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해월 최시형 (세상을 구한 평민지식인)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63579962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25-06-1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63579962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25-06-10
책 소개
해월 최시형의 언행을 다루고 있는 책이다. 최시형이야말로 세상을 구한 평민지식인이라는 관점에서 현대의 교양 시민들이 꼭 알았으면 싶은 내용을 차곡차곡 담은 것이다. 그런데 저자는 동학 또는 천도교를 신봉하는 종교인이 아니라 한 사람의 역사가로서 최시형과 그의 시대를 바라보았다.
세상을 구원하고자 애쓴 평민 지식인, 해월 최시형
최시형은 세상을 구원하고자 애쓴 평민지식인이었다. 알다시피 그때 세상에서는 계층, 성별, 나이에 따라 사람을 차별했다. 그런데 최시형은 차별을 세상의 고질병이라고 비판하였다.
“사람은 한울이라 평등이요 차별이 없나니. 사람이 억지로 귀천을 가리는 것은 한울님 뜻에 어긋나리라.”
그는 폭력이 사라진 세상을 추구했으니, “어린아이도 한울님을 모셨으니 때리지 말고 울리지 마옵소서.”라고 가르쳤다. 이런 가르침에 힘입어 훗날에 어린이날이 제정되었다. 또, 최시형에게는 아이뿐만 아니라 여성도 존중받아 마땅한 존재였다.
“부인이 남편의 뜻을 따르지 아니하면 정성을 다해 절하라. 온순한 말로 한 번 절하고 두 번 절하면 비록 도척盜跖 같이 나쁜 부인이라도 좋게 변하리라.”
요컨대 최시형은 가정폭력에 반대하며 부부가 화순和順을 바탕으로 평화롭게 살기를 당부했다. 최시형의 이상은 자급자족적인 소규모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었다. 지배도 사라지고 소유도 사라진 새로운 인간관계를 그는 열망했다. 이러한 그의 신념은 ‘이천식천以天食天’이라고 하는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달리 표현하면 인간은 지극히 존귀한 세상 만물의 도움으로 삶을 영위한다는 뜻으로, 최시형은 ‘생태 문명으로의 전환’을 추구한 셈이다. 그는 인간사회의 평등과 평화를 토대 삼아, 장차 우주 만물이 평등함을 인식하고 공존공영의 길로 나아가자고 주창하였다. 나는 그의 사상에 “만물평등주의”라는 이름을 붙이고 싶다. 나날이 어두워가는 19세기 말에 조선의 가난한 평민지식인 가운데 최시형과 같이 탁월한 사상가가 출현해 인류에게 희망을 선사했다는 점이 경이롭다.
최시형은 세상을 구원하고자 애쓴 평민지식인이었다. 알다시피 그때 세상에서는 계층, 성별, 나이에 따라 사람을 차별했다. 그런데 최시형은 차별을 세상의 고질병이라고 비판하였다.
“사람은 한울이라 평등이요 차별이 없나니. 사람이 억지로 귀천을 가리는 것은 한울님 뜻에 어긋나리라.”
그는 폭력이 사라진 세상을 추구했으니, “어린아이도 한울님을 모셨으니 때리지 말고 울리지 마옵소서.”라고 가르쳤다. 이런 가르침에 힘입어 훗날에 어린이날이 제정되었다. 또, 최시형에게는 아이뿐만 아니라 여성도 존중받아 마땅한 존재였다.
“부인이 남편의 뜻을 따르지 아니하면 정성을 다해 절하라. 온순한 말로 한 번 절하고 두 번 절하면 비록 도척盜跖 같이 나쁜 부인이라도 좋게 변하리라.”
요컨대 최시형은 가정폭력에 반대하며 부부가 화순和順을 바탕으로 평화롭게 살기를 당부했다. 최시형의 이상은 자급자족적인 소규모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었다. 지배도 사라지고 소유도 사라진 새로운 인간관계를 그는 열망했다. 이러한 그의 신념은 ‘이천식천以天食天’이라고 하는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달리 표현하면 인간은 지극히 존귀한 세상 만물의 도움으로 삶을 영위한다는 뜻으로, 최시형은 ‘생태 문명으로의 전환’을 추구한 셈이다. 그는 인간사회의 평등과 평화를 토대 삼아, 장차 우주 만물이 평등함을 인식하고 공존공영의 길로 나아가자고 주창하였다. 나는 그의 사상에 “만물평등주의”라는 이름을 붙이고 싶다. 나날이 어두워가는 19세기 말에 조선의 가난한 평민지식인 가운데 최시형과 같이 탁월한 사상가가 출현해 인류에게 희망을 선사했다는 점이 경이롭다.
목차
머리말 _ 005
서 장 평민지식인 해월의 역사적 사명 _ 013
제1장 해월이 헤쳐간 길 _ 047
제2장 해월의 깨침, 해월의 가르침 _ 121
제3장 해월을 따른 사람들 _ 171
제4장 해월과 갑오 동학농민혁명의 불꽃 _ 235
제5장 여주와 이천의 동학농민과 해월 _ 301
제6장 해월의 더욱더 새로운 가르침 _ 337
종 장 평민지식인의 미래 _ 385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