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산림탄소경영의 과학적 근거

산림탄소경영의 과학적 근거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시대)

이우균, 김영환, 민경택, 박주원, 서정욱, 손요환, 우수영, 이경학, 이창배, 최솔이, 최정기 (지은이)
지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산림탄소경영의 과학적 근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산림탄소경영의 과학적 근거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시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학 일반
· ISBN : 9791197643323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04-15

책 소개

인류 공통의 위기인 기후변화가 산림에 미치는 영향과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산림관리에 대해 주제를 좁혀가며 과학적인 사실 중심으로 접근한다.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기후변화-탄소중립-산림
1. 기후변화 시대
2. 탄소중립 시대
3.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는 산림
4. 산림탄소계정 관리

2장 산림을 위협하는 기후변화
1. 기후변화가 산림에 미치는 영향
2 산림의 수종 분포 변화
3. 산림재해

3장 탄소를 흡수하는 산림
1. 나무, 숲의 생장과 탄소 흡수
2. 산림 탄소 흡수원 관리
3. ICT 기반 탄소 흡수원 관리

4장. 탄소를 저장하는 산림
1. 생태계 서비스
2. 산림경영활동과 생태계 서비스
3. 목재수확 후 생태계 서비스 변화
4. 목재수확과 생태계 서비스
5. 탄소중립과 생태계 서비스

5장 목재 제품의 대체효과
1. 탄소 순환
2. 산림·임업 여건과 현황
3. 탄소중립을 위한 산림 정책

6장. 산림탄소계정
1. 산림탄소계정과 탄소중립
2.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탄소계정 지침
3. 일본의 산림탄소계정 관리
4. 우리나라의 산림탄소계정 관리
5. 산림탄소계정의 발전 방향

