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인
· ISBN : 9791197173110
· 쪽수 : 676쪽
· 출판일 : 2022-06-03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무솔리니와 박정희
프롤로그: 지도자를 어떻게 볼 것인가
제1장 무솔리니
1. 파시즘이란 무엇인가
2. 무솔리니의 부활: “무솔리니는 우리가 밥 굶지 않게 해 줬다.”
3. 무솔리니의 변신
4. 파시즘의 탄생과 ‘로마 진군’ 쿠데타
5. 무솔리니의 20년 집권①: ‘이탈리아 파시스트 제국’ 선포
6. 무솔리니의 20년 집권②: 히틀러의 등장과 제2차 세계대전
1) 무솔리니와 히틀러/ 2) 제2차 세계대전①_독일의 소련 침공/ 3) 제2차 세계대전②_일본의 진주만 기습
7. 무솔리니의 20년 집권③: 이탈리아 내전(內戰)
제2장 박정희
1. 박정희의 부활: “박정희는 우리가 밥 굶지 않게 해 줬다.”
2. 박정희의 변신①: 교사 → 만주군
3. 박정희의 변신②: 만주군 → 해방 후 광복군 → 남조선경비대원
4. 박정희의 변신③: 남조선경비대원 → 공산주의자
5. 박정희의 변신④: 공산주의자 → 극우 반공주의자
제3장 박정희의 쿠데타와 18년 집권
1. 제1차 쿠데타 미수: 1952년 5월, 이승만 제거 미수
2. 제2차 쿠데타 미수: 1960년 5월 8일, 이승만 제거 미수
3. 제3차 쿠데타 미수: 1961년 4월 19일, 장면 제거 미수
4. 제4차 쿠데타 미수: 1961년 5월 12일, 장면 제거 미수
5. 5‧16 쿠데타: 1961년 5월 16일, 장면 제거 성공
1) 5‧16 쿠데타 성공/ 2) 제3공화국 약사(略史): 1961~1970년/
6. ‘유신(維新)’ 쿠데타: 1972년 10월 17일, 오직 한 사람을 위한 날
1) 1971년의 대한민국_(1) 1971년 4월: 교련 철폐 시위와 언론 화형식/ (2) 1971년 4월 27일: 제7대 대통령 선거/ (3) 1971년 8월 10일: 광주대단지(廣州大團地) 사건/ (4) 1971년 10월 15일: 위수령 발동
2) 유신(維新) 전사(前史): 1971년 10~12월_(1) 학생 세력 소탕: 강제 징집과 ‘서울대생 내란음모 사건’/ (2) 1971년 12월 6일: 유신 쿠데타 전주곡 ‘국가비상사태’ 선포
3) 유신(維新) 쿠데타: 1972년 10월 17일_(1) 공작명 ‘풍년사업’/ (2) 유신 쿠데타,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야만 시대의 시작/ (3) 수적천석(水滴穿石),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 이세규라는 물방울 이야기
제2부 박정희와 한일회담
제1장 박정희 군정(軍政)_1961.5.16.~1963.12.16.
1. 5‧16 쿠데타와 미국 그리고 일본
1) ‘혁명공약’과 ‘빨갱이 만들기’/ 2) 케네디와 박정희/ 3) 케네디와 이케다 하야토/ 4) 기시 노부스케, 스기 미치스케 그리고 박정희/ 5) 박정희의 일본 방문: “요시다 쇼인을 존경합니다”/ 6) 박정희의 미국 방문: “대한민국은 언론의 자유를 향유하고 있음을 선언한다”
2. 5‧16 쿠데타와 군정
1) 절대 권력기관 중앙정보부_(1) “권력이란 부패하기 쉽고,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한다”/ (2) “집은 구했어?”/ (3) ‘부패’와 ‘억압’의 총본산 중앙정보부
2) 정치자금 ‘만들어 쓰기’_(1) 중앙정보부와 4대 의혹 사건/ (2) 4대 의혹 사건①: 증권파동 사건/ (3) 4대 의혹 사건②: 워커힐 사건/ (4) 4대 의혹 사건③: 새나라자동차 사건/ (5) 4대 의혹 사건④: 파친코 사건
3) 일본 정치자금 ‘받아 쓰기’_(1) CIA 『특별보고서』: ‘6천 6백만 달러’ 또는 어림잡아 ‘37조 원’/ (2) ‘민정 이양(民政移讓)’과 혁명공약 ‘제6항’의 변조 및 삭제/ (3) 민주공화당의 전신 ‘재건동지회’/ (4) 박정희의 번의(翻意) 쇼: 2‧18 성명→2‧27 선서→3‧16 성명→4‧8 성명
4) 박정희, 김종필 그리고 일본_(1) 김종필-오히라 메모/ (2) 박정희와 기시 노부스케 인맥
3. 제5대 대통령 선거
1) 윤보선은 왜 패배했는가_(1) 박정희의 ‘민족적 민주주의’/ (2) 윤보선의 ‘사상논쟁’/ (3) 중앙정보부장 김형욱의 선거 공작/ (4) ‘YTP’ 공격, ‘청사회’의 활약
2) YTP의 정체: KKP → MTP → YTP_(1) ‘KKP’와 윤재욱, 이범석, 조경규: 1960년 8월 6일~1961년 5‧16 쿠데타/ (2) MTP와 박정희, 박창암, 이용택, 김종필: 1961년 5‧16 쿠데타 이후~1963년 7월 24일/ (3) 민주공화당 청년조직, 청사회=YTP
제2장 한일회담과 6‧3 항쟁
1. 군정기(軍政期)의 학생운동
1) 한미행정협정 체결 촉구 시위(1962.6.6.~6.9.)
