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내용 없는 아름다움

내용 없는 아름다움

(캘리그라피로 읽는 김종삼)

김종삼 (지은이), 이민호 (글), 오민준 (캘리그래피)
북치는소년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25,200원 -10% 0원
0원
2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내용 없는 아름다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내용 없는 아름다움 (캘리그라피로 읽는 김종삼)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야기/디자이너/디자인 실기
· ISBN : 9791196521288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0-04-25

책 소개

김종삼의 시세계에 머물렀던 독자에서 더 확장된 새로운 독자의 탄생을 의미한다. 김종삼 시의 아름다움은 ‘내용 없는 아름다움’이라는 절묘한 시구에 정수를 담고 있다. 시 「북치는 소년」의 한 행인 이 말은 쉽사리 이해할 수 없다.

목차

책을 내며 - 허락된 시간에 감사하며 살아갈 기적을 꿈꾼다
김종삼의 시와 삶 - 풍경의 배음과 문학적 저항

1부 – 소리 나지 않는 완벽

G·마이나, 「연대시집•전쟁과음악과희망과」, 자유세계사, 1957.
십이음계十二音階의 층층대層層臺, 『현대문학』, 1960. 11.
주름간 대리석大理石, 「현대문학」, 1960. 11.
음音, 「현대시」 제3집, 1963. 1.
단모음短母音, 「현대시」 제5집, 1963. 12.
샹뼁, 「신동아」, 1966. 1.
앙포르멜, 「현대시학」, 1966. 2.
배음背音, 「현대문학」, 1966. 2.
문장수업文章修業, 「현대한국문학전집 18·52인시집」, 신구문화사, 1967.
스와니강江이랑 요단강江이랑, 「현대한국문학전집 18·52인시집」, 신구문화사, 1967.
미사에 참석參席한 이중섭씨李仲燮氏, 「현대문학」, 1968. 8.
음악音樂—마라의 「죽은 아이를 추모追慕하는 노래」에 부쳐서, 「십이음계」, 삼애사, 1969.
아뜨리에 환상幻想, 「십이음계」, 삼애사, 1969.
시인학교詩人學校, 「시문학」, 1973. 4.
피카소의 낙서落書, 「월간문학」, 1973. 6.
올페, 「심상」, 1973. 12.
미켈란젤로의 한낮, 「문학과지성」, 1977. 봄.
최후最後의 음악音樂, 「현대문학」, 1979. 2.
내가 죽던 날, 「현대문학」, 1980. 4.
라산스카,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믿음사, 1982.

2부 – 주검의 갈림길도 없는

원정園丁, 「신세계」, 1956. 3.
전봉래全鳳來, 「연대 시집•전쟁과음악과희망과」, 자유세계사, 1957.
오월五月의 토끼똥·꽃, 「한국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사, 1961.
아우슈뷔치, 「현대시」 제5집, 1963. 12.
소리, 「조선일보」, 1965. 12. 5.
오五학년 일一반, 「현대시학」, 1966. 7.
지대地帶, 「현대시학」, 1966. 7.
묵화墨畵, 「월간문학」, 1969. 6.
돌각담, 「십이음계」, 삼애사, 1969.
두꺼비의 역사轢死, 「현대문학」, 1971. 8.
엄마, 「현대시학」, 1971. 9.
장편掌篇, 「월간문학」, 1976. 11.
아우슈비츠 라게르, 「한국문학」, 1977. 1.
민간인民間人, 「시인학교」, 신현실사, 1977.
기동차가 다니던 철뚝길, 「시인학교」, 신현실사, 1977.
앤니 로리, 「세대」, 1978. 5.
장편掌篇, 「문학과지성」, 1980, 여름.
소곰 바다, 「세계의문학」, 1980. 가을.
소공동 지하 상가,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민음사, 1982.
서시序詩, 「평화롭게」, 고려원, 1984.

3부 – 받기 어려운 선물

받기 어려운 선물처럼, 「연대 시집·전쟁과음악과희망과」, 자유세계사, 1957.
쑥내음 속의 동화, 「지성」, 1958. 가을.
드빗시 산장 부근, 「사상계」, 1959. 2.
부활절復活節, 「한국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사, 1961.
라산스카, 「현대문학」, 1961. 7.
라산스카, 「자유문학」, 1961. 12.
라산스카, 「현대시」 제4집, 1963. 6.
나, 「자유공론」, 1966. 7.
북치는 소년, 「현대한국문학전집 18·52인시집」, 신구문화사, 1967.
라산스카, 「신동아」, 1967. 10.
나의 본적本籍, 「본적지」, 성문각, 1968.
무슨 요일曜日일까, 「본적지」, 성문각, 1968.
물통桶, 「본적지」, 성문각, 1968.
유성기留聲機, 「현대시학」, 1974. 3.
따뜻한 곳, 「월간문학」, 1975. 4.
어부漁夫, 「시문학」, 1975. 9.
장편掌篇, 「시문학」, 1975. 9.
새, 「심상」, 1977. 1.
평범한 이야기, 「신동아」, 1977. 2.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민음사, 1982.