7장. 산림탄소경영을 위한 제언
1. 임업을 통한 산림탄소경영으로 전환
2. 탄소중립을 위한 임업 정책 지원

나가는 글
미주
참고문헌
저자들

저자소개

손요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교수 생태계의 물질 생산과 양분 순환을 연구하는 산림토양학자이자 산림생태학자. 고려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임학을 전공하였고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교에서 산림토양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1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산림생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3년부터 고려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육상생태계의 물질 생산과 탄소를 비롯한 양분순환 그리고 기후변화를 포함한 각종 교란이 이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탄소 흡수원의 정량화 방안 및 생태계 서비스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산림생태학》, 《산림토양학》, 《보전생물학》 등의 전문 서적을 집필하였고, 산림과 환경 및 기후변화에 관련된 다수의 학술 논문을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발표하였다.
펼치기
최정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교수 산림자원 모니터링 조사를 통한 산림 측정 및 산림생장 분야를 연구하는 산림과학자. 강원대학교에서 산림경영학을 전공,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8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임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강원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기후변화 대응 산림자원 모니터링 센터를 운영하며 우리나라 주요 수종에 대한 입목 및 임분 생장 변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7장 ‘산림탄소경영을 위한 제언’을 정리했으며, 한국산림학회 24대 회장으로 산림탄소중립위원회의 활동을 지원하였다. 《산림경영학》, 《산림경영의 이해》, 《산림보건》 등의 단행본을 출간하고 산림 측정 및 생장 분야에서 80여 편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우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 연구원장 고려대학교와 독일 괴팅겐대학교에서 산림환경계획을 전공했으며, 기술적 학문 영역은 원격 탐사(Remote Sensing)를 통한 환경 조사 및 모니터링, 지리 정보 체계(Geographic Iormation System)에 기반한 환경의 시공간 계획이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및 적응 계획, 산불·산사태 등의 재난 위험 경감,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리적 리스크 평가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환경 및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생태계 물질순환 기초과학’ 주제의 중점연구소 책임자로 총 9년간 진행되는 연구를 이끌고 있다. 《산림탄소경영의 과학적 근거》, 《자연기반해법》 등의 도서를 출간하였고, 2023년 현재 139편의 국제학술지, 224편의 국내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국산림경영정보학회, 한국기후변화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의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김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 산림경영을 기반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림 정책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산림과학자. 경희대학교에서 임학을 전공, 국민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6년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에서 임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1년 국립산림과학원에 임용되었으며, 지금은 ‘탄소중립정책연구단’을 맡아 산림 분야 탄소중립 연구를 총괄하면서 우리나라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을 분석·전망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림 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이 책의 공동 저자로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 통계 산정을 위한 국제적 지침의 내용을 소개하고, 국내외 산림 온실가스 통계 산정 체계를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산림자원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국내 목재 생산 잠재량 분석>, <신기후체제 대응 산림 부문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이행 방안>, <파리협정에 따른 주요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및 장기 전략> 등 40여 편의 국립산림과학원 연구 보고서 및 연구 자료집 출간에 참여하였다. 또한 산림경영 및 기후변화 분야에서 20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펼치기
민경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산림자원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2010년 일본 도쿄대학에서 농학(산림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1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입사한 이후 산림정책 연구를 이어왔다. 주요 연구주제는 임업과 목재산업,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임산물시장분석, 산촌진흥, 임가소득 증대, 기후변화 대응, 산림정책 평가 등이다.
펼치기
민경택의 다른 책 >
박주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임학 전공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산림자원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산림자원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2년부터 경북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GIS/RS와 같은 첨단 원격탐사기술 등을 산림경영 분야에 접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국내 대형 산불을 소개하고 그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설명하였다.
펼치기
서정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함부르크대에서 목재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연륜연대학과 목재해부학이다. 집필에 참여한 주요 저서로 『산림탄소경경의 과학적 근거』(2022), 『전통건축에 쓰이는 우리 목재』(2022), 『목재해부학』(2020), 『Secondary xylem biology: origins, functions, and applications』(2016), 『Cellular aspects of wood formation』(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이경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교수 산림탄소계정을 연구하는 산림자원학자. 서울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산림자원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과 배출량을 산정하는 산림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다양한 산림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흡수량 증진 효과를 산정하는 산림탄소계정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2019년부터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 책에서는 산림탄소계정과 관련된 부분을 저술하였다. 이 책이 온실가스 흡수원과 저장고로서 산림과 목재의 역할을 정확하게 이해하며 이를 활용한 국가, 지자체, 기업 등의 산림탄소중립 활동을 촉진하고, 그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집필에 참여하였다. 《기후변화와 숲 그리고 인간》, 《한국 주요 수종별 탄소배출계수 및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수확된 목제품(HWP)의 탄소계정 기반 구축 연구》, 《해외 산림탄소상쇄 운영 표준, 도시녹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서울시를 대상으로》, 그리고 《Post-2012 산림탄소배출권 계정 논의 동향》 등의 저서와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펼치기
이창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산림자원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충남대학교에서 산림생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9년부터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산림 생물다양성 분포 패턴과 제어인자 그리고 생물다양성과 탄소 흡수 기능을 동시에 증진시키기 위한 산림관리기술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산불에 대한 세간의 오해와 무분별하게 확산되는 잘못된 정보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한 객관적 사실을 제공하고 산불의 역사, 현재 그리고 미래의 산불 연구와 정책 방향에 기여하기를 바라며 이 책을 기획했다.
펼치기
최솔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연구원 토지 기반의 탄소 흡수원 유지 및 관리에 대해 연구하는 젊은 과학자. 고려대학교에서 환경 GIS/RS를 전공,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2020년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국립수목원 코디네이터, 국립산림과학원의 리서치 펠로우 등을 거쳐 탄소 흡수원으로서 산림, 수목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금은 온실가스 흡수원 역할을 하는 LULUCF 부문의 토지 이용 변화를 분석하며, 정주지 분야의 온실가스 흡수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기후변화와 토지 이용 변화에 따른 탄소 흡수원의 변화, 탄소 흡수량 증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현재 산림의 현황을 전하였다. 기후변화와 토지 이용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탄소 흡수량 관리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 책 집필에 참여하였다. 기후변화와 토지 피복 및 토지 이용 변화, LULUCF 부문의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관하여 국내 논문 8편, 영문 논문 2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2020년 7월, 우리나라에서는 42일간 매일 비가 내렸고 기록적인 긴 장마는 홍수와 산사태로 이어졌다.


땅 위에 있는 나무(식물)가 모여 숲을 이룬다. 산림은 그러한 숲의 학술 및 행정용어다. 그러므로 산림은 나무와 숲, 땅을 모두 포함한다. 산림에서 나무는 생장 과정에서 광합성작용을 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대기로 돌려보낸다. 이 과정에서 흡수된 이산화탄소는 나무와 땅에 탄소의 형태로 저장된다. 저장된 탄소는 벌채, 고사, 부후, 연소를 거쳐 다시 대기로 돌아가고 다음 세대의 산림이 이를 또 흡수·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처럼 산림은 탄소 흡수와 배출을 반복하면서 장기간 탄소를 저장하고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한다. 그래서 산림은 지구 생태계에서 중요한 탄소 저장고로 손꼽힌다.
- 1장 기후변화–탄소중립-산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93671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