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91197678714
· 쪽수 : 233쪽
· 출판일 : 2021-12-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공공예술의 변천사
부산의 공공예술, 3가지 주제와 시선
주제 1 공공예술의 정치학 - 기념조형물과 저항의 예술
주제 2 도시공간와 공공예술 - 장식미술에서 커뮤니티아트까지
주제 3 공공예술의 다양한 실험과 확장
부록: 부산의 공공예술 현황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날 공공예술은 도시공간의 미적 환경개선과 시민 향유를 넘어, 시민 참여와 고유한 지역 특성의 반영, 다양한 예술 장르와 방법의 결합 등 목적과 방법, 형식들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의 지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공예술의 흐름과 현황을 정리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비평적 관점보다는 부산의 공공예술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최대한 많은 사례를 개괄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공공예술은 국내외의 정치, 경제, 문화 등의 주요한 사회적 이슈 및 도시 공간의 변화에 연계되어 다양한 변천의 과정을 겪으며, 일정한 흐름을 형성해오고 있다. 마찬가지로 부산의 공공예술을 조망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상황과 함께 부산 도시 공간의 변화·재편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산업과 경제, 사회와 문화, 정치 전반에 걸친 한국과 부산의 역사적 흐름을 짚어보고, 그에 따라 변화, 발전되어 온 부산 공공예술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공공예술의 흐름은 한국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따른 시대정신의 표상으로써 볼 수 있다. 과거 권위주의 시대의 동상, 기념비부터 지배적 권위주의와 담론에 저항한 민중, 사회참여적 예술 등 정치적 메시지가 사회적으로 발산과 수용되어온 과정 속에서, 공공예술은 사회적 공론장을 형성하고 지형을 넓히고 있다. 따라서 우리 시대의 공공예술을 폭넓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과거의 유산으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 예술이 정치·사회적 의제와 만나온 지점들을 현재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보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