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9119711064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1-07-07
책 소개
목차
|발간사| 벽을 문으로, 선을 넘자! 4
|추천사| 더는 속으면서 살고 싶지 않다면 6
|필자 서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현대사〉를 시작하며 8
1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과 전쟁 (1945~1953) | 김동원 | 17
1. 북의 현대사 이해와 주체사관 18
2. 개선 27
3. 북조선공산당의 창당과 북조선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의 결성 36
4.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와 토지개혁 45
5. 남북연석회의 54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62
7. 왜 ‘조국해방전쟁’인가 69
8. ‘유령’ 참전국 일본 75
9. “미국은 세균전을 멈춰라!” 84
10. 폭격, 그리고 학살 92
11. 항미원조보가위국 103
12. 박헌영·리승엽 ‘간첩’ 사건 111
13. 정전협정의 체결과 ‘전승 열병식’ 122
2장 전후복구와 사회주의 건설기 (1954~1979) | 안광획 | 133
1. 전후복구와 사회주의 개조 134
2. 천리마를 탄 기세로 ? 천리마운동 140
3. 8월 종파사건과 반종파투쟁 147
4. 조선로동당 제4차 대회와 7개년 계획 153
5. 경제건설에서 ‘사람’을 중심에 세우다 162
청산리방법과 대안의 사업체계
6. ‘한 손에는 총을, 다른 한 손에는 마치를’ 168
경제·국방건설 병진노선
7. 조선로동당 제5차 대회와 사회주의헌법 제정 174
8. 사상과 기술, 문화도 주체의 요구대로 180
3대 혁명
9. 수정주의와 교조주의 혼란 속에서 조선혁명의 주체를 세우다 187
중소갈등과 자주노선 천명
10. 전세계 약소민족의 해방투쟁을 지지하며 196
반제국주의 국제연대
11. 보복에는 보복으로, 전면전에는 전면전으로 204
1960~70년대 북미대결사
12. 자주·평화·민족대단결의 원칙을 세운 7.4공동성명과 215
조국통일 5대 방침
13. 우리의 또 한 형제, 재일동포의 역사 224
| 참고문헌 | 232
| 사진출처 | 237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장 : 이런 북의 경제-국방건설 병진노선에 대해 남측 학계에선 경제개발 와중에 국방력 강화로 인해 국방비 부담이 늘어 결과적으로 경제발전에 일정 부분 차질을 빚은 점을 강조한다. 실제 당초 1961년부터 1967년까지 예정된 7개년 계획은 3년 뒤인 1970년에 목표를 달성해 마무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북의 입장에서 경제-국방건설 병진노선은 불가피했다고 하겠다. 북이 천명한 자주노선에서 이미 ‘경제에서의 자립과 국방에서의 자위’를 명시하고 있다. 또 김일성 수상은 경제-국방건설 병진노선 제시에 앞서 경제건설과 국방력 강화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게 없고 자립경제와 자위국방은 연계되어 있다고 꾸준히 강조하였다.(6. ‘한 손에는 총을, 다른 한 손에는 마치를’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