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관계인구를 만드는 N개의 방법

관계인구를 만드는 N개의 방법

조희정, 이영재, 김영완 (지은이)
넥센미디어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관계인구를 만드는 N개의 방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관계인구를 만드는 N개의 방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93796191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5-04-04

책 소개

인구감소 문제를 단순한 출산율이나 이주 정책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과 관계’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책이다. 저자들은 인구변화를 자연적·물리적인 수치의 증감으로만 보지 않고, 이동하고 연결되는 사람들, 즉 ‘관계인구’라는 개념에 주목한다.

목차

제1장 인구감소시대의 의문

1. 인구감소와 인구증가는 같은 방식의 접근 / 11
2. 다르게 바라보면 해법도 달라진다 / 15
3. 책의 구성 / 20

제2장 관계인구란 무엇인가

1. 사람의 이동 이유 / 27
2. 관계인구 개념의 등장과 형성과정 / 39
3. 관계인구의 유형과 특징 / 63
4. 관계인구를 만드는 관계안내소 / 74

제3장 발굴·공감·생산·연결 프로젝트로 만드는 새로운 관계

1. 지역 자원 ‘발굴’ 프로젝트 / 87
2. 지역살이 ‘공감’ 프로젝트 / 119
3. 지역상품 ‘생산’ 프로젝트 / 190
4. 지역사람 ‘연결’ 프로젝트 / 229

제4장 쟁점

1. 억지 관계는 불편 / 297
2. 맹목적 관계는 부당 / 299
3. 급행 관계는 불가능 / 304
4. 준비 없는 관계는 허상 / 307
5. 관계 만병통치론은 필패 / 309

제5장 결론

1. 공간보다 ‘사람’ / 313
2. 자원보다 ‘실익’ / 316
3. 인구보다 ‘관계’ / 318

후기 : 관계와 연결의 작은 성과 축적이 지역의 힘 / 320
참고 자료 / 330

<표 목차>

<표 1> 년도별 귀농귀촌인구 및 가구 현황 / 33
<표 2> 정부의 지역 지원 및 지역활동지원사업(2010~2024년) / 35
<표 3> 관계인구의 기능과 목적을 중심으로 전개된 유형별 정부지원사업 / 53
<표 4> 관계인구 유형 / 64
<표 5> 일본 관계 형성 프로젝트의 키워드(해시태그) / 80
<표 6> 지역 관계 형성 프로젝트의 4개 유형, 15개 프로젝트 / 81
<표 7> 지역 자원 ‘발굴’ 프로젝트(Local Digging Project) / 87
<표 8> 지역 자원 목록 예시 / 100
<표 9> 지역살이 ‘공감’ 프로젝트(Lifestyle Empathy Project) / 119
<표 10> 지역별 니포니아 호텔 운영 법인 / 182
<표 11> 전통적인 호텔과 마을호텔의 평가기준 비교 / 188
<표 12> 마을호텔 운영단계별 체크 리스트 / 188
<표 13> 지역상품 ‘생산’ 프로젝트(Local Economy Project) / 190
<표 14> 시장 범위별 지역상사 유형 / 194
<표 15> 활동형태별 지역상사 유형 / 195
<표 16> 활동주체별 지역상사 유형 / 195
<표 17> 지역사람 ‘연결’ 프로젝트(Networking Project) / 229
<표 18> 지역성장의 12개 지표 / 286
<표 19> ‘관계’에 대한 상식적인 용어 사용 사례 / 318

