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AI, 빅테크, 저널리즘

AI, 빅테크, 저널리즘

(기술이 바꿀 뉴미디어의 미래)

이성규 (지은이)
날리지
17,6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840원 -10% 0원
880원
14,960원 >
15,84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84원
14,256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80원 -10% 700원 11,970원 >

책 이미지

AI, 빅테크, 저널리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AI, 빅테크, 저널리즘 (기술이 바꿀 뉴미디어의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9889647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4-11-27

책 소개

다양한 언론사 경험과 미디어 스타트업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저널리즘의 근본적인 혁신 방안을 제시한다. 저자는 빅테크 플랫폼으로부터의 독립성 확보 전략, AI 기술 발전이 가져올 저널리즘의 변화 방향, 그리고 디지털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저널리즘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저널리즘과 기술 혁신

새로운 뉴스 플랫폼 시대의 서막
정정보도의 딜레마와 디지털 해법
노벨란티와 버즈피드의 크리에이터+AI 프로젝트
멀어지는 언론사의 소프트웨어 기업 꿈
합성 미디어의 부상과 미디어 3.0
소규모 언론사와 이미지 생성 AI의 대중화
기사 이어 삽화까지 뻗친 AI의 창의성, 그러나
웹3의 평판 경제와 저널리즘 미래
뉴스레터발 다른 유형의 언론사가 오고 있다
기후변화 미디어 그리스트와 저널리즘 혁신
정보원 다양성을 위한 저널리즘 테크놀로지
허위조작정보 자동생산, 인간-기계 협업의 위협
클럽하우스와 팩트체킹
이루다가 저널리즘에 남긴 숙제
자동팩트체킹 기술과 기본기

2장. 빅테크와 저널리즘

빅테크의 저널리즘 보조금 정책과 언론의 딜레마
뉴스가 사라진 빅테크 플랫폼, 그 상상이 필요한 시점
숏폼 영상의 인기와 페이스북의 뉴스 이별 선언
언론사의 AI ‘인프라 포획’과 플랫폼 종속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와 기자들의 인지편향
포털 협력 유인책으로서의 Trust.txt
네이버 뉴스와 구글 뉴스의 공정
뉴스 알고리즘 감시와 정책설계자의 역할
포털 알고리즘 비판과 감시 프레임워크
빅테크는 왜 뉴스레터에 뛰어드나

3장. 저널리즘의 위기와 도전


그날이 오면
뉴스 회피와 퍼즐의 성공
뉴스의 공정이용과 저널리즘 산업의 위기
관점 검색과 인지부조화의 해결
뉴스의 위기와 비뉴스 버티컬의 부상
NYT의 롤모델 버즈피드 뉴스의 폐업이 남긴 교훈
뉴스의 형식의 파괴와 저널리즘의 신뢰 회복
난해한 MZ와 마케터 출신 CEO
팩트의 빈곤과 픽션의 풍요, 비판적 무시
트럼프 방송중단과 따옴표 저널리즘
뉴스에 대한 신뢰는 진실과 진심의 결합물

참고 문헌

저자소개

이성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콘텐츠 AI 스타트업 미디어스피어의 대표다. 고려대학교에서 식품자원경제학으로 학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디지털문화정책 전공으로 석사, 박사를 수료했다. 오마이뉴스, 매일경제, 블로터 등에서 정치부, 경제부, IT 담당 기자로 활동했다.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블로거뉴스 프로덕트를 기획했고 구글에서 뉴스 혁신 생태계 파트너십 매니저로 뉴스 혁신 프로젝트 지원 업무를 담당했다. 미디어 스타트업 전문 엑셀러레이터 ‘메디아티’에서 국내 뉴미디어 스타트업 뉴닉, 널 위한 문화예술, 어피티 등을 발굴하고 투자하는 역할도 맡았다. 현재는 문체변경 AI ‘오웰’, 콘텐츠 수익창출 플랫폼 빌더 ‘블루닷’을 개발해 운영하고, 유튜브 숏북 제작 AI 등을 개발하고 있다. 집필한 저서로는 《트위터, 140자의 매직》, 《혁신 저널리즘》, 《사라진 독자를 찾아서》, 《AI와 콘텐츠 스타트업》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생성 AI로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다. 뉴스는 일찌감치 생성 AI와의 대화를 시작했다. 늘 그랬던 것처럼 생성 AI가 변화 시켜 놓을 뉴스 생태계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그 중에선 과찬과 예찬론이 주류를 이룬다. 기자를 대체할 것이란 섣부른 예단도 끊이지 않는다. 당장에라도 도입하지 않으면 뒤처질 것 같은 분위기도 연출된다. 역사적으로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이러한 초기 상황이 불러일으키는 불안감은 기억상실에서부터 온다. 뉴스와 기술의 대화에 대한 역사적 기억상실증. 신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기술의 계보를 망각하고, 대화의 속성을 잊어버리면서 이 감정은 증폭된다. 기술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반복되는 망각에서 기인한다. 이 책은 뉴스와 기술에 대한 우리의 기억상실증에서 다소 벗어나 보자는 시도다.
_「들어가는 말」 중에서


생성형 AI는 뉴스 산업이 다시 플랫폼을 제어할 수 있는 짧은 기회의 시간을 제공할 것이다. 의존성을 강화하는 더 큰 압력도 동시에 가할 것이다. 이럴 때일수록 뉴스는 기술과의 긴 호흡을 통해 저널리즘이라는 핵심 가치에 집중하는 데 더 많은 에너지를 쏟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기술, 수용자와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며 자신에 몸에 맞게 기술을 비트는 창의적 변형 전략이 필요하다. 비록 플랫폼 통제권에서 자유롭지 못한 시점이 도래한다더라도 뉴스는 플랫폼이라는 무대에서 더 많은 수용자들과 저널리즘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눌 때 새로운 번성의 시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역사가 증명한 사실이다. 새로운 지배적 기술이 다가온다 해서 늘 비관할 필요는 없다.
_ 「새로운 뉴스 플랫폼 시대의 서막」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8896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