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6472979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3-01-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발달장애인#지원생활
1.1 지원생활이란?
1.1.1 지원생활의 시작
1.1.2 지원생활의 개념
1.1.3 지원생활 서비스 제공 원칙
1.1.4 지원생활의 오해
1.2 지원생활의 현장
1.2.1 영국 KeyRing의 지원생활 네트워크
1.2.2 호주의 지원생활 현장
1.3 지원생활의 과제
1.3.1 제도와 정책 과제
1.3.2 서비스 제공 과제
1.3.3 서비스 이용자 과제
2장. #노인#지역사회지속거주
2.1 지역사회 지속 거주 개념
2.1.1 익숙한 곳에서 나이 들기
2.1.2 장소 귀속감과 자기 통제력
2.2 국가별 지역사회 지속 거주 정책
2.2.1 미국
2.2.2 스웨덴
2.2.3 독일
2.2.4 일본
2.2.5 네덜란드
2.3 한국의 지역사회 지속 거주 정책 과제
2.3.1 정책 상황
2.3.2 노인 돌봄 서비스 확대와 통합적 전달체계
2.3.3 주거 대안 확대와 고령친화도시 조성
3장. #자립생활지원#주거우선
3.1 자립생활과 주거
3.2 주거우선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3.3 주거우선의 실천원리
3.4 주거우선의 효과성
3.5 주거우선의 과제
4장. #한국#지원주택
4.1 한국의 복지정책에서 지원주택 의미
4.2 한국의 지원주택 전개 과정
4.2.1 지원생활의 출현
4.2.2 서울시 지원주택사업 제도화
4.3 서울시 지원주택 사업 평가
4.3.1 지원주택 입주자 삶의 질 개선에 대한 양적 평가
4.3.2 지원주택 입주자의 자립생활에 대한 질적 평가
4.4 한국의 지원주택 정책 과제
4.4.1 지원주택 제도화를 위한 법적 기반 마련
4.4.2 적정한 양과 질의 주택 확보
4.4.3 주거유지지원서비스 제공 체계 구축
4.4.4 지원주택 정책과 운영을 위한 중간지원조직
5장. #자립생활#주거정책
5.1 주거약자를 위한 주거정책의 방향
5.1.1 공공임대주택에서 주거약자 고려
5.1.2 제한적 주택 개조 지원
5.1.3 지역사회 자립생활을 고려한 주거정책
5.2 유니버설 디자인의 주택 적용
5.2.1 주택에 적용할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
5.2.2 영국과 미국의 사례
5.2.3 적용 방안
5.3 보편적 주택 개조 지원
5.4 주거 이동 지원
5.5 지원주택
5.6 주거사정관
나가는 글, 모두의 주거를 위하여
주
참고
책속에서
이 책에는 자립생활과 주거에 대한 다섯 개의 글이 있다. 이념과 원칙에 대한 것부터 구체적인 정책 시도와 과제에 대한 것까지 포함하고 있다.
1장은 지원생활 개념을 다룬다. 발달장애인도 자기 집에서 각자의 욕구와 필요에 맞는 지원을 받으면서 자립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지원생활 모델이다.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지원생활 모델은 당사자의 결정권을 강화하면서 자립생활에 이르게 하는 개념적 모델이고, 이를 구현하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의 정책과 실천 프로그램으로 나타난다.
2장은 지역사회 지속 거주, 즉 AIG(Aging in Place)에 대한 것이다. 지역사회 지속 거주 개념은 노인들이 살던 곳에서 계속 생활할 수 있게 한다는 장소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에서부터 당사자의 통제력과 정체성이 결합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다섯 개 국가에서 실시된 정책 체계를 검토하고, 한국에서 돌봄과 주거 분야에서 고려해야 할 과제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