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지방자치
· ISBN : 9791198181206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23-05-20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4천 명 규모의 작은 마을이 돈 버는 마을로 다시 태어나다
구로가와(黒川) 온천이 있는 마을의 고민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매출과 기부금 증가
관광지역 만들기에 ‘사업개발’ 관점을 적용하다
제1장 | 구로가와 온천이 있는 마을,
마을 전체의 관광지역 만들기를 시작하다
작은 마을
마을의 세 가지 문제
정장의 제안으로 마을의 ‘기적’이 시작되다
DMO, 관광지역 만들기의 주춧돌
‘사업개발’은 필수
DMO에도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하자
제2장 | 목표는 ‘이상적인 마을 모습’ 만들기, 마을의 매력 ‘발견’
DMO 설립 검토
‘이상적인 마을 모습’이라는 목표
이상적인 모습을 찾는 방법
‘이상적인 모습’은 ‘마을 전체가 돈을 버는 것’이다
합의 형성 비결은 ‘주민 어투로 말하기’와 ‘양자택일’
애매한 사항을 확실히 보여주는 빅데이터
제3장 | SMO에 의해 마을이 움직이다, 마을의 매력을 ‘연마’하고 ‘잇기’
관광협회와 지역상품 판매소를 합쳐 DMO 설립
DMO로 조직과 사람을 움직이게 하기
SMO의 사업 전략
[제1화살] 사업의 선택과 집중
[제2화살] 사업 안정화
[제3화살] 마을의 킬링 콘텐츠 판매
제4장 | 정장도 놀란 마을의 기적, 3개의 화살 전략
외부 경영전문가를 COO로 영입
[제1화살]의 성과
[제2화살]의 성과
마을 내외의 사람을 연결하는 미래 만들기 사업
[제3화살]의 성과
도시락 배달 서비스로 지산지소 실천
마을상품, 막걸리의 존속
체험형 미디어로서 카페 운영
SMO로 인한 변화
제5장 | 미래의 목표는 ‘받은 만큼 베푼다’는 정신으로 계속 발전하는 것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끄떡없는 마을
호조를 뒷받침하는 제4의 화살 추가
미래 만들기 사업을 주변 마을에 확산
인근 마을의 고향납세 업무 지원
인근 마을과 연대를 지향하는 마을 브랜드화 사업
제6장 | 관광지역 만들기 성공 비결
DMO에 적용한 사업개발 관점
마을 고유의 도전 기풍
불씨를 연결하여 시너지를 만들어낸 SMO
끝내며
부록 | 관광지역 만들기 3단계
역자 후기 | 돈 버는 로컬은 사람을 얻는 로컬이다
책속에서
미나미오구니마치의 주요 산업은 농업과 임업인데, 인력 부족이 심각하고 매력적인 농림 상품이 있어도 브랜드화와 고부가가치화를 이루지 못했다. 산골 풍경이 아름답고 NPO법인 ‘일본에서 제일 아름다운 마을연합’에도 속해 있지만, 그토록 아름다운 경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데 관리 인력조차 부족한 상황이다.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온천 관광업에까지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한계에 직면해 있다.
SMO에는 42명이 근무하고 있는데 그중에 14명은 외지인이다. SMO의 마을 만들기에 매력을 느껴 근무하려고 이주한 젊은이도 있다. 이렇게 SMO는 일자리 제공과 고용 창출에도 기여한다.
마을에 사업개발기법을 적용하여 돈을 벌 수 있는 원동력, 즉 비즈니스 모델(BM, Business Model)을 만드는 것이다. 능력은 있지만 숨어있는 사람을 발굴하여 적재적소에서 힘을 발휘하게 하고, 기능하지 않는 조직을 움직이게 만든다. 회사를 경영하는 것처럼 마을을 경영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