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물질적풍요"(으)로 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24174373

AI는 유토피아를 구현할 수 있는가 (물질적 풍요가 이루어진 사회에서 인간은 무엇을 하는가)

윤지석  | 퍼플
12,000원  | 20250904  | 9788924174373
“왜 인류는 아직 단일 문명으로 통합되지 못했는가?” 이 책은 이 질문에서 출발한다.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오늘날 세계가 여전히 분열과 갈등 속에 있다는 현실 때문이다. 인류는 생존을 위해 협력했고, 신념을 위해 분열했으며, 자본을 통해 번영을 추구했고, 정보로 서로를 관찰해왔다. 그렇다면 다음 단계는 무엇일까? 21세기의 인류는 이미 물리적 경계를 넘어선 연결을 일상화했다. 우리는 지구 반대편 사람과 실시간 대화를 나누고, 자본과 데이터는 국경을 쉽게 넘는다. 그러나 정치적 이해관계, 문화적 배타성, 경제적 불평등은 여전히 인류를 갈라놓고 있다. 스스로의 질문에 답을 해가며 나는 갈등과 분열에 대한 더 깊이 있는 매우 근본적인 태초의 원인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바로 인간의 ‘욕망’이었다. 그렇다면 욕망을 강제로 억압할 수 있을까? 아니다. 욕망이 억압 된 인간은 더 이상 인간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의 치열한 삶에 여유가 생긴다면 갈등과 분열을 감소시킬 수 있을까? 나는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물질적 풍요가 제공되는 사회’를 떠올렸다. 한마디로, 유토피아. 그리고 유토피아를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조건들을 상상하였다. **인공지능(AI)과 로봇**.
9788962624694

자본주의와 장애 (물질적 풍요에 숨겨진 차별과 억압의 역사)

마타 러셀  | 동아시아
15,300원  | 20221104  | 9788962624694
“더 나은 미래를 구축할 수 있다는 희망을 위해서라도 러셀을 읽어야 한다!” _애스트라 테일러(다큐멘터리 감독) 기득권의 착취와 배제에 맞선 자본주의 사회 속 장애인의 치열한 분투 자본주의의 발흥은 장애인의 입지를 급격하게 바꿔놓았다. 자본가 계급은 부를 축적하기 위해 장애인의 노동을 착취하는 동시에, 장애인들을 사회가 엄격하게 다루어야 할 집단으로 계급화했다. 장애인들은 시설에 격리되었고, 그들의 빈곤은 일상이 되었으며, 장애라는 개념은 심신 장애에 덧씌워진 사회ㆍ경제적 불이익을 지시하는 데 이용되었다. 『자본주의와 장애』는 자본주의와 장애의 관계를 통찰력 있게 사유했던 마타 러셀의 글을 엮은 것이다. 러셀은 자본주의 체제와 장애인 억압의 상관관계, 1990년대 미국 장애인법의 한계 등을 비판적으로 서술한다. 마르크스의 경제 개념, 노동이론을 장애인의 노동 조건과 결부하여 설명하고, 자본주의 체제에서 장애인이 약자로서 겪는 사회적 제약을 종합적으로 논한다. 자본주의의 배타적 특성, 그리고 집요하면서도 광범위한 장애인 불평등의 역사를 들여다본다.
9788993834482

물질적 풍요로부터 내 아이를 지키는 법 (‘풍요의 시대’에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이 꼭 알아야 할 양육의 지혜)

매들린 러바인  | 책으로여는세상
14,220원  | 20171120  | 9788993834482
『물질적 풍요로부터 내 아이를 지키는 법』은 부자병을 앓는 아이들을 다룬 책이다.. 부모 세대보다 더없이 풍족하고 많은 특권을 누리며 살고 있지만 더없이 불행해하고 공허감에 시달리는 아이들이 늘어만 가는 이유와, 이 아이들에게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아이를 어떻게 양육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이면서도 애정 어린 시선으로 알려주고 있다. 물질적으로 풍부한 우리 사회가 어떻게 해서 아이를 불행하고 공허함을 느끼게 만들고, 나아가 아이들의 자기 성장과 자아 발달을 막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대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부모 자신은 부유하지 않지만 자식만은 누구 못지않게 키우려고 애쓰는 한국의 수많은 부모들이 읽어봐야 할 책이다.
검색어 "물질적풍요"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