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7746086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5-03-28
책 소개
'글만 쓰면서 살 수 있을까?'
직장인 소설가에서 전업 소설가로 변신한 주얼
파란만장한 전업 생활, 그 1년의 기록
『당신의 계절이 지나가면』, 『여름의 한 가운데』, 『달이 뜨는 동쪽, 세상의 끝』, 『당신의 판타지아』 등 매년 꾸준히 한 권의 소설집을 내 온 주얼의 첫 산문집 『어떻게든 쓰겠다는 다짐』이 출간되었다. 『어떻게든 쓰겠다는 다짐』은 직장 생활과 창작 생활을 병행하던 주얼이 직장을 그만두고 전업 작가가 된 후 1년 동안, 매주 한 편씩 쓴 글을 모아 엮은 산문집이다. 2024년 2월부터 2025년 1월까지 쓴 총 52편의 글이 담겨 있다. 그간 발표한 소설들에 관한 일화는 물론 작가가 주로 어디에서 영감을 얻고 어떻게 소설을 쓰는지도 엿볼 수 있지만, 무엇보다 주목할 만한 건 직장인 소설가가 전업 소설가가 되었을 때 겪게 되는 낱낱의 이야기들이 솔직하고 가감 없는 필치로 펼쳐진다는 점이다. 좋아하는 일을 계속하기 위해 분투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 안에서 당신과 비슷한 또 한 명의 사람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퇴사했다, 마침내”
이 책의 첫 글은 이렇게 시작된다. 2024년 1월의 일이었다.
주얼은 도시계획을 전공하고 그 분야에서 14년간 일해 온 베테랑이다. 우연히 집 근처 동네서점에서 연 글쓰기 모임에 참가했다가 소설을 쓰게 되었고, 출근 전과 퇴근 후 틈틈이 쓴 소설을 엮어 3권의 소설집을 출간했다. 1인 출판사 〈이스트엔드〉도 설립했다.
2024년은 그의 인생에서 손꼽히게 파란만장한 해였다. 힘겹게 이어가던 이중생활을 청산하고 전업 작가의 길로 들어선 첫해였기 때문이다. 멋지다는 지인들의 응원과 엄마의 걱정(“아이고 지랄하고 있어.”) 사이에서 그는 전업 소설가의 길에 첫발을 내디딘다.
이 책에는 전업 소설가가 된 주얼의 겨울과 봄, 여름과 가을, 다시 겨울까지 변화하는 계절이 시간순으로 실려 있다. 전국의 북페어를 찾아다니며 독자를 만나고, 지역의 예술가들과 교류하며 새로운 관계를 쌓는가 하면, 동네서점에서 직접 소설 쓰기를 가르치기도 하는 나날들이 펼쳐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간은 외롭게 소설을 써나가고, 산책하며 영감을 찾고, 흔들리는 마음을 다잡는데 쓰인다. 베스트셀러 작가도, 탄탄한 팬덤을 보유한 인기 작가도 아닌 그는 불확실한 미래가 주는 두려움 속에서도 어떻게든 계속 쓰겠다는 다짐을 이어간다.
의심과 불안, 기쁨과 설렘 사이에서
계속 쓴다는 것에 대하여
좋아하는 일을 업으로 삼은 사람이 일의 고충을 털어놓으면 주변에선 으레 이렇게 말한다. “그래도 넌 네가 하고 싶은 일 하며 살잖아.” 그러나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사는 삶에도 수없이 많은 한숨과 낙담이 있게 마련이다. 특히 그 일이 당분간 불안정한 생활을 피할 수 없는 일이라면. 예를 들면 소설가 같은.
전업 소설가가 된 주얼은 이전처럼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해보려 애쓰지만 녹록하지 않다. “온종일 책상 앞에 앉아있어도 풀리지 않는 소설, 소속이나 동료 없이 모든 걸 혼자 감당하는 업무”는 물론이고 별다른 성과는 없어 보이는데 “하루하루 빠르게 흘러가는 시간”도 그를 불편하게 한다. 불편은 불안으로 이어진다. 불안은 의심을 낳고 “내가 소설을 쓰는 게 과연 맞는 걸까”라는 근본적인 의심부터 시작해 “내 소설을 사람들이 과연 좋아해 줄까, 내 책이 과연 팔릴까. 그리고 난 이 일을 과연 계속할 수 있을까”로 확장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계속 쓴다. 쓰기를 멈추지 않는다. 그것만이 사는 동안 열과 성을 다해 하고 싶은 일이기 때문에. 불안과 의심, 두려움을 뚫고 나아가 쓴다. 벽을 뚫는데 그는 온 세상을 활용한다. 자신이 쓴 소설 속 인물들의 말과 행동에서 자신에게 들려줄 이야기를 찾아내기도 하고, 때로는 인스타그램 속 댓글 하나로, 때로는 자신의 문장을 읽고 감상을 나눠준 사람들의 목소리로 단단한 벽을 부순다. 또 어느 날에는 오래된 LP바에 찾아가 변함없이 그곳을 지키는 사장님을 본다. 계속되는 노래를 듣는다. 자신의 소설과 글쓰기 역시 계속될 거란 예감을 찾기라도 하듯이. 그렇게 전업 소설가의 불안은 확신이 되었다가 의심이 되고, 다시 확신이 된다. 계속되는 반복의 선순환 속에서 한 사람이 굳게 다져진다. 단단해진다.
