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91197393280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3-07-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당신의 이야기는 쓰일 가치가 있다
1부. 왜 쓰는가
흔적 없음의 헛헛함
슬픔은 적금
나를 알아가는 시간
틀린 감정은 없다
분노는 나의 힘
순간을 잡으려고 쓴다
내 글은 연애편지다
서로의 고통에 기대어
2부. 글쓰기의 조력자들
내 안에 비평가 잠재우기
질투가 가리키는 방향
글쓰기에도 근육이 붙는다
변기가 고장나도 마감!
기억력보다 기록을 믿기
가까이, 짜증날 만큼 가까이
좋은 글에는 질문이 있다
싫어하는 것들이 주는 통찰
미움받을 용기가 필요할 때
편견을 향한 도전
3부. 어떻게 써야 하나
글 하나에 주장 하나
왜 이 이야기를 하고 싶은가
근거 없이는 아무도 설득할 수 없다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
단문이 정답은 아니지만
조사 ‘의’에 충격받다
번역 투와 인용이라는 가면
추상으로 가득 찬 글이 싫고
게으른 부사도 싫다
또라이들의 선물
퇴고와 배려
에필로그. 내 인생에 대한 긍정
부록. 우리들의 이야기
낭만에 대하여_박상옥
나에게도 신이 머물렀던 순간_성미경
미샤_김민영
커피를 편하게 마실 수 있기까지_신지유
완벽한 오해_김가을
글쓰기 따위의 이유_박정태
구해줘, 홈즈_신은경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
내가 자격이 있을까? 나뿐만 아니라 글을 처음 쓰는 사람들은 이 질문에 발목이 잡힌다. 내 이야기가 중요할까? 누가 내 이야기에 관심이나 가질까? 중요하다. 당신이 누구건 당신의 이야기는 쓰일 가치가 있다. 사람에게 가격표가 붙는 세상에서 당신의 이야기는 우리가 각자의 세계를 가진 사람이라는 걸 증명한다. 당신의 이야기로 내가 몰랐던 세계를 더 이해할 수 있었다. 그만큼 내 세계가 넓어졌다.
●
나는 글쓰기를 영혼의 따귀를 맞아가며 배웠다. 나만 그런 건 아닐 거다. 교육은 대체로 평가질이다. 논리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글은 채점할 거리다. 20세기 야만의 시절 학교에 다닌 나는 일기만 쓰려고 해도 압박을 느낀다. ‘국민’학교 때, 일기도 검사받지 않았나. 잘했다는 도장을 받고 싶은 마음을 지금도 버릴 수 없다. 한국에서 교육은 사람을 점수로 만드는 모욕에 가깝지 않은가. 개별성은 위험하다. 누구나 딱 봐도 이 사람의 ‘가격’을 알 수 있도록 보편적 점수를 따는 게 중요하다. 내가 국민학교에 다닐 때는 반공 글짓기를 매년 했다. 만나본 적도 없는 사람들을 얼마나 증오하는지 생생하게 쓸수록 칭찬받았다. 읽고 싶지도 않은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썼다. 글쓰기는 상 받거나 벌 받지 않기 위한 도구였다. 그래서 나는 글을 쓰고 싶다는 사람들을 보면 신기하다. 노트북만 켜면 긴장하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