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96078645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21-12-22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 6
이 책은 ……………………………………………… 8
1부 신라
신라 ……………………………………………… 16
신분제도 ……………………………………………… 18
토지, 조세제도 ……………………………………………… 19
행정제도 ……………………………………………… 20
불교 ……………………………………………… 22
월성 ……………………………………………… 24
왕릉지도 ……………………………………………… 29
고분군 ……………………………………………… 30
릉의 구조 ……………………………………………… 32
2부 릉
1대 시조 혁거세 거서간 (BC 69 ~ AC 4)……………………………………………… 39
2대 남해차차웅 (4 ~ 24) ……………………………………………… 40
3대 유리이사금 (24-57) ……………………………………………… 40
5대 파사이사금 (80 ~ 112) ……………………………………………… 41
4대 탈해이사금 (57-80) ……………………………………………… 43
6대 지마이사금(112 ~134) ……………………………………………… 44
7대 일성이사금(112 ~134) ……………………………………………… 46
8대 아달라이사금(154~184) ……………………………………………… 47
9대 벌휴이사금(184~196) ……………………………………………… 49
10대 나해이사금(196-230) ……………………………………………… 49
11대 조분이사금(230~247) ……………………………………………… 50
12대 첨해이사금(247-261) ……………………………………………… 50
13대 미추이사금(262~284) ……………………………………………… 51
14대 유레이사금(284-298) ……………………………………………… 53
15대 기림이사금(298-310) ……………………………………………… 53
16대 홀해이사금(310~356) ……………………………………………… 53
17대 내물마립간(나물왕, 356~402) ……………………………………………… 55
18대 실성마립간(402~417) ……………………………………………… 56
19대 눌지마립간(417~458) ……………………………………………… 56
20대 자비(458~479)마립간 ……………………………………………… 57
21대 소지마립간(479~500) ……………………………………………… 58
22대 지증마립간(500~514) ……………………………………………… 61
23대 법흥왕(514~539) ……………………………………………… 63
24대 진흥왕(540~576) ……………………………………………… 67
25대 진지왕(576~579) ……………………………………………… 70
26대 진평왕(579~632) ……………………………………………… 71
27대 선덕왕(632~647) ……………………………………………… 74
28대 진덕왕(647~654) ……………………………………………… 75
29대 태종무열왕(654~661) ……………………………………………… 77
30대 문무왕(661~681) ……………………………………………… 80
31대 신문왕(661~681) ……………………………………………… 83
32대 효소왕(692~702) ……………………………………………… 84
33대 성덕왕(702-737) ……………………………………………… 86
34대 효성왕(737~742) ……………………………………………… 86
35대 경덕왕(742~765) ……………………………………………… 87
36대 혜공왕(765~780) ……………………………………………… 89
37대 선덕왕(780~785) ……………………………………………… 89
38대 원성왕(785~796) ……………………………………………… 92
39대 소성왕(799-800) ……………………………………………… 94
40대 애장왕(800-809) ……………………………………………… 94
41대 헌덕왕(809~826) ……………………………………………… 95
42대 흥덕왕(826~836) ……………………………………………… 97
43대 희강왕(836~838) ……………………………………………… 99
44대 민애왕(838~839) ……………………………………………… 100
45대 신무왕(839) ……………………………………………… 101
46대 문성왕(839~857) ……………………………………………… 102
47대 헌안왕(857~861) ……………………………………………… 104
48대 경문왕(861-875) ……………………………………………… 106
49대 헌강왕(875~886) ……………………………………………… 108
50대 정강왕(886~887) ……………………………………………… 110
51대 진성왕(887~897) ……………………………………………… 111
52대 효공왕(897~912) ……………………………………………… 113
53대 신덕왕(912~917) ……………………………………………… 116
54대 경명왕(917~924) ……………………………………………… 116
55대 경애왕(924~927) ……………………………………………… 117
56대 경순왕(927~935) ……………………………………………… 118
김유신묘 ……………………………………………… 120
릉 ……………………………………………… 122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신라는 동해안 지방에서 가장 넓은 농업지대인 형산강 주변에서 시작됐는데 형산강은 태백산맥 동쪽 기슭에서 발달해 포항 영일만으로 흘러가는 강으로 토함산 서쪽 계곡에서 시작한 북천과 경주 시가지 북쪽을 흐르는 남천이 합류하는 강이다. 이 형산강을 중심으로 경주분지가 형성되는데 동족은 토함산, 서쪽은 구미산, 남쪽은 남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북쪽으로 안강분지와 연결되어 별도의 성을 쌓을 필요가 없이 천연적인 성곽을 이뤘다. 삼국시대에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소백산맥 너머로 영토를 확장할 때 소백산맥이 방어의 역할을 했지만, 교통상으로 큰 걸림돌이 되어 삼국을 통일한 후에도 다스림에 어려움을 겪었다. ”
“불교는 토속신앙을 대신해 국가발전을 비는 호국신앙과 개인의 복을 비는 신앙으로 발전했으며 진평왕과 그 왕비는 석가의 모친 명을 따서 백정과 마야부인이라 불렸고, 법흥왕은 법공, 진흥왕은 법운이라 하는 등 불교식 왕명을 짓기 시작했다. 불국사, 흥국사, 흥왕사를 짓고 황룡사 9층탑을 지었으며 불교 경전 중 호국의 성격이 강한 인왕경을 높이고 국가의 평안을 비는 백좌강회, 팔관회 등 불교행사가 유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