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환경공학
· ISBN : 9791196278014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18-04-09
책 소개
목차
추천하는 글 :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5
여는 글 7
1장 빌 게이츠의 고민, 화장실
1│ 빌게이츠는 왜 화장실 때문에 고민에 빠졌을까? 12
2│ 화장실이 없으면 어떤 어려움이 있을까? 18
3│ 화장실이 없으면 신부도 없다? 23
2장 수세식 화장실과 화장실 혁명
4│ 수세식 화장실이 해답일까? 30
5│ 수세식 화장실은 어떤 한계를 가지고 있을까? 37
6│ 화장실 혁명의 선두주자를 공모합니다 45
7│ 이제 화장실 혁명은 완성된 걸까?
3장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적정 기술
8│ 소외된 사람들에겐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 56
9│ 적정 기술은 어떤 성과를 내고 있을까? 65
10│ 적정 기술의 성공 비결은 무얼까? 77
4장 지속가능한 화장실을 찾아서
11│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무엇일까? 86
12│ 지속가능한 화장실은 인류의 미래다 90
13│ 가난한 나라에는 어떤 화장실이 필요할까? 99
14│ 수세식 화장실의 한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기술들 110
맺는 글 120
캠페인 수세식 변기, 작은 물통을 이용해서 물을 절약해요 124
참고문헌 126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인간의 생명을 구하는 수많은 발명들이 개발도상국 사람들 곁에는 아예 다가가지 못하고 있다. 아니, 애초에 개발도상국 가난한 사람들의 상황을 염두에 두지 않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그들에겐 아무 소용이 없는 발명들도 많다. 지금 우리가 쓰는 수세식 화장실은 2백 년 전에 개발된 것이지만, 이런 화장실은 하수도 시설 등의 기간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은 세계 대부분의 지역들에는 보급될 수 없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결국 그런 지역들에서는 야외 배변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난다. 해마다 무려 150만 명의 아이들이 오염된 음식과 물 때문에 병에 걸려 목숨을 잃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들 가난한 사람들이 과학 발전의 1순위 수혜자가 되게 할 방안을 하나라도 더 찾아내야 한다.─ 2013년 4월, 빌 게이츠
그렇지만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실제로 화장실이 없으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제대로 된 화장실이 없이 살아야 하는 사람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게 될까? 위생의 문제로 인한 건강의 문제는 물론이요,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잠깐 살펴보자. 우선 분뇨를 깨끗하고 안전하게 처리하지 않은 채 아무 곳에나 버려두면 분뇨는 지하수나 강, 호수 등으로 스며들어 물을 오염시킨다. 우리는 오염된 물이라도 정화시켜서 깨끗한 물로 만들어 먹지만 가난한 지역에는 오염된 물을 정화할 수 있는 수처리 시설과 상수도망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런 열악한 환경에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거나 비싼 값을 치러야만 깨끗한 물을 구할 수 있다. 아무데나 방치되거나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분뇨는 병균이 번식하는 온상이 된다. 분뇨는 물을 오염시키고 오염된 물을 섭취한 사람은 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해마다 무려 340만 명이 오염된 식수로 인해 병에 걸려 사망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물 사용량은 280리터. 1인당 물 사용량 가운데 업무용 사용량을 제외한 1인당 가정에서 사용하는 물은 하루 약 180리터. 이 가운데 52퍼센트가 욕실에서 사용하는 물이고, 이 욕실 사용물 중 절반 이상이 수세식 변기에 사용하는 물이다. 하루 물 사용량의 약 4분의 1, 곧 45리터는 수세식 변기가 삼켜버린다....... 국민 한 사람이 하루에 쓰는 물의 양을 비교해보면, 아프리카 말리 사람은 평균 8리터, 잠비아 사람은 4.5리터에 불과하다. 우리는 날마다 귀한 자원인 물 45리터를 수세식 변기에 쏟아버리고 있다……. 선진화된 하수도가 보급된 도시에서는 수세식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분뇨는 다른 생활하수와 섞여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진다. 이곳에서 수질 기준에 맞게 처리한 후 공동 수역으로 방류한다. 하수처리장에서 많은 에너지가 들어갈 뿐 아니라, 하수처리장을 거쳐 나온 부산물들을 그대로 생태계로 내보내면 생태계가 오염되기 때문에 또 다시 많은 에너지를 들여 다시 처리해야 한다. 하수처리장은 엄청난 에너지를 먹는 하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