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학 일반
· ISBN : 9791197643323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04-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기후변화-탄소중립-산림
1. 기후변화 시대
2. 탄소중립 시대
3.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는 산림
4. 산림탄소계정 관리
2장 산림을 위협하는 기후변화
1. 기후변화가 산림에 미치는 영향
2 산림의 수종 분포 변화
3. 산림재해
3장 탄소를 흡수하는 산림
1. 나무, 숲의 생장과 탄소 흡수
2. 산림 탄소 흡수원 관리
3. ICT 기반 탄소 흡수원 관리
4장. 탄소를 저장하는 산림
1. 생태계 서비스
2. 산림경영활동과 생태계 서비스
3. 목재수확 후 생태계 서비스 변화
4. 목재수확과 생태계 서비스
5. 탄소중립과 생태계 서비스
5장 목재 제품의 대체효과
1. 탄소 순환
2. 산림·임업 여건과 현황
3. 탄소중립을 위한 산림 정책
6장. 산림탄소계정
1. 산림탄소계정과 탄소중립
2.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탄소계정 지침
3. 일본의 산림탄소계정 관리
4. 우리나라의 산림탄소계정 관리
5. 산림탄소계정의 발전 방향
7장. 산림탄소경영을 위한 제언
1. 임업을 통한 산림탄소경영으로 전환
2. 탄소중립을 위한 임업 정책 지원
나가는 글
미주
참고문헌
저자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20년 7월, 우리나라에서는 42일간 매일 비가 내렸고 기록적인 긴 장마는 홍수와 산사태로 이어졌다.
땅 위에 있는 나무(식물)가 모여 숲을 이룬다. 산림은 그러한 숲의 학술 및 행정용어다. 그러므로 산림은 나무와 숲, 땅을 모두 포함한다. 산림에서 나무는 생장 과정에서 광합성작용을 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대기로 돌려보낸다. 이 과정에서 흡수된 이산화탄소는 나무와 땅에 탄소의 형태로 저장된다. 저장된 탄소는 벌채, 고사, 부후, 연소를 거쳐 다시 대기로 돌아가고 다음 세대의 산림이 이를 또 흡수·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처럼 산림은 탄소 흡수와 배출을 반복하면서 장기간 탄소를 저장하고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한다. 그래서 산림은 지구 생태계에서 중요한 탄소 저장고로 손꼽힌다.
- 1장 기후변화–탄소중립-산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