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98557735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4-10-31
책 소개
목차
서문
시작하는 글
젊은 황 교수의 ‘마음의 아픔’
황 박사의 심리학, 그리고 자기self 찾기
황 박사의 ‘마음’ 찾기
대한민국 사람들의 ‘자기 마음 찾기’ 과제에 뛰어들다
제1장 내 마음, 알 수 있나요?
‘마음’을 알아야 하는 이유?
마음 읽기가 어려운 이유
마음의 정체: 마음은 영혼일까? 뇌에 있을까?
마음의 자유: 고통으로부터의 해방
제2장 마음 읽기의 역사
마음 읽기의 역사
마음과 아픔의 관계 그리고 ‘정신병’의 탄생
어떻게 마음의 아픔이 정신병이 되었나?
제3장 마음을 잃어버린 대한민국의 현주소, 그리고 그에 맞는 해법
DSM의 역사
마음의 아픔과 관련된 거대한 음모론?
마음의 아픔이 ‘정신병’이 될 때, 마음은 사라진다
‘마음’을 인정하지 못한 교육 현장의 비극
개인의 마음을 ‘있는 그대로’ 본다는 의미
제4장 마음, 자아self, 성격: 내 마음의 MRI, WPI 검사
셀프self와 자아自我의 확인: 너와 나를 구분짓는 특성이 ‘성격’이다
‘절대자 신’에 대한 믿음과 ‘마음’의 발견
심리검사와 ‘마음’ 탐구
마음의 MRI
마음 읽기와 믿음의 확인
WPI 검사: 마음의 MRI
제5장 그래서, 나는 리얼리스트?
리얼리스트,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요?
리얼리스트 성향을 나타내는 대표 인물과 심리·행동 특성
‘정답’을 찾는 리얼리스트
리얼리스트가 살아가는 법
리얼리스트를 양육하는 사회
리얼리스트의 삶에서 문제와 답은 무엇인가?
리얼리스트에게 ‘마음’이란?
리얼리스트의 ‘마음 읽기’란?
리얼리스트의 심리와 문제 인식: 책임자 색출과 진상규명
리얼리스트 마음으로 ‘상황’과 ‘문제’ 인식하기
리얼리스트의 ‘자기 인식’과 그것의 어려움
리얼리스트의 공감과 관계의 특성
- 상담사연 1. “4수 끝에 간 대학, 결국 휴학 했어요”
- 상담사연 2. “인정받는 사람으로 살고 싶어요”
- 상담사연 3. “그냥 현실에 맞춰 살고 싶어요”
WPI를 활용한 유명인사의 마음 읽기 - 워렌 버핏
제6장 그래서, 나는 로맨티스트?
로맨티스트,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요?
로맨티스트 성향을 나타내는 대표 인물과 심리·행동 특성
- 상담사연 1. 조직생활의 고민과 인간관계의 어려움
- 상담사연 2. 로맨티스트의 안정감: 한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 상담사연 3. “실력이 부족한 것 같지만 자기 계발은 딱히 안 하는데, 어떡해요?”
- 상담사연 4. “심리상담사로 일하는 저의 마음을 모르겠어요”
WPI를 활용한 유명인사의 마음 읽기 - 테일러 스위프트
제7장 그래서, 나는 휴머니스트?
휴머니스트,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요?
휴머니스트 성향을 나타내는 대표 인물과 심리·행동 특성
조직 속에서 휴머니스트는 어떻게 자신의 특성을 보이는가?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휴머니스트를 위한 삶의 조언
휴머니스트의 성격에 맞는 업무 수행 방식이 있다고요?
휴머니스트가 발휘하는 리더십의 특성
휴머니스트 마음으로 살아가는 모습들
- 상담사연 1. “연이은 취업실패로 자꾸 위축돼요”
- 상담사연 2. “지금 제 성격이 본래 성격인가요? 만들어낸 건가요?”
WPI를 활용한 유명인사의 마음 읽기 - 도널드 트럼프
제8장 그래서, 나는 아이디얼리스트?
아이디얼리스트,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요?
