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주제평론
· ISBN : 979119810925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3-04-28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5
1장 가족법의 등장과 근대가족의 탄생
1 식민권력에 포획된 근대가족
2 조선가족의 개혁과 문명화 과제
3 조선총독부의 가족정책과 식민지 가족법
4 가족 밖으로 나온 여성, 법을 통해 권리를 주장하다
2장 근대적 부부 관계에서 여성은 계약주체가 될 수 있는가
1 자유연애보다는 일부일처주의
2 여성의 소유권 쟁취를 위한 험난한 여정
3 일방적인 혼인 무효 선언이라는 폭력
4 구여성의 인권과 욕망의 재현
5 이혼할 권리와 계약의 증명서, 민적
3장 결혼계약의 실체, 자유롭게 선택한 감옥
1 신가정이라는 환상이 깨어지는 순간
2 불평등한 결혼계약, 어떻게 벗어날 수 있나
3 젠더불평등한 간통죄와 제도 밖의 계약들
4 인형의 집을 나온 노라, 결혼 제도를 비판하다
4장 정상가족 바깥에서 울려 퍼지는 목소리
1 축첩을 용인하는 법률, 첩을 배제하는 법률
2 사회 바깥으로 추방된 첩의 목소리
3 가족의 새로운 조건, 부계혈통이 아닌 사랑의 가치
4 제2부인, 일부일처제의 법제화를 뒤흔들다
5 가부장적 가족제도에 균열을 내는 여성의 목소리
5장 가족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가족을 상상하기
1 근대적 법률을 횡단하는 가족
2 내선결혼, 왜 불가능한가
3 내선결혼의 (불)가능성과 공통성에 대한 감각
4 월경(越境)하는 여성에 대한 이중적 시선
참고문헌
인용작품 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실시된 새로운 가족제도의 도입과 그 기반이 되는 법률은 근대적 변화인 동시에 식민지를 효율적으로 지배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그리고 가족법의 궁극적인 목표는 일본의 근대가족인 이에(家)제도의 이식이었다.
조선총독부는 가족의 문명화를 제시하면서 일관되게 여성의 인권 확대를 피력한다. … 그렇다면 당대 가족법은 효과적인 식민지 지배를 위한 정책이긴 하나 여성에게만은 자유와 해방을 가져다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까.
이광수는 결혼이나 이혼 같은 부부 관계를 소재로 여성이 자신의 삶을 소유한다는 인식의 변화를 그린다. 그에게 여성의 인권은 중요한 문제이지만, 그것은 가족 개혁이라는 격자 속에서만 그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