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진보 길라잡이

진보 길라잡이

(한국에서 진보답게 살려면 알아야할 것들)

4.27시대연구원 (지은이)
도서출판 4.27시대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2,500원
0원
2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진보 길라잡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진보 길라잡이 (한국에서 진보답게 살려면 알아야할 것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7110603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20-07-22

책 소개

나라의 자주 민주 통일을 지향하는 진보의 입장에서 여러 분야의 기본 내용들을 소개하려고 노력한 책이다. 우리역사, 북 바로알기, 국제관계, 민중운동사, 노동, 농업·농민, 페미니즘, 심리학, 종교, 철학, 경제, 정치노선, 활동방법, 자연과학 등을 담았다.

목차

|추천사| 전문성을 갖춘 입문서… 그야말로 ‘길라잡이’ 되길
|원장 인사말| 우리 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결정하자 6
|글쓴이 인사말| 사색하며 뛰고, 뛰면서 사색하자! 8

○ 우리역사 [편집팀]
1. 역사공부와 우리 민족 바로알기18
2. 고대국가와 고조선 24
3. 중세국가 고구려 34
4. 우리 민족의 근대 39
5. 참고도서 및 인터넷 자료 50

○ 북 바로알기 [이정훈]
1. 들어가며 : “있는 그대로의 북을 보자” 54
2. 인민생활 56
3. 정치 59
4. 철학사상 62
5. 경제와 과학기술 67
6. 문화예술 70
7. 대미관계사와 통일전략 75
8. 현대사 79
9. 민족문제와 지식인 문제 81

○ 국제관계 [손정목•류경완]
1. 국제관계를 보는 진보적 관점 86
2. 미국의 군사패권질서 94
3. 미국의 경제패권질서 96
4. 미국 중심 세계질서에서 다극화 질서로 100
5. 추천자료 109

○민중운동사 [최기영]
1. 민중운동 역사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118
2. 진보정당운동사 122
3. 민주노동운동사 127
4. 농민운동사 132
5. 도시빈민운동사 137
6. 학생운동사 141
7. 통일전선운동사 145
8. 추천자료 149

○ 노동 [편집팀]
1. 들어가며 152
2. 산별노조운동의 쟁점과 과제 155
3. 노동자 정치세력화운동에 대한 평가와 과제 157
4. 비정규직 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159
5. 특수고용노동자는 노동자이다 161
6. 4차 산업혁명과 플랫폼노동 163
7. 재벌체제 개혁과 노동권 보장 165

○ 농업 농민 [한도숙]
1. 들어가며 170
2. 식량주권 174
3. 농민수당(농민기본소득) 177
4. 경자유전 179
5. GMO 식품 183
6. 농협 개혁 188
7. 세계무역기구(GATT, UR, WTO, FTA, PPT) 192
8. 통일쌀 198
9. 종자주권 201
10. 농민이 만드는 대안, 농생태학/운동 205
11. 여성농민 209
12. 농민권리선언 212

○ 페미니즘 [문현숙]
1. 프롤로그 218
2. 페미니즘 _역사 220
3. 페미니즘 _민족 232
4. 페미니즘 _계급 242
5. 페미니즘 _젠더 251

○ 심리학 [김태형]
1. 들어가며 262
2. 자본주의사회와 인간심리 264
3. 한국인의 심리 266
4. 정신건강과 심리치료 267
5. 주류 심리학 비판 268
6. 본격적으로 심리학 이론을 공부하려면 270
7. 마치는 말 272

○ 종교 [김성윤]
1. 종교운동의 필요성과 인식 전환 274
2. 종교 비판과 인식론 문제 276
3. 종교운동의 역사 282
4. 종교의 본질과 변혁성 문제 288
5. 종교사상과 변혁운동사상 개념의 상관성 문제 293
6. 종교의 실천방법론과 변혁운동의 사업방법론의 관계문제 294

○ 철학 [김동원•백철현]
1. 들어가는 글 298
2. 입문 300
3. 철학사 304
4. 맑스주의철학 312
5. 주체철학 324
6. 민족주의 332

○ 경제 [이승규]
1. 들어가며 338
2. 정치경제학 340
3. 주류경제학 342
4. 경제공황 347
5. 노동가치설 351
6. 맑스주의 정치경제학 355
7. 현대제국주의 358
8. 신자유주의 361
9. 다국적기업 368
10. 경제의 세계화 371
11. 비정규직노동자 373
12. 인플레이션 375
13. 미국식 금융방식 377
14. 저금리정책과 양적완화 380
15. 지식노동과 잉여가치이론 383
16. 맑스주의 정치경제학의 한계 386
17. 주체의 정치경제학 388

○ 정치노선 [이정훈]
1. 들어가며 : 한국 사회구조와 정치노선의 기본문제 392
2. 영·미식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추종노선 396
3. 사회민주주의 복지국가론 399
4. 사회주의적 대안 402
5. 자주적 민주주의 405
6. 통일문제와 정치노선 410
7. 유물사관의 한계와 정치노선 413

