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97937002
· 쪽수 : 130쪽
· 출판일 : 2022-07-15
책 소개
목차
제주
탐라 그리고 제주 ……………………………………………… 10
탐라순력도 ……………………………………………… 12
선사문화와 탐라 ……………………………………………… 17
탐라 개국 설화 ……………………………………………… 20
제주 ……………………………………………… 25
한라산 ……………………………………………… 28
오름 ……………………………………………… 30
포구 ……………………………………………… 32
돌담 ……………………………………………… 34
돌하르방 ……………………………………………… 36
제주 말 ……………………………………………… 39
제주 귤 ……………………………………………… 43
제주 사람 ……………………………………………… 47
민간신앙 ……………………………………………… 51
제주목
제주읍성 ……………………………………………… 57
제주목관아 ……………………………………………… 61
용연과 용머리 ……………………………………………… 65
해녀 ……………………………………………… 66
화북포 ……………………………………………… 69
조천 ……………………………………………… 73
너븐숭이 4.3 기념관 ……………………………………………… 76
김녕굴, 만장굴 ……………………………………………… 79
별방진 ……………………………………………… 81
해녀박물관 ……………………………………………… 82
정의현
우도 ……………………………………………… 89
성산포 ……………………………………………… 91
수산진 ……………………………………………… 93
정의현 ……………………………………………… 95
제주의 집 ……………………………………………… 96
정방폭포 ……………………………………………… 99
서귀포 ……………………………………………… 101
천지연 폭포 ……………………………………………… 103
대정현
천제연 폭포 ……………………………………………… 107
산방산 ……………………………………………… 109
모슬포 ……………………………………………… 111
대정현 ……………………………………………… 113
추사 김정희 ……………………………………………… 114
차귀진, 차귀도 ……………………………………………… 117
다시 제주목
명월포 ……………………………………………… 123
항파두리 항몽유적 ……………………………………………… 124
비양도 ……………………………………………… 127
애월 ……………………………………………… 129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제주 섬이 만들어진 내용은 설문대할망 설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선문대할망, 설만두할망, 설명지 할망, 세명뒤할망 등으로 불리는 설문대할망이 바다의 흙을 퍼 치마에 담아 제주를 만들고, 다시 흙을 일 곱 번 떠 놓아 한라산을 만들었다고 한다. 한라산을 쌓기 위해 흙을 퍼 나를 때 설문대할망 치마의 터진 부분으로 흙이 새어 나와 360여 개의 오름이 되었고 한라산 봉우리가 너무 뾰족해서 그 부분을 꺾어 잡 아 던지니, 아랫부분은 움푹 파여 백록담이 되고 윗부분은 제주 서남쪽의 산방산이 되었다고 한다.
제주는 180만 년 전 바다에서 화산활동이 일어나 만들어진 화산섬으로, 화산활동 후 한참이 지난 후인 약 2만 5천 년 전 섬 가운데서 용암이 솟아나 한라산이 만들어졌으며 주변의 작은 화산들이 터지면서 여 러 오름이 생겼다. 그 후 한라산에서 다시 용암이 솟았는데 점성이 강해 멀리 가지 못하고 분화구를 덮으 며 봉우리가 생겨났고 안에서 일어난 폭발로 꼭대기가 무너져 백록담이 생겼다.”
“한라산은 신령스러운 산이라 고려시대부터 음력 2월에 한라산 정상인 백록담 북쪽에 마련된 단에서 산신제를 지냈는데 한라산이 너무 추워서 산신제를 지내러 갔던 백성들이 추위에 얼어 죽기도 했다. 이를 알게 된 제주 목사 이약동이 1469년(예종 1)에 제주시 아라동에 있는 산천단에 묘단을 세우고 산신제를 지내게 했으며 지금까지 산신제가 열리고 있다. 산천단에서는 이약동 목사의 사적비를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8그루의 흑송 또는 해송으로 불리는 곰솔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