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진왜란기

임진왜란기(만력갑오본) 손자병법 주해

(이순신과 조선 장수들이 읽은 병법지침서)

손자(손무) (지은이), 노승석 (옮긴이)
도서출판 여해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진왜란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진왜란기(만력갑오본) 손자병법 주해 (이순신과 조선 장수들이 읽은 병법지침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91197378225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2-04-27

책 소개

이순신과 조선의 많은 장수들이 실전에 사용한 병법지침서. 그 당시 남경과 절강성, 광동성에서 항왜 활동에 참여한 병가들이 편찬하여 간행한 뒤 명나라 장수가 조선에 들여왔고, 1597년 10월 조선의 민가에서 재간되어 조선의 모든 장수들에게 읽혔다.

목차

역자 서문
차례
일러두기
해제

제1편 시계편(始計篇) - 전쟁 초기에 계책을 결정하라

1. 전쟁에 생사와 존망이 달렸다.
2. 장수가 경영할 다섯 가지 조목
3. 장수가 헤아릴 일곱 가지 계책
4. 계책에 따라 등용한다
5. 전쟁은 기만술이다
6. 예측이 승리를 결정한다

제2편 작전편(作戰篇) - 신속하게 전쟁하라

1. 천금을 써서 대군을 동원하다
2. 속전해야 승리한다
3. 군사 지원은 한 번에 한다
4. 원행하면 크게 소모된다
5. 적국에서 양식을 조달한다
6. 노획한 자를 먼저 포상한다
7. 장수는 국가의 안위를 주재한다

제3편 모공편(謀攻篇) - 계략으로 승리를 쟁취하라

1. 싸우지 않고 이김이 상책이다
2. 적의 계략을 공략하라
3. 계책으로 만전을 기하다
4. 적의 형세에 따라 대응한다
5. 임금은 장수에게 위임해야 한다
6. 완전한 승리의 비결

제4편 군형편(軍形篇) - 승리 가능한 형세를 이루어라

1. 승리의 형세를 만들고 내실을 기하라
2. 부족하면 수비하고 여유로우면 공격하라
3. 승리의 도를 닦아 승패를 가늠한다
4. 막강한 병력은 파죽지세이다

제5편 병세편(兵勢篇) - 정법과 기법의 변화술

1. 허를 치는 작전 방법
2. 기(奇)와 정(正)의 변화가 무궁하다
3. 군사의 신속한 기동성
4. 이익으로 적을 움직인다
5. 맹렬한 형세는 막을 수 없다

제6편 허실편(虛實篇) - 허실에 따라 수비하고 공격하라

1. 적을 궁지로 몰아라
2. 변화무쌍한 작전
3. 적의 허점을 공략하라
4. 위장과 은닉으로 우세를 만들라
5. 유리한 장소와 시간이 관건이다
6. 무형(無形)은 예측이 불가하다
7. 변화 전술이 무궁하다
8. 적의 허실에 따라 승리를 취한다

제7편 군쟁편(軍爭篇) - 전략적인 이익을 먼저 취하라

1. 굽은 길을 곧은 체하고 어려움은 이로운 체하라
2. 근거리에서 군수품을 확보하라
3. 정보 수집이 작전의 열쇠이다
4. 분산과 집중으로 다양한 변화에 적응한다.
5. 통일된 신호체계로 병력을 집중한다
6. 적의 변화에 따른 네 가지 대응방법
7. 용병의 여덟 가지 금지법

제8편 구변편(九變篇) - 다양한 전술로 변통하라

1. 용병의 다섯 가지 변통술
2. 용병의 아홉 가지 금지법
3. 아홉 가지 전술의 이점을 활용하라
4. 지혜로운 자는 변통에 능하다
5. 다섯 가지 위험이 패전 요인이다

제9편 행군편(行軍篇) - 군대의 효율적인 운영 방법

1. 군대를 배치하는 네 가지 방법
2. 높고 양지바른 곳이 유리하다
3. 해로운 여섯 지형을 피하라
4. 보이는 징후로 적을 감지하라
5. 적의 유인작전
6. 적의 행동을 미루어 상황을 판단하라
7. 무용보다 협력과 지략이 중요하다
8. 은혜와 형벌로 교화하라

제10편 지형편(地形篇) - 지형의 조건을 유리하게 이용하라

1. 여섯 지형에서 기회를 이용하라
2. 여섯 가지 패전 요인
3. 전쟁 원칙은 상황을 따르는 것이다
4. 은혜와 형벌로 군사를 부려라
5. 나를 알고 적을 알아야 완전 승리한다

