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783440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2-07-30
책 소개
목차
서론
Chapter 1 │ 자연이란 무엇인가? <김종갑>
- 순도 100%의 자연은 존재하는가
- ‘인간은 특별하다’라는 전제의 문제점
- 자연에 대한 재정의
- 자연은 대상이 아니라 ‘주체’다
Chapter 2 │ 도나 해러웨이의 자연문화 <최유미>
- 인류세(Anthropocene)
- 테크노사이언스
- 비인간, 물질 기호론적인 행위자
- 자연문화
- 자연문화의 촉수 사유
Chapter 3 │ 주디스 버틀러: 페미니즘과 해체주의 <고지현>
- 버틀러의 이름으로?
- 젠더이론: ‘젠더트러블’
- 섹스의 탈자연화
- 물질화의 결과로서 몸
- 젠더의 구성 - 권력, 규범, 담론
- 인용과 반복
- 공백으로서의 젠더
Chapter 4 │ 우리는 결코 ‘사회’에서 산 적이 없었다! <김운하>
- 돈룩업이냐 룩업이냐
- 근대화냐 생태화냐 ? 브뤼노 라투르, 근대주의의 이원론을 질타하다
- 사회도, 자연도 아닌 집합체의 사회학
- 20세기 녹색 생태 정치운동이 실패한 이유는?
- 생산 시스템 대 생성 시스템으로 구도 전환하기
- 좌파도 우파도 아닌 대지주의의 새로운 투쟁 방향
Chapter 5 │ 자연문화로서 동물정의 <서윤호>
- 자연문화로서 동물정의
- 인간과 동물에 관한 철학적 사유
- 데리다의 동물철학과 해러웨이의 비판
- 동물윤리의 문제
- 동물정의와 동물정치
Chapter 6 │ 팬데믹, 미래주의, SF <주기화>
- SF와 미래주의
- 애트우드의 매드아담: 미래주의자들의 이야기
- 미래주의자들의 기술 묵시록적 믿음과 희망
- 미래주의자들의 절망이 선택한 절멸의 힘
- 미래주의자들의 사유 무능력과 무관심의 정치
- 미래주의자들 포용하기
Chapter 7 │ 기술-자연-몸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 <이지용>
- 들어가며
- 기술-자연-몸의 상호공존에 대한 상상력
- 사이버스페이스, 혹은 메타버스와 공생기술
- 나가며
Chapter 8 │ ‘어두운 함께-되기’ 서사와 생명정치적 장소성 <임지연>
- 재난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
- ‘쥐-함께-되기’의 탈인간화와 어두운 일상성
- 생명정치적 장소와 조에 평등성
- 인간-동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
Chapter 9 │ “스스로 부끄럽나요 혹은 자랑스럽나요?” 친환경 소셜 미디어 메시지와 감정 <박수지>
- 환경캠페인의 시작
- Old media vs. New media
- 무엇이 행동을 이끄는가?
- 감정의 역할
- 환경 캠페인이 나아갈 방향
저자소개
책속에서
Part 1 - 자연이란 무엇인가
“보다 문명화된 자연과 그렇지 않은 자연의 차이를 무시하자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자연을 문명화하는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이며 자연의 바깥에 설 수 없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을 따름이다.”
Part 2 - 도나 해러웨이의 자연문화
“어떤 관계들이 관계들을 관계시키는지가 중요하다. 어떤 세계들이 세계들을 만드는지가 중요하다. 어떤 이야기들이 이야기들을 이야기하는지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