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8181268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4-10-31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제1장 | 마을 만들기의 호프, 스텝, 점프
해결책과 아이디어에 현혹되지 않기
호프(진입): 백캐스팅으로 미래에 보고 싶은 마을의 모습 그리기
스텝(전진): 연결을 추적하여 현재의 구조를 이해하고, 희망하는 선순환 구조 그리기
점프(도약): 악순환을 끊고 선순환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추진 체제 만들기
제2장 | 마을 만들기 호프 단계
1. 백캐스팅으로 비전 만들기
비전이란 무엇인가
비전의 효과는 무엇인가
백캐스팅 방식으로 비전을 만든 사례
마을 만들기를 위한 공유비전 만들기
2. 공유비전 그리는 방법
쉽게 아이디어 만들기
현 상태와 문제점은 일단 접어두기
가능한 한 생생하게 그리기
비전과 수단 구별하기
비교나 부정하는 방식이 아닌
우리 마을다운 비전 생각하기
그룹이 아이디어를 분담하여 비전 시안 만들기
제3장 | 마을 만들기 스텝 단계
1. 시스템 사고로 구조를 시각화하기
보이는 것은 빙산의 일각
현재의 패턴과 이상적인 패턴 그리기
2. 루프도 만드는 법
구조가 만드는 패턴
루프도 작성법 1: 스토리로 그린다
루프도 작성법 2: 중요한 것, 바꾸고 싶은 것을 중심에 놓고 넓혀가기
루프도는 항상 미완성이다
제4장 | 마을 만들기 점프 단계
1. 구조를 바꾸기 위한 프로젝트는 무엇인가
이 단계부터 행정에 맡기자는 금물
프로젝트 진행 전에 주력 포인트 찾기
다중 선순환 설계 사례
다중 선순환을 분석한 루프도
2. 많은 마을에 도움되는 기본형
3. 프로젝트 측정 기준이 중요
지표가 필요한 이유
제5장 | 프로세스에서 생기는 것
1. 마을 만들기 팀
통째로 의뢰해서는 만들어지지 않을 프로세스의 가치
프로세스에서 생긴 신뢰 관계와 팀
마을 만들기 동료, 서포터, 이해자
2. 희망의 선순환으로
있는 것 찾기
지역경제를 고치는 시책
행정 주도를 넘어선 사회적 참여가 만드는 마을의 변화
적대와 분단을 넘어서
프로세스에서 생기는 희망
책속에서
‘필사적인 마을 만들기 선구자’와 같은 훌륭한 분도 있어서 다양한 성공 사례를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리고 그런 분들에게만 의지해서 수많은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나는 20여 년 전부터 환경 관련 활동을 했고, 10여 년 전부터 지역 활성화와 지방창생 활동을 했다. 그 과정에서 내가 만든 ‘마을 만들기 프로세스’는 ‘호프(hop, 진입), 스텝(step, 전진), 점프(jump, 도약)’ 3단계다. 어떤 마을이라도 이 3단계를 중심으로 지원하려고 한다.
3단계는 본질적 변화를 만들기 위한 시스템 사고와 커뮤니케이션 방법, 사회적 합의 형성 등의 사고방식을 토대로 조합한 것이다. 이는 내가 대학과 대학원 시절에 전공했던 교육심리학·임상심리학이 바탕이 되었다.
우리는 마을 만들기뿐만 아니라 과제나 문제에 직면하면 바로 ‘대책’부터 생각하려고 한다. 과제와 문제에 직면하면 불안해져서, 그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우선 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해 불안을 없애려고 한다. “이것이 ‘문제’다. 그러니 ‘대책’을 세우자”라는 식으로 가능한 일에 가능한 일을 더하는 식의 반응을 한다. 슈퍼가 문 닫는 게 문제, 빈집 증가가 문제, 출산율 감소가 문제라고 이야기하며, “어떻게 하지, 어쩌지”라며 대책 만들기에만 분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