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8569929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5-05-10
책 소개
목차
제1부 창업 여정의 시작
1장 서론: AI 시대의 창업과 혁신
1.1 변화하는 창업 환경과 AI의 역할
1.2 왜 지금 창업인가?
1.3 본 책의 접근 방식: MYSELF-ANDONG-LOCAL-STARTUP 프레임워크
2장 창업 준비: 마음가짐과 기본 지식
2.1 창업가 정신의 핵심 요소
2.2 실패와 회복탄력성
2.3 기본적인 비즈니스 용어와 개념
제2부 MYSELF - 자기 이해와 창업가적 자질 발견
3장 M(Motivation Discovery) - 창업 동기와 열정 찾기
3.1 내면의 동기 발견하기
3.2 열정과 비즈니스의 연결점
3.3 AI 도구를 활용한 동기 탐색 워크숍
4장 Y(Your Core Values) - 개인 가치관과 비즈니스 가치 연계
4.1 가치관 중심의 비즈니스 구축
4.2 내 가치관이 반영된 비즈니스 모델
4.3 가치관 명확화 워크시트
5장 S(Strengths Analysis) - 강점 기반 창업 준비
5.1 창업가적 자질 평가
5.2 성격 유형과 비즈니스 스타일
5.3 AI 기반 강점 분석 도구 활용법
6장 E(Experience Inventory) - 경험을 자산으로 전환하기
6.1 과거 경험의 패턴 분석
6.2 실패로부터의 학습
6.3 경험 매핑 워크숍
7장 L(Leadership Style) - 창업가로서의 리더십 개발
7.1 창업가에게 필요한 리더십 유형
7.2 팀 내 역할과 의사결정 스타일
7.3 리더십 진단 및 개발 계획
8장 F(Future Vision) - 창업 비전과 목표 설정
8.1 개인 비전과 기업 비전의 연계
8.2 장기적 관점의 목표 설정
8.3 비전 보드 만들기 워크숍
제3부 ANDONG - 혁신적 아이디어 발굴과 검증
9장 A(Analyze Market Trends) - 시장 기회 포착하기
9.1 트렌드 분석 방법론
9.2 데이터 기반 시장 조사
9.3 AI 도구를 활용한 트렌드 인사이트 도출
10장 N(Needs Identification) - 고객 니즈와 문제점 발견
10.1 고객 페인포인트(Pain Point) 발굴 기법
10.2 인터뷰와 관찰 방법론
10.3 문제 정의 워크숍
11장 D(Diverging Ideas) - 창의적 아이디어 발산
11.1 브레인스토밍 고급 기법
11.2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11.3 AI 활용 아이디어 확장 기법
12장 O(Opportunity Mapping) - 기회 영역 시각화
12.1 기회 매트릭스 작성법
12.2 잠재력 평가 프레임워크
12.3 기회 지도 워크숍
13장 N(Narrowing Focus) - 아이디어 선별과 집중
13.1 아이디어 평가 기준 설정
13.2 우선순위 결정 방법론
13.3 포트폴리오 접근법
14장 G(Go/No-Go Decision) - 아이디어 검증과 의사결정
14.1 최소 실행 가능 실험(MVE)
14.2 가설 검증 방법론
14.3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제4부 LOCAL - 비즈니스 모델 구축과 현지화
15장 L(Lean Business Canvas) - 린 비즈니스 모델 설계
15.1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작성법
15.2 린 스타트업 방법론
15.3 AI 기반 비즈니스 모델 설계 도구
16장 O(Optimal Customer Profile) - 이상적인 고객 정의
16.1 고객 세그먼테이션 방법론
16.2 페르소나 개발 워크숍
16.3 고객 여정 지도 그리기
17장 C(Competitive Landscape) - 경쟁 환경 분석
17.1 경쟁사 분석 프레임워크
17.2 시장 포지셔닝 전략
17.3 차별화 요소 도출 워크숍
18장 A(Action Strategy) - 실행 계획 수립
18.1 전략적 목표 설정
18.2 마일스톤 계획 수립
18.3 핵심 성과 지표(KPI) 설정
19장 L(Logistics & Resources) - 자원 확보와 운영 계획
19.1 필요 자원 분석
19.2 공급망 설계
19.3 자원 획득 전략
제5부 STARTUP - 스타트업 구축과 성장
20장 S(Strategy Formation) - 비즈니스 전략 구체화
20.1 전략적 포지셔닝
20.2 핵심 가치 제안 정립
20.3 성공 요인 정의 워크숍
21장 T(Target Market Definition) - 목표 시장 분석
21.1 TAM-SAM-SOM 분석 방법
21.2 시장 규모 추정 기법
21.3 시장 진입 전략
22장 A(Acquisition Channels) - 고객 획득 전략
22.1 채널 전략 수립
22.2 디지털 마케팅 기초
22.3 성장 해킹 방법론
23장 R(Revenue Model Design) - 수익 모델 구축
23.1 다양한 수익 모델 탐색
23.2 가격 책정 전략
23.3 수익성 분석
24장 T(Technology & Innovation) - 기술 전략과 혁신 관리
24.1 기술 스택 선택
24.2 IP 전략 수립
24.3 혁신 관리 시스템
25장 U(Unique Value Creation) - 고유 가치 창출
25.1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 구축
25.2 가치 사슬 분석
25.3 차별화 전략 워크숍
26장 P(Partners & Ecosystem) - 파트너십과 생태계 구축
26.1 전략적 파트너십 개발
26.2 에코시스템 접근법
26.3 협력 모델 설계
제6부 창업 후 성장과 도전
27장 투자 유치의 실제
27.1 투자자 유형별 접근법
27.2 피치덱 작성과 발표 기술
27.3 투자 협상 가이드