제11편 구지편(九地篇) - 구지의 변화와 용병술

1. 전쟁 상황에 따라 다른 아홉 가지 지형
2. 아홉 가지 지형의 주의할 점
3. 적을 교란시키는 여덟 가지 용병술
4. 적국의 사지에서 작전하는 방법
5. 군사는 사지에서 용감해진다
6. 가운데를 찌르면 좌우에서 호응한다
7. 작전 계획은 비밀을 유지해야 한다
8. 적지의 아홉 가지 대처법
9. 패왕의 군사가 천하를 장악한다
10. 교묘함으로 목적을 달성하라
11. 적의 변동 상황에 따라 움직여라

제12편 화공편(火攻篇) - 화공으로 승세를 더하라

1. 다섯 가지 화공법
2. 화공의 응용방법
3. 물을 빌려서 불의 공력을 돕는다
4. 공로자는 반드시 포상하라
5. 명분 없는 전쟁은 하지 말라

제13편 용간편(用間篇) - 간첩의 지혜를 잘 활용하라

1. 적의 정세를 알려면 간첩을 이용하라
2. 다섯 간첩을 이용하면 작전이 신묘하다
3. 간첩의 일은 비밀이 관건이다
4. 반간을 후대해야 일이 순조롭다
5. 지혜 있는 자가 큰 공을 세운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손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 손무孫武. 자는 장경長卿. 산둥성山東省 러안樂安 출생. 제齊나라 사람. BC 6세기경 오吳나라의 왕 합려闔閭를 섬겨 절제 있고 규율 잡힌 군대를 조직했고, 초楚·제齊·진晋 등의 나라를 굴복시켜 오왕 합려를 중원의 패자覇者로 만들었다. 싸우지 않고 적을 굴복시키는 것을 으뜸으로 생각한 병법가. 중국 고대의 가장 위대한 군사이론저서 『손자병법』을 쓴 이가 바로 손무이다. 그는 출생과 죽음이 불분명하나 그의 업적만은 뚜렷하게 중국 역사에 남아 있다. 그가 활동했던 시기는 기원전 6세기 춘추전국시대로 그는 제나라 사람으로 태어났으나 계속된 전쟁으로 떠돌아다녀야했다. 그러다가 그는 오나라 군대에 합류하여 군사경험을 쌓게 되는데, 부상을 당해 잠시 회복을 하는 동안 곳곳에서 벌어지는 전투와 정치들은 그로 하여금 전쟁을 바라보는 눈을 길러주게 되었다. 그는 전쟁에 숨겨져 있는 보편적인 원리를 책으로 저술하여 오나라 왕에게 선물했는데, 이를 계기로 오나라 왕은 그를 장군의 재목으로 등용하게 된다. 오나라 군대는 손무의 지휘하에 3만의 병력으로 초국의 20만 대군을 대파하였고 그 이후에도 제후국들과의 전쟁에서 계속된 승리를 거두었다.
펼치기
노승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어려서부터 한학과 초서를 배웠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난중일기의 교감학적 검토》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 한림원 교수와 순천향대 교양학부 및 이순신연구소 교수, 2013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자문위원(난중일기), 아산시청 역사문화 정책특별보좌관을 역임하였다. KBS와 조선일보사, 국방부, 박물관, 길위의 인문학 등에서 특강을 하였고, 다년간 국가유산청의 문화재전적류를 해독하였다. 현재는 여해고전연구소장, 국가유산청 현충사 전문위원, 동국대학 여해연구소 학술위원장으로서 역사 고증과 이순신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사호집》(전남도지정문화재), 《이충무공종가 유물도록》·《충무공유사》·《교서집》(현충사), 《난중일기유적편》, 《손자병법주해》, 《신완역 난중일기교주본》, 《경자년 대통력》(국립고궁박물관) 등이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차문화천년》(공저),《충무공사료집성》,《이순신의 리더십》(여해), 〈충무공, 최후까지 충성을 다하다〉(교보문고)가 있다. 그 외 명량해전 youtube(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이순신관련 논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적에게 허실의 형상을 보이되(위장) 우리가 형상이 없음을 보이면(은닉) 우리는 집중하고 적은 분산될 것이다.
形人而我無形, 則我專而敵分. -《손자병법주해》 〈허실편〉-

▶ 주해에 “적에게 허와 실의 형상을 보이되 또다시 형상이 없음을 보이면, 적은 장차 형세를 분산하여 우리를 대비하고 우리는 형세를 모아서 적에게 임할 것이다.(示人以虛實之形 而又無形可見 則敵將分勢 以備我 我得合勢 以臨敵)”라고 하였다. 조본학은 형인(形人)은 위장하는 위장술로, 무형(無形)은 형상을 숨기는 은닉의 전술로 보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