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공학 일반
· ISBN : 9791196938581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목차
제 1편 공항에 도착하다
제 1장 발권에서 항공기 탑승까지
1. 항공여행의 시작, 공항
2. 항공권 발권과 수하물 부치기
3. 출입국 심사와 보안검색
4. 탑승 게이트에서의 마지막 검색
제 2장 공항의 주요 시설
1. 항공기의 안전사령탑, 관제탑
2. 하늘길의 시작, 활주로
3. 주기장과 유도로
4. 시계가 나쁠 때 항공기 착륙을 유도하는 계기착륙시설
5. 항공기에 불빛을 제공하는 항공등화시설
제 3장 공항의 안전 관리
1. 공항별 항공기상예보와 특보
2. 조류충돌을 막아라
3. 활주로 양측 15km 지점 이내,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
4. 공항 내의 소방구조대
제 2편 항공기에 탑승하다
제 4장 내가 탄 항공기는 얼마나 안전할까
1. 내가 탄 항공기의 기종과 성능은?
2. 항공기의 형식증명과 안전설계기준
3. 항공기의 안전을 위한 수백번의 시험평가와 제작증명
4. 항공기 운항의 최종 관문인 운항증명
5. 점검 또 점검… 이어지는 운항 적합성 증명
6. 최첨단의 정점에 서있는 항공기의 안전장치
제 5장 항공기가 더욱 궁금해진다
1. 비행기와 항공기가 다른가요?
2. 저 무거운 항공기는 대체 어떻게 날까
3. 정교함의 대명사, 항공기의 구조
4. 항공기의 개발사(史)
제 3편 항공기, 하늘을 날다
제 6장 이륙에서 착륙까지
1. 승객이 탑승하기 전 항공사는 무엇을 준비할까
2. 시동 및 활주로 이동
3. 이륙 및 상승단계
4. 순항단계
5. 하강 및 착륙 단계
제7장 내 목적지는 어떤 항로로 어떻게 갈까
1. 내가 탄 항공기의 항로
2. 우리나라의 항공공역은 얼마나 넓은가?
3. 항공기들의 전후 간격과 측면 간격
4. 항공기가 목적지까지 가는 방법
제 8장 항공 기상에 대처하는 방법
1. 바람이 많이 분다… 항공기가 뜰 수 있을까
2. 저시정 상태에서의 착륙
3. 난기류로 흔들리니 겁이 나지만
4. ‘벼락맞은 항공기’는 괜찮을까?
5. 착빙과 눈
6. 조종사는 구름의 양도 알아야 한다?
7. 기압과 온도
8. 화산재, 우박, 황사
제 4편 나의 소중한 생명을 지켜주시는 분들
제 9장 여러분들이 있어 우리는 편안한 여행을 할 수 있습니다
1. 조종사
2. 항공교통관제사
3. 객실 승무원
4. 항공정비사
5. 운항관리사
제 5편 안전한 하늘길을 위하여
제 10장 항공사고는 어떻게 예방하는가
1. 항공사고를 예방하는 사람들
2. 사고 예방 노력의 효과
3. 항공안전도 등을 고려한 세계 최고의 항공사는?
4. 사례를 통해 보는 항공안전관리의 우수성
제 6편 멋진 항공인이 되고 싶다면
제 11장 멋진 항공인이 되는 길
1. 조종사
2. 항공정비사
3. 관제사
4. 객실승무원
5. 운항관리사
6. ICAO 항행위원
제 12장 우리나라의 항공사(史)와 항공산업의 미래
1. 우리나라의 항공 역사
2.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위상
3. 항공산업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공항은 국가안보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곳이다. 공항에는 공항 운영기관을 감독하는 국토교통부를 비롯하여 수많은 정부기관이 상주하고 있다. 사실상 거의 모든 부처가 항공보안 및 국가안보를 위해 근무하고 있다. 그래서 공항은 ‘작은 정부’로도 불리운다.
관제탑은 하늘의 경찰이라고 불리우는 관제사가 근무하는 곳이다. 관제(管制)의 의미가 ‘관리하고 통제한다’는 뜻이니, 관제탑은 항공기의 운항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곳이다.
차량이 오가는 일반 도로에서는 작은 돌멩이나 이물질이 떨어져있더라도 이동수단의 운행에 큰 지장이 없지만, 공항 활주로에서는 치명적인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FOD(활주로 이물질) 수거를 위하여 특수차량과 10여명의 전담인력이 동원되어 활주로와 계류장 등 항공기가 상시 이동하는 전 지역을 매일 하루 4차례 6시간 간격으로 정기 점검을 실시하고, 관제기관이나 조종사 등이 요청할 경우 수시로 특별 점검을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