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693488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03-20
책 소개
목차
prologue. 시민으로 늙으려면
1장 No人인가 Know人인가
1. 두 노인, 늙은이와 어르신
2. 새로운 노인, 액티브 시니어
3. 어떤 노인이 될 것인가
2장 새로운 노인상을 찾아서
1. 상이한 풍경의 비밀
2. 노인은 누구인가
3. 이제 선배시민이라 불러다오
3장 시민이라면 아파도 실패해도 괜찮아
1. 가족의 집에서 시민의 집으로
2. 보통 사람도 살 수 있는 공동체
3. 열심히 일한 당신, 소망한 것을 하라
4장 ‘나 때는’보다 ‘너 때는’에 귀 기울이는 선배
1. 이해하는 만큼 보인다
2. 차이가 편안히 드러나는 광장의 대화
3. 시민선배, 시민권을 조직하라
5장 노년에 부르는 자유의 노래
1. 인식론적 호기심과 Know人
2. 호모 폴리티쿠스와 공동체
3. 늙음의 자유와 죽음의 긍정
6장 내 공간에서 나답게
1. 마음의 변화: 돌봄의 주체로 권리의 실천을!
2. 행동의 변화: 소크라테스, 헬렌 켈러, 은발의 표범처럼
3. 존재의 변화와 호모 폴리티쿠스
epilogue. 철학은 엄격하게 실천은 유연하게
부록_선배시민론을 공부하며 만난 질문들
이 책을 만든 사람들
주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노인은 생계를 위한 빵과 더불어 의미 있는 존재로 인정받는 것, 즉 장미를 필요로 한다. 선배시민은 시민의 권리로서 빵을 요구하고 시민권 실천을 통해 권리로 빵을 얻어 노후에도 보통 사람으로 인간답게 살아야 한다. 시민권이 실현된 사회에서는 누구나 보통 사람으로 품위 있게 살 수 있다. 빵을 걱정하지 않는다면, 노인은 각자의 개성과 고유성을 드러내고, 더 나은 자신과 공동체를 위해 실천할 수 있는 조건을 확보한다. 이처럼 선배시민론은 노인이 권리로 빵을 얻어 노후에도 보통 사람으로 살면서 공동체를 위해 노력하는, 장미를 가진 존재가 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rologue. 시민으로 늙으려면」 중에서
선배는 또한 소통의 과정에서 권위주의적이지 않을 때 권위를 가질 수 있다. ‘너 몇 살이야? 나는 젊어도 보고 늙어도 봤는데, 너는 늙어봤어’라고 말하는 노인은 권위주의적인 노인이다. 늙어서 보이는 것도 있지만, 늙었기 때문에 보지 못하는 것도 있다. 국민학교에 다닌 세대는 초등학교에 다닌 세대를 이해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따라서 선배의 권위는 차이를 인정하고, 묻고 듣고 이해하고자 할 때 확보된다.
― 「2장 새로운 노인상을 찾아서」 중에서
최풍자 할머니는 노인복지관에 청소년들이 자원봉사를 하러 오자, ‘더 이상 우리를 돌볼 필요가 없다. 지역에 함께 나가보자’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소년들과 쓰레기가 버려 지고 있는 공터를 치우고 꽃밭을 가꾸기 시작했다. 최풍자 할머니는 자신을 선배시민이라고 인식하면서 후배시민과 공동체를 돌봐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제 돌봄의 대상이 아니라 돌보는 주체라는 인식을 갖게 된 것이다.
― 「6장 내 공간에서 나답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