
10. 레즈비언의 기이한 실종:
학계에서 섹슈얼리티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비즈니스 세계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남성중심 문화는 기업에서 정상의 자리에 오르는 여성 숫자를 감소시키는 유리천장의 주된 이유이다. 이것은 유리천장 연구에서 매우 잘 알려진 것으로, 네트워킹에서 여성 배제는 여성들이 승진하고 성공적인 경력을 쌓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 성산업을 통해 남성들은 사업, 전문 직종, 스포츠, 정치계 내에서 그들의 우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비즈니스 남성들이 스트립클럽을 이용하는 것은, 남성의 쾌락을 위해 나체로 서비스하지 않는 경우라면 존재일 뿐인 여성을 배제하고, 남성우월을 통해, 그리고 남성우월을 위해 남자들끼리 네트워킹할 권리를 보장하고자 하는 반격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업들은 분명하게 직원들의 성산업 이용을 금지하는 윤리강령 및 사회적 책임 정책을 도입함으로써 여성의 기회평등을 위한 문제에 대응해야 한다.
4장 ‘성산업과 비즈니스 관행’_여성 평등의 방해물
남자가 여성성을 찬양하는 의식은 사실 여성성의 사회적 강요로 인한 제한 때문에 고통을 겪은 여자들에게 모욕적인 것으로 느껴질 수 있다. 여자들에게 여성성은 전혀 자발적인 수행이 아니고 사회적 억압에 대해 굴복 또는 순종하는 행동양식이기 때문이다. ‘젠더’는 젠더를 가지고 ‘놀’ 수 없는 처지에 있는 대부분의 여자들의 삶에서는 단순한 ‘아이디어’ 차원이 아닌, 이를 훨씬 뛰어넘는 문제이다. 여자들에게는 여성적인 복장을 입는 것, 그리고 이에 연결된 실질적인 일(가사 노동, 성적인 일, 아이돌보기 등)을 수행하는 것에 경제적 생존, 심지어는 신체적 생존까지 달려있다. ‘젠더’가 성적 대상으로 보여지면서 가사 일까지 해내는, 그리고 종종 폭력과 학대를 당하는 것을 의미하는 현실에서 남자 게이들이 드랙을 열망하는 것을 여자들이 이해하기는 힘들다.
6장 ‘트랜스젠더 운동’_레즈비언 페미니스트의 관점에서
퀴어 정치학은 동성애의 소수자 위치를 받아들이고 이를 찬양한다. 이는 레즈비언 페미니즘과는 반대되는 정치학이다.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는 스스로를 역사를 초월해 열 명 중 하나, 혹은 스무 명 중 하나의 비율로 존재하는 소수자 집단으로 보지 않으며, 자유로운 여성의 모델로 본다.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는 이성애 주류 반대편에 있는 소수자로 받아들여지기보다 이성애 섹슈얼리티를 해체하고자 하며, 그 전략의 하나가 레즈비어니즘을 여성들이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장려하는 것이다.
10장 ‘레즈비언의 기이한 실종’_학계에서 섹슈얼리티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