2) 자유수호 궐기대회(1963.3.29.)와 군정 연장 반대 시위(1963.4.19.)
2. 6‧3 세대는 누구인가
3. 학생운동의 동력(動力): 이념 서클_1) 서울대의 민족주의비교연구회(민비연)/ 2) 고려대의 민족사상연구회(민사회)와 민주정치사상연구회(민정회)/ 3) 연세대학교의 한국문제연구회(한연회)
4. 6‧3 항쟁①: 한일회담 반대운동(1964.3.24.~4.23.)
1) 1964년 3월의 학생운동(1964.3.24.~28.)_(1) 한일회담 반대 투쟁의 봉화가 오르다: 1964년 3월 24일/ (2) 학생데모 전국으로 파급: 1964년 3월 25~28일
2) 박정희 정권의 부정부패와 학원 공작_(1) “박정희 정권은 일본으로부터 1억 3천만 달러를 받았다”: 김준연 의원 폭로 / (2) 국(國)‧공유지(公有地) 부정 불하 사건: 만주국과 박정희 그리고 황종률/ (3) 김형욱 중앙정보부의 학원 공작①: 학원 사찰/ (4) 김형욱 중앙정보부의 학원 공작②: 괴소포 사건과 YTP의 재등장
3) 1964년 4월의 학생운동(1964.4.17.~23.)_(1) 4‧19혁명 4주년과 학생시위/ (2) 「학원사찰 및 학원분열에 대한 보고서」 작성/ (3) 학원사찰 성토대회
5. 6‧3 항쟁②: 박정희 정권 퇴진운동(1964.5.20.~6.3.)
1) 민족적 민주주의 장례식(1964.5.20.)/ 2)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과 ‘송철원 린치 사건’(1964.5.21.)/3) ‘난국타개 학생총궐기대회’(1964.5.25.~26.)와 집단 단식농성(1964.5.30.)/ 4) “주관적인 애국충정은 객관적인 망국행위임을 직시하고 박 정권은 하야하라”(1964. 6.2.)
6. 6‧3 항쟁③: 비상계엄(1964.6.3.~7.29.)
1) 1964년 6월 3일_(1) 학생시위와 비상계엄 선포/ (2) 이윤식(李允植)의 죽음/ (3) 「현 시국에 관한 대통령 특별교서(特別敎書)」
2) 1964년의 구속 학생 명단 및 재판과정
제3부 박정희와 한일협정
제1장 한일협정 조인 반대 운동_1965년 2월 18일~6월 22일
1. 1965년 1월: 다카스기 신이치(高杉晉一)의 망언(1월 7일)
2. 1965년 2월: 시나(椎名) 외상의 방한(2월 17일)과 한일기본조약 가조인(2월 20일)
3. 1965년 3월: ‘3‧24 제2선언문’과 ‘격문(檄文)’ 작성
4. 1965년 4월: 한일협정 가조인 무효투쟁
1) 3대 현안(懸案) 요강(要綱) 가조인(4월 3일), 평화선과 학생데모/ 2) 서울법대 시위(4월 10일)와 동국대생 김중배 사망(4월 15일)
5. 1965년 5~6월: 한일협정 조인 반대 투쟁_1) 박정희의 방미(5월 16일)와 한일협정 조인(6월 22일)
제2장 한일협정 비준 반대 및 무효화 운동_1965년 6월 23일~8월 14일 이후
1. 1965년 6~7월: 한일협정 비준 반대 투쟁①_1) 여대생과 의대생도 투쟁에 나서다/ 2) 고등학생도 투쟁에 나서다
2. 1965년 7~8월: 한일협정 비준 반대투쟁②_1) 한비연 결성과 비준 반대 투쟁(7월 13일~8월 13일)
3. 1965년 8월: 한일협정 무효화 투쟁과 위수령 발동_1) 한일협정 비준(8월 14일)과 학생들의 성토‧시위(8월 15~25일)/ 2) 무장군인 고려대 난입(8월 25일)과 위수령 발동(8월 26일)/ 3) 무장군인 재차 난입(8월 26일)과 학원방위 총궐기대회(8월 27일)
4. 1965년 9월: 6‧3 항쟁의 종언_1) 서울대 상대 ‘군화 화형식’과 고려대 ‘학원방위총궐기대회’(9월 6일)/ 2) 민족주의비교연구회(민비연) 해체(9월 11일)와 2차 민비연 사건(9월 15일)
▪자료: 민비연 사건 공소장
제3장 한일협정의 문제점
1. 한일병합과 일본_1) ‘유효정당론’, ‘유효부당론’, ‘무효부당론’/ 2) 샌프란시스코 대일강화조약과 독도
2. 한일협정, 무엇이 문제였나_1) 한일회담과 한일협정/ 2) 한일협정의 문제점①: 기본조약의 문제점/ 3) 한일협정의 문제점②: 재산청구권‧경제협력 협정의 문제점
3. 한일협정, 한국 그리고 일본: 박정희의 ‘승부 조작’과 일본의 ‘먹칠’
책을 마치며
참고문헌
인명 색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