아이디얼리스트 성향을 나타내는 대표 인물과 심리·행동 특성
아이디얼리스트,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아이디얼리스트’ 성향 또는 마음의 특별함
아이디얼리스트로 살아남은 사람들의 특성은?
한국 사회에서 아이디얼리스트로 살아남으려면?
한국 사회 속의 아이디얼리스트 삶의 사례
- 상담사연 1. “내가 생각하는 내가 될 수 없을 것 같아요”
- 상담사연 2. “결혼했는데, 남편과 제가 서로 잘 맞추어 살고 있나요?”
- 상담사연 3. 결혼을 망설이는 아이디얼리스트 ‘주현’님의 문제 해법
WPI를 활용한 유명인사의 마음 읽기 - 일론 머스크
제9장 그래서, 나는 에이전트?
에이전트,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요?
에이전트 성향을 나타내는 대표 인물과 심리·행동 특성
로봇같다는 에이전트도 삶의 어려움이나 아픔을 느끼나요?
에이전트의 마음을 잘 보이는 사람은 누군가요?
- 상담사연 1. “제가 하는 일이 바로 저예요”
- 상담사연 2. 간호 일을 그만두고 소설가가 되고 싶은 에이전트의 마음
- 상담사연 3. 에이전트의 삶의 고민과 ‘마음’을 통한 해법찾기
각기 다른 자기 인식과 믿음에 의한 각자의 ‘마음 읽기’
WPI 워크숍에서 이루어지는 ‘마음 읽기’ 연습
WPI를 활용한 유명인사의 마음 읽기 - 손흥민
제10장 마음을 알기 위한 두 번째 단계
‘나만의 마음’을 확인은 했지만?
가치를 통해 ‘나 자신self’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
어떻게 할 것인가?: 삶의 방향과 가치 그리고 정체성 찾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나만의 진짜 가치를 찾는 방법
나가는 글
마음치유사의 역할과 WPI 심리상담치료모델을 통한 자아 성찰과 삶의 변화
내 삶을 변화시키는 마음 읽기의 첫 걸음 「WPI 워크숍」
참고문헌 및 보충내용
도서출판 마음읽기
커버스토리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는 40년 동안 심리학을 공부하고 연구해 왔다. 그 시간 동안 학생들에게 심리학을 가르치면서도 나에게는 풀리지 않는 의문이 있었다. 바로 ‘심리학이 뭔가 잘못되었다’는 느낌이었다. 아니, ‘이상하다’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이다. 심리학을 배우면 배울수록 ‘심리학이 과연 인간의 마음을 탐구하는 학문일까?’라는 의문을 점점 더 가지게 되었다.
_ 시작하는 글
나 자신의 마음이 혼란스럽고 힘들 때, 나는 심리학 법칙이나 개념을 나에게 적용하기보다는, ‘나의 마음’이 어떤 상태인지 알아보려 했다. 보편적인 마음에 대한 이론이 아닌, 내가 현재 어떤 사람으로 살아가고 있으며,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지를 얼마나 잘 인식하고 있는지 알고자 했다. 그렇게 시작된 것이 바로 자기 마음을 의식하고 인식하는 심리학에 대한 나의 연구였다. 그것이 바로 ‘한국인의 심리코드’ 연구 프로젝트였다.
_ 시작하는 글
‘마음’은 살아있는 인간이 각자의 방식으로 자신을 인식할 때 생겨나는 비물질적인 심리현상이다. 심리학은 이러한 심리현상을 물리적인 법칙처럼 밝혀내거나 최소한 물리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현상으로 탐구하려 했다. 이에 따라, 마음의 기능이나 심리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신체 기관, 특히 ‘뇌’와 ‘신경계’의 활동이 마음을 담고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시나브로 심리학자들에게 별다른 의문 없이 수용되었다. ? 그러나 마음에 대한 이런 이해는 마음이 ‘자율성과 독립성을 가진 존재로서의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뚜렷하게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는 기본 전제를 부정한다. ? 뇌의 기능으로 마음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마음을 뇌의 기능으로만 환원하려 할수록 인간을 기계나 물질적 존재로만 보는 한계에 빠지게 된다.
_ 내 마음, 알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