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문학일반
· ISBN : 9791198869593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24-10-16
목차
제1부
출향 시인의 시작품 속에 나타난 고향 의식
- 충남의 출향 시인의 시작품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면서
2. 삶의 기억으로서의 고향
3. 삶의 아픔으로서의 고향
4. 삶의 관조로서의 고향
5. 삶의 꿈으로서의 고향
6. 마치면서
제2부
작고 시인론
•질곡桎梏에서의 혁신革新 - 이해문李海文의 시 세계
•풀빛 고향과 간결한 언어言語의 조화調和 - 박용래朴龍來의 시세계
•아직은 살아갈 맛은 있다 - 우봉又峰 임강빈任剛彬의 시세계
•거울보기, 또는 그 삶의 모습 - 해대海垈 한상각韓相珏의 시 세계
•인연 갖기, 혹은 질서 창조 - 청하靑荷 성기조成耆兆의 시 세계
•앙금, 또는 삶의 본형本形을 찾아서 - 이소耳笑 임영조任永祚의 시 세계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 지광현池光鉉의 시 세계
제3부
시인의 고향을 찾아서
•임영조 시인의 생가지엔 발자국이 없다
•石艸 申應植의 삶과 文學
저자소개
책속에서
여기저기 제 각기 자리하여 있던 것들을 모아보니 질적이라기보다는 양적으로만 넉넉하여 진 듯하다. 언젠가는 한 곳에 모으려 한 마음에는 그런대로 무난하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지만 질적으로는 영 개운하지가 않다. 그도 그럴 것이 여기에 함께 모여진 글들은 모두 어떠한 계기로 인하여 쓰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이 대부분 이거니와 본격적으로 ‘평론’이라는 전제하에 쓴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충남’이라는 한 지역을 시적인 고향으로 보고 그 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고시인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작품 세계를 일별하여 놓은 것들이다. 특히 여기에 함께 하고 있는 글들은 뜻하지 않은 어떤 계기로 하여, 다시 말하면 충남 내의 문인단체에서 발간하고 있는 《충남문학》 《포에지 충남》이라든가《새여울》 《시도詩圖》 《서안시西岸詩》 등 동인지에서 ‘특집기획특집’이라는 의도되어진 ‘특집 원고’들인 것이다. 더더욱 이러한 원고들은 ‘충남’라는 지역적인 범주 안에서 이루어진 글들이다.
<중략>
‘충남’을 본향本鄕으로 ‘충남’의 시적 정체성을 찾아 참다운 ‘충남’의 모습에 그치지 않고 그려지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 「책머리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