김종삼 시와 오민준의 캘리그라피에 대한 소고 - 김종삼의 시정詩情과 오민준의 서의書意
김종삼 연보 - 잔잔한 성하星河의 흐름

저자소개

김종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1년 4월 25일 황해도 은율에서 태어남. 평양 광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평양 숭실중학교를 거쳐 일본 동경 도요시마豊島 상업학교에 편입, 졸업하고 동경문화학원 문학과에 입학함. 해방이 되자 귀국 극예술협회 연출부에서 음악을 담당함. 1954년 『현대예술』 6월호에 시 「돌」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함. 『현대시회』 회원으로 시를 쓰며 『시극』 동인으로 각종 시극의 음악을 연출함. 1967년 동아방송 제작부에서 음악 연출을 담당하다 정년을 맞음. 1984년 12월 8일 간경화로 생을 마감. 경기도 송추 울대리 길음성당 묘역에 영면함. 제2회 현대시학 작품상(1971), 한국시인협회상(1978)을 수상함. 개인시집 『십이음계』, 『시인학교』, 『누군가 나에 물었다』, 시선집 『북치는 소년』, 『평화롭게』, 연대시집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 공동시집 『본적지』 등을 상재함.
펼치기
이민호 (엮은이)    정보 더보기
김종삼 시인을 사사하여 스스로 종삼주의를 선언하고 아름다운 시의 길을 여는데 뜻을 둔 후 1994년 『문화일보』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시를 쓰기 시작했으며 서강 대학교 국문과 대학원에서 “김종삼 시의 담화론적 연구”로 석사 학위를, “현대시의 담화론적 연구-김수영·김춘수·김종삼을 대상으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제 어문 학회』 등 각종 학회 이사로, 『한국 작가 회의』 이사로, 진보 문예 단 체 『리얼리스트 100』 운영 위원으로, 김수영 문학관』운영 위원으로 강단과 문단에서 일하고 있는 경험을 바탕 삼아 김종삼의 문학과 삶을 향유하고 선양하는 모임 『종삼포럼』을 세워 대표를 맡고 있다. 김종삼의 시를 고전 음악과 감상하는 모임 ‘종삼 음악회’를 분기마다 열고 있으며 출판사 ‘북치는소년’을 차려 김종삼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김종삼정집金宗三正集』, 『김종삼·매혹시편』, 『전쟁과 음악과 평화와』 등을 상재한 바 있다. 현재 한국예술원, 강원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김수영 연구회』 회장, 『김수영 기념 사업회』 상임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시집으로 『참빗 하나』, 『피의 고현학』, 『완연한 미연』, 『토포포엠_그 섬』, 평론집으로 『한국문학 첫 새벽에 민중은 죽음의 강을 건넜다』, 『도둑맞은 슬픈 편지』, 연구서로 『김종삼의 시적 상상력과 텍스트성』, 『흉포와 와전의 상상력』, 『낯설음의 시학』 등이 있다.
펼치기
오민준 (캘리그래피)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서예학과 학부와 대학원, 그리고일본의 다이토분카대학원에서 공부한 석학으로 서예의 엘리트 코스만을 거친 캘리그라피 1세대 작가며 현대서예가다.대학과 단체, 기관에서 100회 이상의 강연과 국내외에서 개인전 8회를 비롯해 300회가 넘는 그룹, 기획전시에 작품을출품할 정도로 이론과 실기를 겸비하고 있다. 서체의 생성및 변천과정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어 학위논문 모두 고대 금석문 연구로 받았으며 글꼴의 조형성과 작품에 대한 구성과 표현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캘리그라피 작가로서 대표적인 작업은 서울문화재단 공공미술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황학동 재래시장에 100개의 캘리그라피 작품을 설치했고, 국악 페스티벌 ‘여우락’, 윤동주 시노래극 ‘별을 스치는 바람’ 등 공연 무대영상 작업과 뮤지컬 ‘만덕’ 등 캘리그라피 디자인 사례가 있다. 또한 캘리그라피 질적 향상을 위해 『오민준, 캘리그라피를다시쓰다』, 『윤동주 그리고 오민준씀』의 저서와 「한국 캘리그라피의 현황과 전망」, 「21세기 한국서예의 방향과 모색」 등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진행한 과 에서 조사, 연구 집필에 참여했다. 현재는 (사)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 상임이사로 캘리그라피 문화발전을 위해 대외적인 활동과 예술의 전당 아카데미,오민준글씨문화연구실에서 후학들과 작가들을 양성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