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7529061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03-20
책 소개
목차
제1장 | 문제제기
제1절 | 왜 시민 집회인가
1. 시민 집회의 중요성
2. 기존 시민 집회 연구
제2절 | 왜 시민 기술인가
1. 시민 기술 개념
2. 시민 기술 유형
제3절 | 집필동기와 책의 구성
1. 21세기 시민 집회에 대한 접근
2. 책의 구성
제2장 | 정보 제공형 시민 기술
제1절 | 유인형 정보 제공: 이런 일이 ‘지금’ 발생하고 있다
1. 문자메시지 정보 제공
2. 홈페이지·블로그 정보 제공
제2절 | 소통형 정보 제공: 의견을 나누자
1. 모바일 메신저 정보 제공
2. 새로운 의제 설정 방식, 해시태그
3. 소셜 미디어 정보 제공
제3절 | 정보 제공의 네트워크 효과
1. 이슈 인지 효과: 무슨 일이 발생하는지 알겠다
2. 이슈 이해와 공감 효과: 문제가 문제란걸 알겠다
제3장 | 자원동원형 시민 기술
제1절 | 사람 동원: 모이고 연결되는 것이 힘이다
1. 개인과 커뮤니티 연결
2. 글로벌 연대와 지지 네트워크
제2절 | 정보와 자금 동원: 데이터 밑천으로 사람을 모으자
1. 위키 문화와 아카이브 행동주의
2. 크라우드 동원
제3절 | 자원동원의 네트워크 효과
1. 정보 연대 효과: 데이터와 정보로 뭉친 우리
2. 민주적 동원 효과: 리더 is 뭔들
제4장 | 토론형 시민 기술
제1절 | 토론과 투표
1. 단순 토론과 대화
2. 의제 선정 토론
제2절 | 청원의 제도화
1. 의회 청원
2. 정책 참여
제3절 | 토론의 네트워크 효과
1. 민주적 소통, 수평적 대화 효과: 매스셀프커뮤니케이션
2. 결정권 확장 효과: 나를 대표하는 새로운 방법
제5장 | 결집형 시민 기술
제1절 | 결집 주체 형성: 위계 조직만 조직인가
1. 유연한 연대의 권력 스위칭
2. 개방형 워킹그룹
제2절 | 결집 방식: 이슈 정당
1. 포데모스
2. 해적당
3. 오성운동당
4. 시민의회 시도
제3절 | 결집의 네트워크 효과
1. 연결 행동과 집단 행동
2. 지도자 없는 수평 운동
제6장 | 시민 집회와 시민 기술의 쟁점
제1절 | 미디어의 역할과 효과
1. 소셜 미디어 무용론
2. 소셜 미디어 필요론
3. 소셜 미디어 매개론
제2절 | 미디어 매개 정치의 전개방식
1. 콘텐츠 생산과 유통의 중첩적 구조
2. 미디어 구조와 정보의 속성 변화
제3절 | 시민 집회 문화의 해학적 특성
결론 | 민주주의의 선택, 시민이 결정하는 기술
제1절 | 시민 집회로 무엇이 바뀌었나
제2절 | 그래도 남는 과제는 무엇인가
후기 |
참고문헌 |
저자소개
책속에서
21세기 초반, 2001년부터 2020년까지 20년간 총 25개 국가에서 46회 ‘대규모’ 시민 집회가 발생했다.
크고 작은 사례까지 감안하면 우리는 ‘시민 집회가 일상이 된 시대’를 살고 있는 셈이다.
시민 집회의 기술적 중요성은 시민 집회 참여자들의 기술 선택 이유, 기술 이용 과정, 기술 효과에 대한 기대감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