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인과 소나무

한국인과 소나무

(소나무 선호의 역사·문화적 기원)

배재수, 김은숙, 오삼언, 배수호, 서정욱, 안지영 (지은이)
수문출판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인과 소나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인과 소나무 (소나무 선호의 역사·문화적 기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73012046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4-08-16

책 소개

연구의 머리말에 해당하는 1장과 본문 4장, 결론 1장으로 구성되었다. 2장은 조선 후기 현대까지 한국인의 소나무 이용과 인식의 역사적 변천을 다루었다. 특히 1945년 광복과 함께 분단된 현실을 고려하여 북한의 소나무 인식을 보론(補論)으로 함께 다루었다.

목차

발간사 … 5
추천사 … 8

제1장 한국인이 소나무를 좋아하게 된 기원을 찾으며 … 15

제2장 한국인의 소나무 이용과 인식의 변화 … 29

1. 한국인의 소나무 이용 변화 : 철기시대~조선 후기 … 31
2. 산림정책과 소나무 인식 변화 : 조선 후기~일제강점기 … 45
3. 대한민국의 산림정책과 소나무 인식 … 68
보론 북한이 바라는 ‘소나무의 나라’ … 92

제3장 ‘으뜸나무’가 된 소나무 … 123

제4장 ‘중요한 나무’로 역할을 한 소나무 … 139

1. 조선 후기 국가가 필요로 하는 목재를 공급한 봉산 … 141
2. 조선시대 능·원·묘와 소나무 숲 … 159
3. 천연기념물과 보호수 … 164
4. 지역주민의 삶과 소나무 … 170

제5장 ‘늘 보는 나무’가 된 소나무 … 185

1. 소나무는 어떤 나무? … 187
2. 소나무숲의 과거와 현재 … 193
3. 소나무숲의 자연적 변화와 환경 교란 … 202

제6장 소나무숲의 미래를 위한 모색 … 213

부록 … 229

1. 일본 지력의 쇠약과 적송 … 231
2. 국립산림과학원의 소나무 인식조사 주요 결과 … 240
3. 소나무·소나무숲의 천연기념물과 시도기념물 지정 현황 … 251

인용 문헌 … 254

저자소개

배재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에서 『일제의 조선 산림정책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국립산림과학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우리나라 산림의 이용과 보전의 역사를 지속성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근대임정사(편역)』(2001), 『조선후기 산림정책사』(2002), 『한국의 산림녹화 성공 요인』(2010), 『조선후기 산림과 온돌』(2020), 『일제강점기 산림정책과 산림자원의 변화』(2021), 『광복 이후 산림자원의 변화와 산림정책』(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배수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및 국정전문대학원 교수이다. 경희대 행정학과, 미국 텍사스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박사) 졸업. 록펠러 정부학연구소 Research Scientist, 샌프란시스코주립대 조교수 재직.
펼치기
서정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함부르크대에서 목재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연륜연대학과 목재해부학이다. 집필에 참여한 주요 저서로 『산림탄소경경의 과학적 근거』(2022), 『전통건축에 쓰이는 우리 목재』(2022), 『목재해부학』(2020), 『Secondary xylem biology: origins, functions, and applications』(2016), 『Cellular aspects of wood formation』(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은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연구관으로 재직중이다. 서울대에서 산림생태계시스템 탄소물ㆍ순환 모형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소나무림 보전 및 관리 연구와 함께 장기적인 산림생태계 변화 특성 및 기후변화가 산림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조로 『산불관리의 과학적 근거(공저)』(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오삼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북한학 박사 국립산림과학원 박사연구원 저서: 한국인과 소나무(2024, 공저) 논문: Implications of North Korean Forest Policy and ‘Golden Mountain Strategy’(2023)
펼치기
안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에서 '소나무 자연집단과 천연갱신 소나무림의 유전변이'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임업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우리나라 산림유전자원의 유전다양성을 고려한 보존전략 마련을 위해 유전체정보분석, DNA 마커 개발, 집단유전학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오늘날, 이 시대를 살아가는 대한민국 사람들은 많은 나무 가운데 소나무를 가장 좋아한다. 조사 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1991년부터 2023년까지 32년간 수행된 8번의 수종 선호도 조사에서 2위와 많은 차이를 보이며 소나무가 1순위로 선정되었다.
산림청의 여론조사 자료는 보기 없이 조사자가 직접 응답자에게 “귀하가 가장 좋아하는 나무는 무엇입니까?”라고 물어 얻은 결과이다. 소나무는 목련과 장미, 동백과 같은 꽃나무가 제외된 일반 나무에 포함되어 조사되었다.


나는 한국인이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가 조선시대와 연결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한국인의 과반수가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인식이 어느 날 갑자기 생긴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산림은 국토의 약 63%를 차지한다. 그 산림의 약 1/4은 소나무와 곰솔(해송)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국토에서 차지하는 소나무의 비중과 분포가 단순히 자연적 요인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인간의 간섭으로 만들어진 결과였다는 것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나는 한국인이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가 ①모든 나무 가운데 소나무가 으뜸이라는 유교적 상징성, ②조선 후기 송정으로 대표되는 국가로부터 강제된 소나무의 중요성, ③조선 후기 온돌의 전국적 보급과 가정용 연료재의 과도한 채취로 우리 주변에서 늘 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소나무의 접근성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백목지장(百木之長)’, ‘세한송백(歲寒松柏)’, ‘천자(天子)의 나무’로 대표되는 소나무의 긍정적 상징성은 조선의 성리학적 질서에 따라 ‘많은 나무 중 소나무가 으뜸나무’라는 위치를 부여받았고, 교육과 문화적 계승 과정을 거쳐 쉼 없이 재생산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으뜸나무’라는 상징성은 한국인이 소나무를 좋아하는 필요조건이었다


이 책은 연구의 머리말에 해당하는 1장과 본문 4장, 결론 1장으로 구성하였다. 2장은 한국인의 소나무 이용의 역사적 변천을 다루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 소나무 이용이 급격하게 늘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더불어, 조선 후기부터 현대까지 산림정책의 변화와 소나무를 바라보는 인식의 변천을 다루었다. 1945년 광복과 함께 분단된 현실을 고려하여 북한의 소나무 인식을 보론(補論)으로 함께 다루었다.
3장부터 5장까지는 소나무가 한국인에게 ‘으뜸나무’, ‘중요한 나무’, ‘늘 보는 나무’가 되었던 역사・문화적 기원을 다루었다. 마지막 6장은 소나무숲이 쇠퇴하는 자연천이 과정, 산불과 소나무재선충병 등에 취약한 소나무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소나무의 이용과 보전 방안을 모색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