○ 활동방법론 [편집팀]
1. 들어가며 420
2. 지도(리더십 이론) 422
3. 사업체계와 방식 434
4. 사상사업 436
5. 조직활동 443
6. 전략과 전술 449

○ 과학시술과 21세기 산업혁명 [이정훈]
1. 들어가며 456
2. 양자역학 458
3. 양자컴퓨터 462
4. 우주, 다중우주 465
5. 인공지능 468
6. 뇌과학(신경과학) 474
7. 나노기술, 유전공학, 바이러스 477
8. 수소에너지와 핵융합 481
9. 빅데이터,블록체인 484

저자소개

4.27시대연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적인 4.27판문점선언을 실현하는데 기여하고자 2018년 7월21일 설립된 진보적 민간연구소이다. 자주 민주 통일을 지향하는 국내 진보단체들의 대표적인 논객들과 연구자, 해외연구자 40여명이 모여 한반도 평화, 번영, 통일 정책을 연구하고 대중화하고 있다. 2019년 7월 김정은 시대 북의 현주소를 알아보는 <북 바로알기 100문 100답(1)>에 이어 2020년 11월 북의 문화예술 분야를 소개하는 <다르고도 같은 북의 예술 이야기>를 출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 한국전쟁은 우리 민족 내부에 심각한 후유증을 남겼고, 참전세력들은 오늘날까지 휴전선을 중심으로 대치하고 있습니다. 결국 남북의 분할 경계선은 38선에서 정전협정상 휴전선으로 바뀌었으며,법률적으로 한반도는 일시적 정전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고 있는 여전한 ‘전시체제’입니다. 분단이 전쟁을 동반한 ‘분단 전시체제’로 전화된 것입니다. 우리는 단순히 ‘평화적 분단체제’에 사는 게 아니라 ‘분단 전시체제’에 살고 있습니다.
분단 전시체제는 남북 사회 모두의 정상적 발전을 저해하는 기본요소입니다. 즉 남과 북 모두 언제 다시 재개될지 모르는 전쟁에 대비하며 분리된 상태에서 경제개발과 건설을 진행합니다. 북이 사회주의에 분단 전시체제라는 비정상적 요인이 결합되어있다면, 남쪽 사회는 예속 기형 자본주의에 분단 전시체제라는 비정상적 요인이 추가된 것입니다. 분단 전시체제는 남녘에 반공 군사독재정권이 유지되는 정치적 기반이 되었고, 경제사회적으로는 민주주의를 압살할 뿐 아니라 군사비 등으로 국민 복지를 축소하는 근거로 작용하였습니다.
분단 전시체제의 종결, 즉 평화적이며 자주적으로 외세의 간섭 없이 우리 힘으로 통일 평화체제를 만들지 않는 이상 우리 민족은 남과 북 어디에 있든 항시적인 분단으로 인한 정치경제적 소모전과 언제 다시 터질지 모르는 전쟁 위협에 고통 받게 됩니다. 냉전의 해체 이후 미국 패권시대가 열리면서 남녘은 1990년대 이후부터 상대적으로 체제 위협을 덜 받게 되지만, 거꾸로 북녘은 미국으로부터 극도의 핵전쟁 위협과 위기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것이 90년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북미간 핵-미사일 공방의 배경입니다. 분단 전시체제는 한국인의 삶을 전쟁의 가치관으로 살게 만든 근본원인의 하나입니다. 단적으로 한국에서 유독 강하게 나타나는 ‘빨리빨리’ 문화, 효율속도 만능, 결과중시 문화는 자본주의의 속성이기도 하지만 전시 경쟁체제에 기반한 ‘속도경제’의 결과입니다. 이 전시 군사문화가 전근대적 관행 및 의식과 결합해 퇴행적인 노사문화 형성에 기여했음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이처럼 분단 전시체제는 전쟁 재발 가능성에 따른 전사회적 불안정과 두려움 등으로 남북의 모든 민족에게 거대한 그림자로 체제 내화되었습니다. 5,000년 같은 핏줄, 같은 언어, 같은 문화로 살아온 우리 민족이 외세의 농락으로 갈라져 원수처럼 살아갈 이유는 없습니다. 분단이 장기화돼 새 세대가 계속 분단체제에서 태어나 자라나는 한편 분단 과정을 직접 경험한 세대는 점차 사라져 이질화가 심화됩니다.
분단의 피해는 남북 모두에게 가해집니다. 따라서 분단으로 인한 고통과 불안정한 전시체제를 종결짓는 것은 한시도 늦출 수 없는 남북 모두의 당면과제입니다. 앞서 언급했지만 자주적 민주주의와 통일의 과제를 다른 말로 자주·민주·통일 노선이라고 합니다. 자주적 민주주의와 사회주의가 남북 각지역의 정치노선이라고 한다면 분단 전시체제를 극복하는 통일은 남과 북 모두의 공통과제 일 것입니다.


'우리의 역사는 우리 민족이 걸어온 발자취이자 기록이다.··· 역사는 오늘의 삶을 비추어주는 거울이며, 내일을 내다볼 수 있는 창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역사는 과거가 어둡다고 하여 숨기거나 없는 것을 있다고 과장해서는 안 되며 치우침이 없고 엄격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71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