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학 일반
· ISBN : 9791197643378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3-04-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부 산불의 발생과 피해
1장 역사 속의 산불
1. 태초의 불 2. 산불 연대기 3. 한국의 산불
2장 산불의 정의와 종류
1. 산불 2. 산불의 종류 3. 산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3장 기후변화와 산불
1. 국내 산불 2. 국외 산불
4장. 산불의 영향과 피해
1. 자연생태계 2. 인간 3. 대형 산불 피해
2부 산불 피해 방지와 복원
1장 숲가꾸기와 산불 연료 관리
1. 숲가꾸기 2. 산불 연료 3. 산불 피해를 줄이는 숲가꾸기
4. 국내외 숲가꾸기 연구 동향
2장. 산불 진화와 관리 조직
1. 산불 진화 2. 산불 관리 조직
3장. 산불피해지 복원과 피해목 활용
1. 산림 훼손과 복원 2. 산불피해지 복원 3. 산불 피해목 활용
3부 산불의 과거와 현재, 미래
1장 산불과 소나무
1. 소나무의 과거, 현재, 미래 2. 산불 발생과 소나무
2장. 산불과 산림 정책
1. 산불 정책의 흐름 2. 산불 예방 정책 추진전략 3. 산불 대응·진화 정책 추진전략 4. 산불 정책이 발전 방향
3장. 산불 관리를 위한 제언
나가는 글 | 미주 | 참고문헌 | 저자 소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지질시대별 대기의 산소 농도를 살펴보면 고생대 초기에는 낮은 수준의 산소 농도가 유지되었고, 데본기부터 산소 농도가 상승해 석탄기에는 최소 26%에서 최대 35%까지 도달한 것으로 추측된다. 쉽게 발화할 수 있는 조건이 제공된 셈이다. 따라서 대기 중 산소 농도가 가장 높은 시기였던 석탄기에는 산불 발생과 확산이 빈번했을 것이라 예상된다.
- 1부. 1장 역사 속의 산불
조선시대에도 지금과 같이 동해안 지역에서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39건, 56%)했다. 발생 건수로 보면 현종(14건)과 숙종(13건) 시대에 강풍으로 인한 산불 피해가 극심했다. 가장 큰 피해는 순조 4년(1804)에 발생한 강원도 동해안 산불로 사망자만 61명, 민가 2,600호가 소실되었다. 연중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한 기간은 4~5월로 현재와 유사하다.
- 1부. 1장 역사 속의 산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