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91157832613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 6
1. 신유물론으로서의 브뤼노 라투르 사상_김환석
2. 절대적 우연성으로서의 실재: 퀑탱 메이야수의 사변적 실재론_정지은
3.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 존재론과 비유물론_서윤호
4. 제인 베넷의 『생동하는 물질』_임지연
5. 비키 커비의 ‘읽고 쓰고 말하는 몸’_임소연
6. 캐런 버라드의 『우주와 중간에서 만나기』: 관계와 얽힘으로 만들어지는 몸_박신현
7. 신유물론, 해러웨이, 퇴비주의_주기화
8. 수행적 신유물론이란 무엇인가?_박준영
9. 신유물론의 물질과 몸_김종갑
저자소개
책속에서
라투르에게서는 신유물론의 핵심 개념인 ‘물질Matter’이란 용어보다는 ‘비인간Nonhuman’이란 용어가 많이 쓰이지만, 중요한 점은 이 때 ‘물질’을 보는 관점은 기존의 유물론에서처럼 행위성이 없는 ‘객체Object’—즉 ‘주체’의 대립항—로 보는 것이 아니라 행위성이 있는 ‘사물Thing’로 보는 것이 신유물론의 핵심이다. 바로 이 점에서 라투르는 비인간이란 물질을 행위성이 있는 ‘사물’로 보아야 한다고 가장 앞서서 주장한 학자이기 때문에 그를 신유물론의 선구자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새롭게 등장한 신유물론은 메이야수의 사변적 실재론을 비롯해서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 존재론, 제인 베넷의 생기론적 유물론 등 다양한 이론을 포함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공통의 지향점이 있는데, 인간중심적 혹은 인간관계적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려고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메이야수는 그러한 신유물론 사상의 첫 주자라고 할 수 있다.
객체를 세계의 근본구조로 파악하려는 객체지향 존재론은 객체에 대한 환원주의적 접근과 과도한 구성주의적 접근 모두를 배격한다. 우리는 어떤 기술적 대상이나 사회적 현상, 예술 작품을 이해하고자 이를 더 간단한 객체로 환원해 분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