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98181299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25-11-20
책 소개
과연 지방으로 이주하는 것의 의미는 무엇일까, 누가, 왜 가는가
지방이주의 풍부한 데이터, 지금 지방의 현실은 어떠한가
이주 공정성과 지속가능성은 구현될 수 있을까
국내외적으로 경제적 상황과 사회적 상황이 위기에 처하여(일본은 2011년 동일본대지진이라는 자연재해까지 더하여) 개인의 선택이 지방으로 향한다. 정부는 나서서 여러 정책을 통해 지방 이주를 촉진시키고자 한다.
사회학자로서 저자의 문제의식은 여기에서 출발한다. 이주가 사회 현상으로 존재한다면 왜 제대로 된 이주 데이터는 없는가. 이 책을 번역하기로 결정한 이유 역시 마찬가지다.
그가 진행하고 발표한 연구성과를 엮은 31개의 글로 이루어진 이 책은 길이가 짧고 주장도 분명하여 읽기 편하다. 마치 에세이 모음집처럼 읽으면 좋을 것이다.
목차
시작하며…5
제1부 이주 촉진의 ‘당연한 사실’을 다시 생각하다
1-1 30년 전부터 지방 이주는 붐이었다 …16
1-2 구체적으로 이주를 계획하는 사람은 불과 2%!? …22
1-3 50년간 변치 않는 이주 희망 비율과 일자리라는 장애물 …29
1-4 간과하기 쉬운 이주 포기 원인 …35
1-5 코로나가 지방 이주에 끼친 영향 …40
1-6 국가는 왜 이주를 촉진하는가 …46
1-7 외국의 다양한 이주 촉진 사례 …53
1-8 이주의 계기는 역시 관광 경험 …60
1-9 이주 지원금 효과는 일회적 …64
1-10 ‘이주자=I턴’ 구도 속에 소외되는 계층 …69
제2부 키워드로 보는 지방 이주와 이주 촉진
2-1 이주 창업 핵심은 지역과 관계 형성 및 상담 가능한 시스템 만들기 …78
2-2 교육 이주 지방 고유의 교육환경이 이주자를 끌어들인다 …84
2-3 이주 결혼 수요와 선택지에 대한 고찰 …92
2-4 다운 시프트 ‘수입이 줄어도 이주 희망자는 많다’는 속설 …98
2-5 요양 이주 고령화 사회, 지방의 대응 …103
2-6 관계인구 관계하지 않는다는 새로운 비판 …109
2-7 성지 이주 마중받는 측에서 마중하는 쪽이 되다 …115
2-8 라이프스타일 이주 경제적 성공보다 삶의 질을 중시하는 이주 …121
2-9 루럴·젠트리피케이션 지방 이주 증가 때문에 생기는 문제 …126
2-10 이직 없는 이주 가능한 사람과 불가능한 사람 사이의 격차 …131
2-11 이주 매칭 기술 혁신으로 등장한 새로운 프로모션 …138
2-12 지방 이주의 상품화 이주의 소비화는 무엇을 야기하는가 …145
제3부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이주 촉진을 위한 접근법
3-1 과도한 지자체간 경쟁에서 탈피 …154
3-2 유익하고 우수한 이주자라는 발상 탈피 …160
3-3 ‘양’과 ‘질’의 이분법 탈피 …164
3-4 인구 중심 KPI에서 가치관 변화를 묻는 KPI로 …169
3-5 이주 순위와 적당한 거리감을 두며 교류 …176
3-6 광역 연대의 중요성 / 고치현 ‘2단계 이주 정책’의 핵심 가치 …182
3-7 이주 실태 파악을 위한 노하우 …188
3-8 담당자의 개인적 경험을 살리다 …196
3-9 이주자와 지역 주민의 갈등을 방지할 수 있는 11가지 아이디어 …200
3-10 격차 확대를 막기 위해 정의(正義) 관점이 필요 …207
3-11 이주하고 싶은 사람을 늘릴 것이 아니라 이주하고 싶은 사람을 격려하는 정책으로 …212
부록 | 지방 이주 분야 추천도서 10권 …217
끝내며 …223
역자 후기 …225
책속에서
지속적인 이주에 대한 관심이 있었다
코로나 위기와 시골살이에 대한 관심 때문에 최근 지방이주에 대한 관심이 는 것이 아니다. 이미 30년 이상 관심은 이어졌다.1-1장
정부의 이주촉진정책도 수십년간 확대되었다. 특히 과소대책, 인구감소 극복, 인재활용은 정책의 핵심가치로 이어지고 있다.1-6장
최근엔 다양한 형태의 이주가 진행되고 있다 이주 창업,2-1장 교육 이주,2-2장 이주 결혼,2-3장 요양 이주,2-5장 성지 이주,2-7장 다운 시프트,2-4장 라이프스타일 이주,2-8장 이직 없는 이주,2-10장 그리고 관계인구.2-6장
그러나, 현실은 이주 양극화가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 때문에 이주가 증가한 것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기업이 나서지 않으면 원격근무/재택근무 자체가 불가능하다.
이주의 양극화 현상도 무시못할 특징이다.1-5장
루럴・젠트리피케이션 위험도 감안해야 한다
루럴・젠트리피케이션은 원래 도시권에서 일어나던 젠트리피케이션이 지방농촌에서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루럴・젠트리피케이션의 가장 큰 문제는 그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을 누리는 이주민과 누리지 못하는 지역주민간에 격차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일시적으로 인구 늘리기만 추구하고 건물만 신축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이 본래 가져야할 자세를 성찰하며 그가운데 루럴・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2-9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