조금 더 독자 곁으로
독립출판 장돌뱅이의 나날들
전업 작가가 된 첫해, 주얼은 전국에서 열린 14개의 북페어에 참여했다. 서울 홍대, 남산, 성수, 코엑스부터 안산, 대전, 구미, 광주, 대구, 부산까지 책을 알릴 수 있는 자리라면 빠지지 않고 달려갔다. 직선거리로 치면 4,000km가 넘는 거리를 오간 셈이다. 어떤 페어에서는 들고 간 모든 책이 팔리며 소위 말하는 ‘완판’을 기록했다. 반면 어떤 페어에서는 한 명의 독자도 만나지 못한다. 그럼에도 그는 북페어에 나가기를 멈추지 못한다. 북페어는 책을 알리는 홍보의 장이기도 하지만, 작가에게는 ‘계속 쓰게 하는 힘’을 주는 곳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책을 사서 떠났던 그녀가 잠시 후 웬일인지 다시 부스를 찾아왔다. 의아한 표정을 짓고 있는 내게 그녀는 수줍은 표정으로 이 말을 전해주고 싶어 왔다고 했다. 사실 자신은 예전에 소설을 많이 읽었지만 언젠가부터 흥미가 사라져 한동안 소설을 읽지 않았다고. 그러다가 내 소설을 읽은 후 흥미가 생겨 다시 소설을 읽기 시작했다고. 내 소설 덕분에 다시 소설을 좋아하게 되었다고.
「독립출판 장돌뱅이 3」, 307쪽
그밖에도 문장이 좋다며 출간된 모든 소설집을 구입하는 사람. 잘 읽었다고 감상평을 들려주는 사람까지 북페어에는 생생한 독자들이 모인다. 홀로 글을 쓰던 주얼은 북페어에서 만난 사람들의 말을 가슴에 새긴다. 그 힘으로 다시 어두운 밤, 책상 앞에 앉는다. 다음 삶을 산다. 다음 소설을 쓴다.
*
『어떻게든 쓰겠다는 다짐』 은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이야기다. 포기하지 않는 한 사라지지 않을 길 위에서 주얼이 먼저 건네는 다짐이다. 이제 책을 펼치면 손 내미는 한 사람이 보일 것이다. 계속 걷자고. 그렇게 계속 살아가자고. 자신만의 길 위에서.
목차
[마침내, 전업작가]
소박하지만 소중한_16
두부의 위로_22
파도가 멈추지 않듯_29
준비의 시간_36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_42
마감 인생_49
20세기 소년_55
하코네에서 떠오른 이야기_62
소설을 쓰는 시간_70
글쓰기의 공간_76
벚나무를 보며 한 생각_82
글쓰기와 엉덩이_88
이토록 어리석고 대책 없는 작가_95
[그럼에도 사랑하니까]
작가들의 밤_104
독립출판 장돌뱅이 1_112
버티는 힘_118
당신은 행복한가요?_125
설명은 어려워_132
나 혼자_139
어떤 믿음_146
새로운 사회관계_152
작가의 목표_158
경제적으로 이상적인 전업 작가의 삶_164
소설의 영감_170
엄마의 걱정_177
[그저 해야 할 일을 해나갈 뿐]
예술가의 태도_186
평온한 하루_193
행운이 찾아오려면_199
낮술 예찬_205
내 책은 어디에 있을까?_211
독립출판 장돌뱅이 2_217
내 소설이 누군가에게 다가갔을 때_224
아직, 여름_232
창작과 변주, 그리고 반복_239
산책이 필요한 시기_246
야구는 사랑하지 않을 수 없어_253
독립서점의 마법_259
등단?_265
내가 할 수 있는 것_271
[그저 해야 할 일을 해나갈 뿐]
불안과 사과_280
거북이 걸음_287
겨울이 다가왔어요_294
소설을 쓰기 위한 믿음_301
독립출판 장돌뱅이 3_307
그렇게 소설을 쓰고 싶다_314
모두 대단하다_321
환희의 송가_328
새해 목표_334
글쓰기 근육_341
무엇보다 건강_347
아버지의 시집_354
내가 걸어가는 길_361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러니 불안과 의심으로 위축되고 주저하기보다는 그저 더 묵묵히, 그리고 꾸준히 글쓰기에 집중하자고. 파도가 멈추지 않듯 그렇게.
_「파도가 멈추지 않듯」
지금 나에게 주어진 시기는 무작정 달려나가기보다는 방향을 잡아야 하는 시기다. 그러니 남들보다 뒤처지는 것에 불안해하거나 조바심을 내지 말고, 자신을 더 깊이 바라보아야 한다.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약한 부분이 무엇인지 확인해 빈틈없이 채우고 단단하게 만들어 가야 한다.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그러한 준비의 시간이 끝났을 때 난 나에게 맞는 속도와 호흡으로 내가 정한 방향을 향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_「준비의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