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편’으로서의 한일관계를 넘어서 (혐오와 야합의 시대, 성신지교 다시 돌아보기)
유불란 | 논형
16,200원 | 20230930 | 9788963579849
한일관계에서 되풀이 되어온 ‘방편적 사고’와 앞으로의 지향점인 ‘성신지교誠信之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역사적으로 되풀이 되어온 한국과 일본 두 나라 사이에서의 ‘방편적 사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의를 다해 신뢰를 쌓아나가는 교제誠信之交’를 지향해야 한다고 역설합니다. 그간 우리는 국내정치 차원에서의 이러저러한 목적을 이루고자, 그 방법 내지 수단으로서 한일관계를 이용하려 했던 장면을 숱하게 목격하였습니다. 동시에 그로 인한 부작용 또한 이미 질리도록 여러 차례 경험하였습니다. 이에 저자는 이와 같은 일진일퇴의 도돌이표와 같은 ‘갈등의 한일관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어떤 정책이나 선언 같은 대증對症 처방이 아니라, 상대를 방편 삼아 이용하고픈 유혹을 단호히 뿌리치고 상호 신뢰를 쌓고자 하는 결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저자는 이 책의 핵심 키워드인 ‘방편적 사고’와 ‘성신지교’라는 말의 시작점을 일본의 외교 실무자로서 조선 측의 상대역이었던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 1668년~1755년)에서 찾습니다. 그간 미화되어왔던 대중적인 ‘아메노모리’ 상 배후의, 교섭과정에서 나름의 국익과 국격을 지키기 위해 때로는 성내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갈등 속에서도 상대측 조선과의 성신지교를 지향했던 역사 속 실제 인물로서의 우삼동雨森東의 문제의식에 주목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이로부터 이 책은 다음의 다섯 장을 통해 한일관계사에서의 방편적 사고의 전개와 그 극복 방안에 대해 논하고 있습니다.
제1장 「생존을 위한 궤변 - 방편으로서의 ‘조선’」에서는 일본 측의, 그중에서도 특히 한반도와의 교섭을 전담하고 있던 쓰시마 측에서, 마치 고래 등 사이에 낀 새우와도 같던 저들의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 서양 세력의 등장이라는 위기의 순간에 어떻게 ‘조선’을 방편으로 활용하려 했는지를 분석했습니다.
제2장 「희생자 의식을 통한 인심의 고취 - 방편으로서의 ‘왜(倭)’」에서는, 조선 측 역시 마찬가지로 국내 정치 차원에서의 인심의 수습과 단결을 위해 일종의 프로토 내셔널리즘적 차원에서, 조선 후기 내내 임진전쟁의 기억을 어떻게 활용해 왔는지에 주목했습니다.
제3장 「Gentleman과 부시武士, 그리고 무사 - ‘방편’에서 내재화된 가치로」에서는 저들 경계 대상이 밉기야 하지만, 바로 그런 까닭에서 저들이 어떻게 그토록 위협적인 존재로 성장하게 되었는지 본받아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 일본에서, 그리고 조선에서 차례차례 일어나는 과정을 추적해 보았습니다.
제4장 「윤치호에서의 ‘일본화’의 행방 - ‘목적’과 ‘방편’의 전도」에서는, 이처럼 ‘방편으로서의 일본’이 일본을 겨냥하는 대신 우리 인민들을 향해 이들을 계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전환되어 가던 가운데, 윤치호의 경우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 어느 틈엔가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게 된 근대화라는 목적과 본래대로라면 이를 위한 방편에 불과했을 터인 ‘일본’의 가치전도가 어떻게, 또 왜 일어나게 되었는지를 분석했습니다.
제5장 「혐한의 시대 - ‘한국’이라는 방편의 부활」에서는, 이천년대 이후 일본의 보통 사람들에게 한국이 재발견되면서 벌어진 혐한嫌韓의 등장을 통해, 오늘날 한일관계에서 서로를 향한 방편적인 사고가 어떻게 다시 두드러지게 되었는지, 나아가 그로부터 어떤 현실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습니다.
이 책은 어떤 전문적인 학술서라기보다는 한일 관계사의 역사적 궤적 속에서 그간 나름의 일관된 맥락을 찾으려 노력해 온 연구자로서, 양국관계에 대해 고민하는 대중 독자들께 생각의 재료들, 고찰해 볼 사상적 싹을 제공해 드리고자 정리해 본 일종의 사고 노트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역사적 궤적 운운하는 순간, 혹시 케케묵은 한일 간의 역사적 에피소드들을 적당히 포장해 되풀이하려는 것은 아닌가란 질문이 제기될 법합니다. 솔직히 우리 모두가 역사로부터 배워야 한다는 구호는 이미 신물나게 들어왔었습니다. 하물며 그 대상이 일본이라면 이미 ‘정답’, 즉 식민지의 아픈 경험으로 귀결된 지난날 우리 자신의 잘못과 저들의 언제 되살아날지 모를 야욕을 망각해선 안 된다는 ‘교훈’이 암묵적으로 정해져 있다시피 할 터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되풀이 되어온 한일관계의 병폐가 ‘방편적인 사고’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보여주고자 합니다. 그래서 어찌됐든 떼려야 뗄 수 없는一衣帶水 한일관계의 나아갈 길에 대해 우리 모두가 다시 한 번 고민해 보는 기회가 되기를 작게나마 소망하는 마음으로 책을 출간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