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정신분석학
· ISBN : 9791197289200
· 쪽수 : 250쪽
· 출판일 : 2021-01-04
책 소개
목차
서(序)
질투와 정신분석∣질투를 한다는 것은?∣같으면서 다른 질투와 시기심∣‘열심’_시기와 질투 증상의 의미론∣‘그럴듯해 보이는 가짜’ 사랑, 질투증후군∣병적 질투와 질투 증상∣프로이트의 질투∣라캉의 질투∣무의식의 질투를 찾아서
제1부 질투의 형태론 : 경쟁, 투사, 망상
1. 정상적인 질투
질투는 정서일까? 고뇌일까?∣애도와 질투∣질투, 상처 입은 나르시시즘∣공격성과 질투∣죄의식과 질투∣‘과잉정서’와 질투_질투의 메타심리학(1)∣어른의 질투는 유년의 질투에서 유래한다∣양성애와 질투
2. 투사와 질투
내가 아니라 네가 그런 거야!”_투사질투의 논리∣투사, 질투 메커니즘의 핵심_질투의 메타심리학(2)∣소중한 것을 빼앗긴다는 두려움_질투의 시기심이 투사하는 것∣투사에서 망상까지
3. 망상과 질투
질투, ‘발효’된 동성애∣기만하는 타자_해석망상∣프로메테우스의 고통_질투의 형벌∣성행위 이후의 질투_수동적인 동일시∣엄마, 아내, 창녀∣질투, 꿈과 각성 사이∣신호들의 광기_‘관계망상’과 ‘질투편집증’
제2부 질투의 주관적인 역동성 : 시기심, 우애, 오이디푸스
4. 요람에서의 질투 : 거울의 경험
고통에서 불안까지_질투의 선사시대∣떠오르는 질투_시기심의∣외상은 시선에서, 질투는 몸에서∣어머니의 퇴위∣눈을 사로잡는 것_결핍의 대상∣질투, 시기심과 탐욕 사이_라캉 vs. 클라인∣질투의 절대 악_거울의 폐해∣시기하는 상상계에서 욕망의 대상까지∣‘질투주이상스’와 이미지화할 수 없는 질투_내기가 된 주이상스
5. 형제간의 질투
가족 속의 낯선 사람 공포_유년의 질투∣‘빨간 망토’_절대 빼앗길 수 없는 것의 대명사∣형제간의 사도-마조히즘_환상의 작업∣동성에 대한 사랑과 미움의 질투_형제 콤플렉스와 동성애∣‘카인 콤플렉스’_거부된 대상
6. 오이디푸스의 질투
어머니의 스케줄∣마조히즘의 주이상스_질투의 기원적 장면∣지식, 혹은 흥분의 원천으로서의 질투∣ 양성애 경향의 질투∣질투는 여성의 전유물일까?
제3부 증상과 문학을 통해 읽는 질투
7. 질투 신경증과 성도착
동일시에 의한 질투∣내게 없는 것을 가진 ‘다른 여자’_히스테리의 질투∣질투는 욕구’일까? 강박적인 사랑일까?∣‘낯선 사람’에 대한 경계_공포 아우라의 질투∣강박증적으로 질투하거나, 불가능한 것을 욕망하거나∣질투의 성도착적인 특징∣질투와 전이
8. 질투 정신증
질투와 편집증∣알코올 중독과 ‘망상질투’_폐제의 결과∣분열에서 정신증까지_여성의 망상질투∣질투행위 ∣색정광_작동되지 않는 질투∣투사에서 망상으로_질투정서와 거부∣질투의 광기_편집증 vs. 우울증
9. 문학과 질투
《오셀로》_질투 비극의 주인공∣《오쟁이진 너그러운 남자》_질투의 광기∣《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_사랑에 내재된 불안과 슬픔의 예술∣《롤 베 스테인의 황홀》_마비된 질투
10. 질투, 사회적 관계와 상징체계
유혹의 사회적 체계_일탈로서의 질투∣‘잔혹함’에서 사회적 유대로∣인류의 아버지_질투의 주체이자 기원 ∣대중과 질투하는 사람∣결혼제도와 여성의 지위_제도화된 질투∣권력과 질투∣질투와 범죄 충동∣질투의 미움에서 ‘이웃사랑’으로_질투의 종교적 해법∣질투하는 신’_유일신
결(結)
질투의 메타심리학 (요약)∣질투의 ‘세계’∣질투하는 사람의 유희_배신∣욕망 vs. 주이상스_질투의 재앙∣질투너머의 질투를 한 ‘메데아’∣죽은 대상을 두고 질투한 ‘햄릿’∣대상숭배에서 독점욕의 광기까지∣전이의 질투 속 질투 윤리∣내가 나를 질투하기_박해망상
주(註)
책속에서
정신분석의 창시자는 질투를 ‘정상적’이면서 ‘병적’인 심리생활의 암호와도 같아서, 그 개념을 정확히 안다면, 무의식적 언어의 중심으로 들어갈 수 있다고 한다.
질투는 우리 안에 있는 아주 친숙한 감정, 사랑의 열정이나 집착과 같은 감정일 수 있다. 문학은 질투의 쓰리고 아픈 경험을 아주 잘 묘사하고, 심리학과 정신병리학도 상당한 수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정신분석은 경험의 묘사와 설명을 넘어선다.
신경증적인 성격의 질투는 그 자체로 무의식의 메커니즘이 되는 메커니즘들로써 명확해진다. 그래서 철학이 질투의 본질을 추구한다면, 정신분석은 그 ‘메커니즘’을 고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