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8451200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23-09-14
목차
제1장 선 & 정의, 세상은 정의로운가
1. 사람들은 착하면 손해 본다고 생각한다.
2. 불의는 응징 당한다. 분노는 정의의 힘
3. 정의는 반드시 실현된다. 시간이 소요될 뿐이다.
4. 불의는 유지되지 못한다. 스스로 멸망한다.
5. 선한 사람들은 서로 돕고 협력한다. 상호 이익은 공기와 같다.
6. 선함은 반드시 혜택으로 돌아온다. 시간이 소요될 뿐이다.
7. 불의한 사람은 마음이 불행하다. 선한 사람은 자긍심이 충만하다.
8. 자연과 예술의 '미적 행복'과 '선함의 행복'에 대하여
9. 우리는 어떻게 선하게 되었는가. 선의 기원
10. 우리는 어떻게 불의에 맞설 수 있게 되었는가. 정의의 기원
11. 그런데 왜 불의는 일상적으로 나타나는가. 불의의 기원
12. 착하기만 하면 바보다. 선한 사람은 정의롭다. 선과 정의
13. 선과 인간존중과 예의
14. 자연도 약육강식이 지배하는 것이 아니다. 큰 사회의 종일수록 더 협력한다.
제2장 관대한 정의(generous justice) & 공정한 정의(impartial justice)
15. 우리의 부정적 인식 시스템(들보/티끌인식시스템)에 대하여 '관대'하게 봐야 객관적으로 보인다. '손해'본다 생각해야 '공정'하게 된다.
16. 화와 분노는 정의의 힘! 그렇다면 마구 화내도 되는가?
17. 과잉된 선이 아니라, 관대한 선, 최소한의 선을
18. 집단화된 정의, 당파적 정의는 더욱 과잉되고 잔인하다. 관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19. 인권보호를 위한 실질적 법치주의 정신, "과잉금지 원칙"에 대하여
20. 사법시스템의 객관성·중립성과 공정한 정의
21. 관용(관대함)이란 무엇인가, 관용(관대함)의 기원
22. 관대함과 정의, 그리고 용서에 대하여
23. 역사는 누가 승리했다라고 말하는가? 관대함인가? 자인함인가?
24.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대하여
25. 세상은 정의로운가. 왜 불의한 자들이 성공하는 것처럼 보이는가?
제3장 관대한 욕망, 생명력의 근원
26. 욕망에 대한 오랜 생각들. 짐승처럼 날뛰는 거대한 이기적 욕망을 두려워하다.
27. 개인적 '욕망과 사회적 인간으로서의 '도덕'의 충돌, 그리고 나 (자아)
28. 욕망은 최대한 긍정 되고 개인의 개성과 창의성은 존중 되어야 한다.
29.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30. 이기심에 대하여
제4장 행복론, 행복의 6가지 원천과 불안
31. 제1 원천. 욕망, 즐거움 (pleasure)의 행복
32. 제2 원천. 선한 인간 관계,사람으로부터의 행복
33. 제3 원천. 자아를 잊는 행복, '일체화'의 행복
34. 제4 원천. 자아를 희생하는 격정적 정의, 영웅적 행복
35. 제5 원천. 고매한 선, 이성적 행복
36. 제6 원천. 무한 긍정과 감사, 우주적 초월적 행복
37. 생명을 죽이는 불행의 원인 '불안'에 대하여
제5장 상대적이고 불확실한 우주, 그리고 관대한 세계관
38. 우주의 탄생과 진화
39. 거시 우주의 세계, 상대적인 시공간
40. 생명의 탄생과 진화
41. 미시 우주의 세계, 양자역학
42. 우리 우주는 실재하는가? 칸트와 양자 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