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8154514
· 쪽수 : 124쪽
· 출판일 : 2024-04-25
책 소개
목차
머리글 • 05
01_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민중신학의 평화 담론
모스크바와 맥도널드, 그리고 세계화의 시작과 종말의 징후 • 16
'세계화의 종말=신냉전의 출현' 이라는 해석 • 17
'세계화의 종말=전략적 냉전'이라는 해석 • 23
문재인 정부의 해석: 세계화의 확장과 동아시아·한반도 탈냉전 • 26
민중신학의 해석: 포스트세계화의 기획으로서 '살림' • 29
02_ 포스트세계화 시대, 안보정치와 살림정치
신애치슨라인? • 35
국제정치적 실효성 • 40
어쩌면 페이크 전술 혹은 S&C 전술? • 42
미국, 이도 저도 아닌 포스트세계화? • 46
한국, 안보정치 • 52
민중신학, 살림정치 • 58
03_ 48년체제'를 소환하다: 4·3기억의 반기억
'48년체제'의 초석적 사건 • 73
파시즘적 체제 • 77
국제정치 • 80
어게인 1948 • 84
포퓰리즘 정치 • 90
파시즘의 전사들, 서청 특수부대와 아조프부대 • 92
21세기에 부활한 그들의 후예들, 네오파시즘 체제를 꿈꾸다 • 98
성공하지 못할 기획, 그러나 남은 위험들 • 100
04_ 극우주의 시대, 살림정치의 가능성: 2024년 4·10총선 국면에 즈음해서
기억전쟁 • 105
조용한 개신교 • 110
정치로서의 선교, 선교로서의 정치 • 119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거 냉전 시대에는 이념의 장벽이 윤리적 보편성을 지닌다는 포괄적 합의가 우세한 논리로 작동했다. 그런 논리에 적극적인 세력이 각국의 정부를 구성했기 때문이다. 한데 2022년 미국 바이든 정부가 주도한 가치동맹의 윤리는 그런 합의가 부재하다. 앞으로 그렇게 될지 아닐지 가늠할 수 없다. 다만 현재의 관점에서 그것은 냉전의 재구축이라는 의미의 ‘신냉전’이라기보다는 ‘전략적 냉전’에 가깝다. 냉전에 대한 윤리적 동의보다는 미국의 적극적 경계짓기의 압박에 대한 전략적 동의에 기반을 둔 냉전인 것이다.
오늘의 민중신학이 직면한 현실은 바로 여기다. 귀속 공간을 박탈당한 존재들, 민중신학이 오클로스라고 부른 존재들은 오늘날 세계 곳곳에서 자신이 겪는 고통을 스스로 말하지 못한 채 죽음 같은 삶을 살고 있다. 냉전의 장벽은 글로벌 가치사슬을 구축하는 기업들의 이동을 제한하는 거대한 하나의 장벽으로 존재하지만, 오클로스들에게 냉전의 장벽은 무수한 ‘미시적 장벽들’로 구현된다. 자이니치(在日) 정치학자 강상중은 그것을 ‘내적 국경들’이라고 불렀다. 즉 포스트세계화의 공간 구석구석에 무수한 내적 국경들이 촘촘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해서 그 장벽을 넘지 못한 오클로스들은 장벽 주변에서 주검이 되고 있다.
이제까지 국가보안법을 적극 활용한 정부들은 안보정치의 도구로서 국가보안법을 활용했다. 한데 윤석열 정부에게서 법은 그 이상일 가능성이 있다. 알다시피 이 정권은 검찰정부를 추구하고 있다. 경제도, 정치도, 문화도, 군사․외교․교육도 검사가 더 잘할 수 있다고 믿는 정부다. 해서 그들은 삼권분립의 민주주의적 원리도 무력화하면서까지 검찰정부를 구성하고자 한다. 그들 사이에는 법이, 사회의 모든 것을 작동시키는 ‘제1 원소’라고 믿는 이들이 많다. 그들은 국가보안법의 사전규제 기능은 법의 예외성이 아니라 법 자체의 속성이라고 믿는다. 해서 그들에게서 법은 이미 해체의 상황에 직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