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인간관계 > 인간관계
· ISBN : 979119748897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1-08-2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01 성교육의 주체가 되다
어른, 성교육을 준비해야 하는 사람들
성교육은 부모가 먼저 시작해야 합니다
성교육으로 이뤄가고 싶은 일
혐오와 폭력을 뛰어넘는 ‘젠더 감수성’
이제는 ‘포괄적 성교육’
부모가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하는 이유
Solution1. 부모의 자기 혁명을 위한 하루 30분
02 성교육의 시작: 자기 존중
가정에서 아이를 존중한다는 것
자존감은 따뜻한 접촉으로부터
부모의 말은 힘이 셉니다
아이들의 ‘싫다’는 표현 읽고 존중하기
성적 경계: 서로를 지키는 존중의 동그라미
호의로 전해지는 성차별의 말들로부터 울타리 쳐주기
새로운 남성성을 상상해요
새로운 존재를 꿈꿀 수 있는 동화책을 읽어주세요
평등한 사회는 구체적인 작은 실천들로 만들어가는 것
Solution2. 아이의 자기다움을 키우는 어른의 말
03 자기 몸을 긍정하는 아이들
‘자기 몸을 긍정하는 말’ 들려주기
체력을 키워주는 것도 성교육
몽정 파티 때 전해야 할 메시지
자위하는 아이 괜찮은가요?
공적 공간에서 자기 몸을 보여주는 것도 폭력
초경을 긍정적으로 의미화하기
생리대? 탐폰? 생리컵? 선택지를 다양하게
Solution3. 나와 타인의 몸을 존중하는 감각 키우기
04 존중과 사랑이 전제된 ‘성적 관계 맺기’
부모의 사랑 이야기를 먼저 들려주세요
성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관계부터 만들기
‘섹스가 뭐예요?’라고 묻는 아이들
연애를 주체적으로 할 수 있는 힘
좋은 성관계의 서사를 만들어요
성교육하기 좋은 타이밍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는 일에 정상, 비정상이 있을까요?
콘돔 사용법 알려주면 안 되나요?
즐겁고 당당하고 안전한 섹스를 위한 계획 세우기
Solution4. 아이와 ‘섹스’를 주제로 대화한다면
05 성폭력에 저항할 힘 키우기
아이들이 용기 낼 수 있도록
네 잘못이 아니라는 메시지 전하기
성폭력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상상
피해의 경험을 잘 들어주는 일에 대하여
포르노랜드에서 아이들은 무엇을 볼까
사이버 공간에서 일어나는 폭력에 대해
알고 준비해야 할 것
성교육은 성찰의 거울
Solution5. 성폭력에 관해 이야기할 것들
06 아이들의 질문에 답하다
Q1. 뮤직비디오를 봤는데 성기가 단단해졌어요
Q2. 게임을 하는데 신음이 들려요
Q3. 친구가 음경이 작다고 놀렸어요
Q4. 음경이 부러지기도 하나요?
Q5. 가슴이 크다고 놀리는 친구들이 있어서 체육 시간이 두려워요
Q6. 월경하기 전에 가슴이 아파요
Q7. 성기에서 냄새가 나는데 괜찮은 건가요?
Q8. 잦은 발기 때문에 오해받는 것이 싫어요
Q9. 언제 몽정할지 모르니까 불안해요
Q10. 여자는 정액을 무슨 맛으로 먹는 거예요?
Q11. 여자는 자위를 하나요?
Q12. 여자도 사정을 하나요?
Q13. 섹스는 어떤 공간에서 할 수 있나요?
Q14. 엄마는 순결을 어떻게 생각해요?
Q15. 오르가슴은 어떤 느낌이에요?
Q16. 성에 대한 고민이 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새로운 성교육을 위한 책 소개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 사회는 아주 은밀하고도 폭력적인 방식으로 ‘섹스=쾌락’으로 포장합니다. 내 아이만은 끝까지 보호할 수 있다는 생각은 부모의 착각으로 끝날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 아이들이 폭력적인 문화에 잠식되기 전에, 성이라는 것을 은밀한 호기심으로 배워가기 전에, 부모가 먼저 ‘섹스는 사랑하는 사람끼리 서로 존중하면서 나눌 때 정말 재미있고 신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준비돼야 할 것이 많다’는 메시지를 전해야 합니다.
- 성교육은 부모가 먼저 시작해야 합니다
성폭력 가해자가 되지 않는 것을 넘어서는 교육, 성폭력피해자가 되었을 때의 대처법을 넘어서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젠더 감수성이 녹아있는 새로운 성교육의 패러다임 안에는 서로를 인격적인 존재로 평등하게 존중하는 관점이 들어 있습니다. 서로를 존중하는 관계에서 맺는 성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그러기 위해서 상대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나의 욕구대로만 움직이는 일이 상대에게 얼마나 큰 폭력이 되는지 알려줍니다.
- 혐오와 폭력을 뛰어넘는 ‘젠더 감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