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불교철학
· ISBN : 9791198527806
· 쪽수 : 178쪽
· 출판일 : 2023-11-23
책 소개
목차
序: 지금 왜 원효인가? ................. 4
1. 원효의 생애와 현재의 우리 ..... . 6
2. 대승기신론소 및 별기 .............. 8
3. 원효의 대승철학과 깨달음, 그리고 실천Praxis ... 12
4. 원효철학의 역사적 지평 ......... 22
5. 이 책의 구성 ....... 25
일러두기 ...... 30
제1장 크루소, 또는 자연과 문명의 문제 ....... 36
제2장 스노볼. 또는 권력의지와 자기초극의 문제 ... 52
제3장 산양 방드르디, 또는 소유와 존재의 문제 ... 64
제4장 던 어머니, 그리고 깨어남 ..... 78
제5장 또 다른 스페란차, 차이가 편안히 드러나는 광장 106
제6장 깨어나는 새벽, 그리고 혁명의 문제 ..... 156
저자의 말 ... 167
저자소개
책속에서
1. 원효의 생애와 현재의 우리
원효는 신라에서 태어났다. 신라 금성 압량주 불지촌이 원효의 고향이다. 현재 그곳의 지명은, 경상북도 경상시 지안면이다.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우리 역사에서 가장 긴 전쟁을 치뤘던 시기가 끝나가고 불완전하나마 신라에 의한 통일이 이루어지는 시대를 살았다. 원효는 진평왕 39년인 617년에 태어나 686년 신문왕 5년 70세의 나이로 입적했다. 원효가 신라에 사는 동안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 무열왕, 문무왕을 거쳐 신문왕이 차례로 등극했다. 격동의 시기였다.
신라는, 동족이자 강대한 제국이었던 고구려와 백제는 물론, 백제와 연대한 일본, 마지막엔 당시 세계에서 최강의 제국이었던 당(唐)과 전쟁을 치뤄야 했다. 또한 고구려와 백제가 멸망한 후, 새롭게 통일된 나라를 만들어야 하는 과제가 놓여있었다.
3. 원효의 대승철학과 깨달음, 그리고
실천Praxis
3.1 일체의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일심이문(一心二門) 사상
원효는 소 및 별기를 통해 대승기신론의 일심(一心) 사상을 적극적이고 창조적으로 수용한 후 자신 사상의 핵심으로 삼았다. 그런데 원효의 일심(一心)은, 단순히 각각으로 존재하는 중생들 낱낱의 마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원효는 말한다. 일심(一心)이란 일법계(一法界)[한 존재계, 존재계 전체, 이하에서는 ‘존재계’로만 표현]이다. 원효의 일심(一心)은 존재계와 존재계를 구성하는 일체의 존재를 모두 아우르는 술어인 것이다. 일심(一心)이란, 다름 아닌 생명력으로 가득한 우주 그 자체, 즉 생명적 우주를 이르는 것이다. 그리고 일심(一心)은, 두 개의 문인 이문(二門) 즉 심진여문(心眞如門)과 심생멸문(心生滅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진여문(心眞如門)이란 존재계와 일체 존재의 공통(通)된 상(相)이자 원리이고,
심생멸문(心生滅門)이란 개별적 존재를 이르는 술어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