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8569981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25-07-10
책 소개
목차
제1장 CoachSulting 도구 모음
Ⅰ. 진단 및 평가 도구
Ⅱ. 질문 기법과 프레임워크
Ⅲ. 실행 계획과 모니터링 템플릿
Ⅳ. CoachSulting 통합 도구 시스템
Ⅴ. CoachSulting 도구 실전 적용 사례
Ⅵ. CoachSulting 사례 분석 워크시트
제2장 컨설팅 전문 도구 상세
- Ansoff 매트릭스
- BCG 매트릭스
- BEP(손익분기점) 분석
- BMC(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 BSC(블루오션 전략 캔버스)
- BSC(균형성과표)
- CAPA(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시스템
- Change Readiness(변화 준비도) 평가
- Chasm 분석
- Competency 매트릭스
- CSF(핵심성공요인) 평가
- Decision 매트릭스
- Executive Time 분석
- Gap 분석
- Job Analysis
- KPI(핵심성과지표) 대시보드
- Marketing Mix(4P, 7P, 4C)
- McKinsey 7S 조직역량 진단
- MVP(최소기능제품) 테스트
- NGT(명목집단기법)
- OKR(Objectives & Key Results)
- Pareto(80/20 법칙) 분석
- PDCA 개선 사이클 워크시트
- PESTEL 분석
- Positioning 맵
- Priority 매트릭스
- Product Life Cycle 분석
- QC(품질관리) 7대 도구
- QWM(빠른 성과 매트릭스)
- RACI 매트릭스
- Risk Assessment 매트릭스
- Scenario Planning
- SIPOC 다이어그램
- Stacey 매트릭스
- Stakeholder 분석
- STP 분석
- Succession Planning
- SWOT 분석
- TOC(제약이론)
- Value Chain 분석
- Visioning
- VRIO 분석
- 3C 분석
- 5 Forces 분석
- 5 Whys 분석
- 6 Boxes 모델
- 6시그마 DMAIC 분석
책속에서
진단 및 평가 도구
통합적 상황 진단 프레임워크(Integrated Situation Assessment Framework)
목적: 조직이나 개인의 현재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CoachSulting 접근 방향 설정
구성 요소
• 경영 환경 분석: PESTEL 분석을 통한 외부 환경 요인 파악
• 조직역량 평가: SWOT 분석과 핵심 역량 진단
• 문화 및 리더십 진단: 조직 문화 유형 분석과 리더십 스타일 평가
• 이해관계자 맵핑: 주요 이해관계자 식별 및 영향력/관심도 분석
• 변화 준비도 측정: 변화에 대한 조직/개인의 준비 수준 평가 활용 방법
● 인터뷰, 설문, 관찰,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 수집
● 각 요소별 현황 정리 및 시각화
● 주요 시사점과 도전 과제 도출
● CoachSulting 우선순위 영역 식별
2. 갭 분석 매트릭스(Gap Analysis Matrix)
목적: 현재 상태와 목표 상태 간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분석
구성 요소
• 영역별 현재 상태 측정: 수치화된 지표 또는 질적 평가
• 목표 상태 정의: 명확한 목표 지표 설정
• 갭 크기 측정: 현재와 목표 간 차이의 정량적/정성적 평가
• 갭 원인 분석: 근본 원인과 영향 요인 분석
• 우선순위 설정: 중요도와 시급성 기준 우선순위 매트릭스
활용 방법
● 주요 성과 영역별 현재 상태 측정
● 각 영역별 명확한 목표 수립
● 갭 분석표 작성 및 원인 파악
● 해결 우선순위 결정 및 실행 계획 수립
3. 360도 역량 피드백 도구(360-Degree Competency Feedback)
목적: 다양한 관점에서 개인/팀의 역량과 행동 평가
구성 요소
• 역량 프레임워크: 직무/역할별 핵심 역량 정의
• 다면 평가: 상사, 동료, 부하직원, 고객 등 다양한 관계자 피드백
• 자기 평가: 동일 항목에 대한 본인의 자가 평가
• 인식 차이 분석: 자기 인식과 타인 인식 간 차이 도출
• 강점/개발 영역 도출: 데이터 기반 강점과 개발 필요 영역 식별
활용 방법
● 역할에 맞는 핵심 역량 정의 및 평가 항목 설계
● 온라인 도구나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한 피드백 수집
● 결과 시각화 및 주요 패턴 분석
● 피드백 기반 개발 계획 수립 지원
4. 시스템 사고 맵핑(Systems Thinking Mapping)
목적: 복잡한 상황과 문제의 시스템적 상호 관계 이해
구성 요소
•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 요소 간 상호 영향 관계 시각화
• 이해관계자 시스템 맵: 주요 이해관계자 간 관계와 영향 흐름
• 제약 요인 분석: 시스템 내 병목 현상과 제약 요소 파악
• 레버리지 포인트 식별: 시스템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점 발견
• 시나리오 모델링: 다양한 변화 시나리오와 영향 예측
활용 방법
● 주요 요소와 변수 식별
● 요소 간 관계와 피드백 루프 맵핑
● 시스템 패턴과 행동 분석
● 효과적 개입 지점 식별 및 방안 수립
5. 조직 에너지 진단 도구(Organizational Energy Assessment)
목적: 조직의 활력과 에너지 상태를 진단하여 변화 동력 파악
구성 요소
• 생산적 에너지 측정: 열정, 몰입, 주도성 수준
• 편안한 에너지 측정: 만족, 신뢰, 안정감 수준
• 체념적 에너지 측정: 냉소, 무관심, 체념 수준
• 부정적 에너지 측정: 분노, 두려움, 불안 수준
• 에너지 맵: 팀/부서별 에너지 상태 시각화
활용 방법
● 설문이나 워크숍을 통한 에너지 상태 측정
● 조직 에너지 프로필 작성
● 에너지 흐름의 장애 요인 파악
● 에너지 활성화 전략 수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