<그림 목차>

<그림 1> 연령대별 ‘쉬었음’ 인구 비중과 취업경험별 청년층 ‘쉬었음’ 인구 / 31
<그림 2> 한일 지역지원사업 종류와 제도 경로 유사성 / 38
<그림 3> 먹거리 통신 / 42
<그림 4> 국내에 소개된 관계인구 전문가 다나카 데루미의 저작 / 43
<그림 5> 소토코토의 관계인구 세션 / 44
<그림 6> 사시데 편집장의 2016년, 2024년 관계인구 관련 저작 / 46
<그림 7> 단계별 관계 인구 유형 / 47
<그림 8> 사쿠노 히로카즈의 관계인구의 두 차원과 영향력 / 51
<그림 9> 도농관점 중심의 관계인구 유형 / 51
<그림 10> 총무성의 관계인구 포털 사이트 / 55
<그림 11> 총무성의 관계안내소 안내 / 56
<그림 12> 총무성의 관계인구 개념 / 57
<그림 13> 관계인구 유형 / 58
<그림 14> 제2의 고향만들기 프로젝트 전문 웹사이트 ‘이쿠다비’(관광청) / 61
<그림 15> 관계의 깊이와 행태 / 65
<그림 16> 누구나 쉽게 올리는 가미야마 주민 일기장(도쿠시마현 가미야마) / 111
<그림 17> 이주자를 위한 마을 교과서 사례(교토 히요시) / 118
<그림 18> 체어링 / 152
<그림 19> 체어링 액티비티(미나미오구니) / 152
<그림 20> 일본 각 지역의 고향납세 답례품 의자 / 153
<그림 21> WWP(일본 와카야마현) / 159
<그림 22> M&A 프로그램(미국 하와이) / 160
<그림 23> 세계 최초 이탈리아 사우리스 마을호텔 / 166
<그림 24> 하기엔날레 2012 / 169
<그림 25> 마을호텔 하나레의 개조 전 모습과 개조 후 모습 / 170
<그림 26> 하나레의 마을호텔 구조 / 171
<그림 27> 쿠지라 기업의 지속가능성 전략 / 174
<그림 28> 고스게촌 정경(야마나시현 고스게촌) / 175
<그림 29> 마을호텔 닛포니아 고스게 겐류노무라(야마나시현 고스게촌) / 177
<그림 30> 니포니아 마을호텔의 전후 변화 / 178
<그림 31> ㈜노트의 마을 만들기 방식 / 180
<그림 32> 일본 전국의 32개 니포니아 호텔 / 181
<그림 33> 마을호텔 18번가의 이전 상태(2017년) / 183
<그림 34> 고한 18번가(강원도 고한) / 183
<그림 35> 마을호텔의 갈등 구조 / 186
<그림 36> 고향 워킹홀리데이 / 199
<그림 37> 지역 자원의 가치순환구조 / 223
<그림 38> 수직산업구조 cf 수평산업구조 / 225
<그림 39> 유아 유학 / 234
<그림 40> 제3의 장소 / 265
<그림 41> 지역사회 현안 분야 / 284
<그림 42> 지역의 지속가능성 지표 / 285
<그림 43> mGAP 지역 목표 산출 예시 / 287
<그림 44> 지역재생학의 범위 / 324

저자소개

이영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23년 현재,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겸임교수, 동양정치사상사학회 편집위원. 동국대학교 정치학박사. 전 한국정치사상학회 연구이사, 민주화보상심의위원회 전문위원. 저서: <근대와 민>(2018), <공장과 신화>(2016), <조선시대 공공성의 구조변동>(공저, 2016), <민의 나라, 조선>(2015). 논문: 「3·1운동 100주년, 역사전쟁과 고종독시」(2019), 「사회적 자본 개념의 미분화 비판」(2018), 「소통적 연대원리의 공감이론적 재구축을 위한 시론적 모색」(2018), 「‘동정심’에 관한 통섭적 고찰」(2017), 「대원군 사중에 의한 동학농민전쟁설 비판」(2016), 「다층적 이행기 정의의 포괄적 청산과 화해 실험」(2015), 「한국민주주의 공고화화 5·18 특별법」(2015), 「스코틀랜드 도덕철학의 전통에서 본 Adam Smith 도덕감정론의 함의」(2015), 「조선시대 시민사회 논쟁의 비판적 재해석」(2014), 「조선시대 시민사회 논쟁의 비판적 재해석」(2014).
펼치기
조희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SSK 지역재생연구팀 전임연구원(정치학 박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국회입법조사처에서 근무했다. 저서 『네트워크 사회의 정치와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기술』, 『민주주의의 전환』, 『시민기술, 네트워크 사회의 공유경제와 정치』, 『로컬, 새로운 미래』, 『민주주의는 기술을 선택한다』, 공저 『미국 전자투표』, 『온라인 국민참여 확대』, 『소셜 미디어와 정부 PR』, 『공동체의 오늘, 온라인 커뮤니티』, 『시민이 만든 민주주의』, 『로컬의 진화』, 『스마트 도시 리빙랩 워크북』, 『서울에서 청년하다』, 『로컬에서 청년하다』, 『제3의 창업시대』, 공동 번역서 『마을의 진화』, 『인구의 진화』, 『시골의 진화』, 『창업의 진화』, 『로컬의 발견』, 『마을 만들기 환상』, 『마을을 키우는 아이들』, 『도시 버리기』, 『돈 버는 로컬』, 『로컬 도서관의 기적』, 『로컬 리노베이션』을 비롯한 다수의 공저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영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