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7103544
· 쪽수 : 900쪽
· 출판일 : 2021-04-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i
서론
북학파에서 개화파로 3
메이지 유신의 성공 요인 5
중화 질서에서 근대 국제 질서로 가는 일본 9
친일개화파의 좌절 11
제1장 메이지 유신
1. 에도 시대의 정치 19
2. 에도 시대의 경제 28
3. 에도 시대의 사상과 교육 38
4. 외세의 출현과 바쿠후 체제의 모순 74
5. 나라의 새 중심: 천황 83
6. 「개국」과 그 여파 94
7. 바쿠후와 조슈, 사쓰마의 개방 정책 114
8. 존황양이파의 등장 130
9. 조슈와 사쓰마의 대립 134
10. 「나마무기 사건(1862)」 142
11. 「시모노세키 전쟁」과 「사쓰에이 전쟁」 146
12. 사쓰마의 쿠데타와 조슈의 역쿠데타 151
13. 「제1차 조슈 정벌」 157
14. 조슈의 내전 164
15. 「삿초동맹」 169
16. 마지막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 179
17. 「선중팔책」과 「대정봉환」 183
18. 「보신전쟁」 189
19. 「판적봉환」과 「폐번치현」 210
제2장 메이지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
1. 「이와쿠라 사절단」의 파견 배경 235
2. 「이와쿠라 사절단」의 여정 263
3. 메이지 유신 세력의 분열과 「정한론」 274
4. 조일 관계의 뇌관(雷管): 쓰시마 279
5. 기도 다카요시의 「정한론」 288
제3장 「중화 질서」에 도전하는 일본
1. 「청일수호조약」의 체결 300
2. 「기유약조 체제」의 해체 310
3. 류큐와 대만 문제 313
제4장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
1.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 330
2. 오쿠보 대 사이고 336
3. 「사가의 난」 349
4. 「일본의 비스마르크」, 오쿠보의 대외 정책 356
5. 오쿠보의 대만 정벌 360
제5장 후쿠자와의 「문명개화론」
1. 「문명개화론」의 기원 377
2. 후쿠자와의 삶 379
3.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와 「문명발전 단계론」 391
4. 미국의 지리 교과서와 『서양사정』 406
5. 버튼의 『정치경제』와 『서양사정 외편』 413
6. 과학기술 423
7. 저작권과 특허 429
8. 『문명론의 개략』 434
9. 『학문의 권장』 448
제6장 개국 아닌 개국: 「강화도 조약」
1. 고종의 새로운 대외 정책 458
2. 일본의 반응 462
3. 일본의 실력 행사: 「운요호 사건」 472
4. 다시한번 청의 의중을 떠보는 일본 479
5. 신헌과 구로다의 강화도 담판 488
6. 최익현의 도끼 상소 497
7. 「강화도 조약」 501
제7장 쇄국과 개국 사이에서
1. 「리델 신부 사건」 509
2. 「제1차 수신사」 김기수의 일본 방문 515
3. 사이고의 반란과 오쿠보의 암살 530
4. 표류하는 조선 541
5. 이홍장과 청의 「신(新) 조선 정책」 546
6. 조미수교 중재에 나서는 이홍장 555
제8장 개화파와 일본의 만남
1. 김옥균 562
2. 불교, 부산과 개화사상 568
3. 이동인의 일본 밀항 577
4. 「제2차 수신사」 김홍집과 황준헌의 만남 581
5. 김홍집과 이동인의 만남 590
제9장 급진 개국과 대미 수교
1. 고종의 개국 결정과 이동인의 밀사 파견 598
2. 「신사유람단」과 본격화되는 일본 배우기 612
3. 「조미수호통상조약」 619
4. 김옥균의 첫 일본방문 630
제10장 위정척사파의 반격과 청의 제국주의
1. 「영남만인소」와 「홍재학 상소」 641
2. 대원군의 반격: 「안기영 역모사건」과 「임오군란」 649
3. 청의 신제국주의 654
4. 「제물포 조약」과 청에 밀린 일본 663
5. 속국에서 직할령으로 669
6. 청의 간섭과 친청파의 개혁 674
제11장 친일개화파의 독립사상
1. 김옥균의 제2차 일본 방문 689
2. 후쿠자와 유키치와 조선의 개화파 697
3. 김옥균의 독립사상 707
4. 김옥균의 제3차 일본 방문 713
제12장 「갑신정변」과 친일개화파의 몰락
1. 「갑신정변」 전야 722
2. 거사 736
3. 청군의 개입 741
4. 「갑신정변」의 사후처리 744
5. 김옥균과 「친일개화파」의 말로 753
결론 757
주(註) 763
참고문헌 819
부록 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