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98240903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3-03-3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1970년대 이야기
근대화는 왜 부패를 낳는가 - 경제발전과 부패의 함수관계
한국의 사회변동과 정치발전 - 사회계층의 재편성과 국민통합을 위하여
근대화의 정당과 정치안정
도시·농촌의 균형과 국가발전
한국 민주주의와 의회정치
근대화 - 불안정과 안정
개별적 자유보다 공동사회의 자유를 - 미국의 1930년대 파멸적인 궁핍시대와 루즈벨트
제2부 1980년대 이야기
정당활동과 정치적 안정
절충 및 혼합의 이론과 뒤진 국내정치 연구
한국과 영국의 투표행태 비교연구
통일의 필요성과 당위성
필리핀·스페인·아르헨티나·브라질의 민주화 달성과정
한국 민족주의의 이념 모색
제3부 1990년대와 2000년대 이야기, 그리고 미래
한국정치의 권력구조와 정치발전
한국 민주화와 정치안정 - 정치위기의 극복을 중심으로
지방자치제에 관한 연구 - 제도와 조직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국제화와 지방자치
한국의 정치문화와 민주주의의 공고화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과 NGO의 역할
한국의 민주주의 공고화, 어떻게, 언제 가능한가?
나는 지난 날을 생각한다
저자약력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한국 현대사에서 일어난 정치적 불안정과 그 원인, 그리고 정치안정으로 가는 길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_ 저자 서문 중
부패는 근대화의 산물이며, 특히 정치적 의식과 정치적 참여의 확대가 가져온 산물이다. 장기적으로 부패를 감소시키려면 이러한 참여의 조직화와 구조화가 필요하다. 현대정치에 있어서 정당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제도이다. 부패는 정당의 분열과 집단 간의 안정된 관계의 부재 및 용인된 구성 형태의 부재 위에서 번성한다. 효율적인 권위를 실현하고 개별집단이나 사회집단의 이익을 초월하는 조직적인 집단이익인 기구, 조직, 정당 등을 만들어 주는 정치조직의 발전은 부패의 기회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부패는 정치조직과 반비례한다.
강력한 정당체제는 제도화된 조직을 갖추고 새로운 집단들을 동화시키는 절차를 갖게 된다. 이러한 정당제도의 발달은 정치적 안정을 위한 필수요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