28장 스케일업 전략
28.1 성장 단계별 도전과제
28.2 조직 확장 전략
28.3 성장 관리 시스템
29장 창업가의 지속적 성장
29.1 개인 성장과 회사 성장의 균형
29.2 멘토링과 네트워킹
29.3 지속 가능한 리더십
부록
책속에서
창업가 정신의 핵심 요소
창업가 정신은 단순한 기술이나 지식 이상의 것입니다. 이는 불확실성을 감수하고, 혁신을 추구하며,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사고방식과 태도를 의미합니다.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불확실성 감수: 창업은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험을 인지하고 감수하며, 긍정적인 자세로 도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혁신: 기존의 틀을 깨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며, 지속적으로 개선하려는 의지가 필요합니다.
· 문제 해결 능력: 복잡한 문제를 분석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끈기: 실패에도 굴하지 않고 목표를 향해 꾸준히 노력하는 인내심이 중요합니다.
· 리더십: 팀을 이끌고 동기를 부여하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 적응력: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를 빠르게 학습해야 합니다.
· 비전: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 자기 효능감: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합니다.
· 개방성: 새로운 아이디어와 피드백을 수용하고, 지속적으로 배우려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실패와 회복탄력성
창업 과정에서 실패는 불가피한 부분입니다. 중요한 것은 실패를 통해 배우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것입니다. 회복탄력성은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됩니다.
· 자기 인식: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이해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자기 조절: 스트레스와 감정을 관리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자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낙관주의: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하고,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아야 합니다.
· 사회적 지원: 가족, 친구, 동료 등 주변 사람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어려움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문제 해결 능력: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 유연성: 변화하는 상황에 맞춰 계획을 수정하고,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의미 부여: 자신의 경험에서 의미를 찾고, 성장의 발판으로 삼아야 합니다.
· 자기 연민: 자신에게 친절하고 관대하며, 실수를 용서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목표 지향성: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고객 페인포인트 발굴 기법
고객 페인포인트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겪는 불편함, 불만, 어려움 등을 의미합니다. 고객 페인포인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고객 페인포인트를 발굴하는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설문 조사: 고객에게 직접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불편함, 개선점 등을 파악합니다.
· 인터뷰: 고객과 1:1 인터뷰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불만 등을 심층적으로 파악합니다.
· 사용성 테스트: 고객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 과정을 관찰하면서 불편함, 오류 등을 파악합니다.
· 온라인 리뷰 분석: 온라인 쇼핑몰, 소셜 미디어, 블로그 등에 올라온 고객 리뷰를 분석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의견과 불만을 파악합니다.
· 고객 지원 데이터 분석: 고객 지원 센터에 접수된 문의, 불만 사항 등을 분석하여 고객의 페인포인트를 파악합니다.
· 페르소나 기법: 가상적인 고객 페르소나를 설정하고, 페르소나의 입장에서 문제점을 발굴합니다.
· 공감 지도: 고객의 생각, 감정, 행동, 말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고객의 입장을 공감하고 이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