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세트] 꽃, 들여다보다 + 꽃, 마주치다 - 전2권](/img_thumb2/6000671436.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6000671436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2-02-15
목차
<꽃, 들여다보다>
동백꽃 _아리따운 안색에 절개까지 겸하고
동백이란 이름 | 백련사의 동백 숲에 가다 | 동백꽃 피니 동박새 울고 | 노란 동백꽃
수선화 _물 위로 걸어오는 선녀
황정견과 윌리엄 워즈워스 | 낙수의 여신 복비 | 청나라에서 전해온 꽃 | 제주의 수선화
매화 _고고한 산림처사
매화 시의 기원 | 달밤에 만난 매화의 정령 | 꽃이 능히 말을 하는구려 | 매화를 처로 삼고 학을 자식 삼아 | 도산에서 매화를 찾다 | 꽃이 밀랍으로, 다시 꽃으로 | 눈 속의 매화
해당화 _술에 취해 잠든 미녀
바닷가에 붉게 피는 해당화 | 양귀비가 술에 취했을 때 | 해당화의 서글픈 처지 | 한국 해당과 중국 해당
난 _군자의 덕이요 미인의 향이라
공자와 굴원의 난 | 우리는 언제부터 난을 재배했는가 | 추사 김정희의 난 | 꽃을 사랑하는 것은
연꽃 _진흙 속에서 나왔으나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무안의 백련을 찾아 | 연밥 따는 아가씨 | 영원한 시간 속에 피어 있는 연꽃 | 연꽃은 군자로다
목련 _나무에 핀 연꽃
목련의 다양한 이름 | 목련나무로 만든 배 | 분분하게 피었다 지네
진달래 _두견의 피울음에 붉은 꽃 흐드러지고
봄맞이 축제의 꽃 | 진달래 시의 효시, 최치원 | 두견이가 피어낸 꽃 | 달 밝은 밤 두견이 우네
복사꽃 _영원한 유토피아의 꽃
나의 살던 고향의 꽃 | 복사꽃 가득한 무릉도원 | 사람 얼굴과 복사꽃이 서로 붉게 비추었네
살구꽃 _청명절의 꽃
고대 동아시아의 중요한 과일나무 | 요염한 품격
배꽃 _달빛 속의 가인
달빛에 어우러진 배꽃잎 흩날릴 제 | 눈발인가 나비인가 | 금촌추에 대한 추억
모란 _부귀길상의 화중왕
화중왕의 유래 | 가인과 장부, 누구를 취할 것인가 | 이규보, 모란을 읊다 | 허련의 묵모란도
석류 _서역에서 온 손님
석류의 유래 | 철심장도 미간을 펴게 되네
벽오동 _봉황이 머무는 신령한 나무
중국 고서에 등장하는 오동나무 | 베어져 거문고가 되고자 하네 | 오동잎에 적은 시 | 가을을 알리는 나무
귤나무 _후황의 아름다운 나무
깊고 굳은 뿌리 | 중국에서 전해진 귤나무 | 귤나무의 수난사 | 조선 귤의 종류
치자 _꽃 중의 선우
세상에서 드문 존재 | 치자의 네 가지 아름다움
원추리 _근심을 잊게 하는 꽃
근심을 잊게 하는 신비한 약초 | 인자한 어머니의 꽃
접시꽃 _무당의 꽃
버림받은 꽃 | 위족규의 정체
옥잠화 _선녀가 잃어버린 옥비녀
옥잠화의 비범한 생김새 | 선녀가 떨어뜨린 옥비녀 | 보랏빛 꽃, 비비추 | 아직 피지 않았을 때를 보구려
배롱나무 _백 일의 붉은 놀빛
간지럼 타던 쌀밥나무 | 배롱나무의 여러 이름 | 명옥헌 붉은 꽃무리가 만들어낸 장관 | 매천 황현의 배롱나무 예찬
국화 _동쪽 울타리 가의 은일자
국화의 기원 | 중양절의 국화전 | 국화의 영원한 주인, 도연명 | 들국화의 정체
차나무 _열매와 꽃이 상봉하는 나무
무등산 춘설헌의 차밭 | 다도면 불회사의 야생 차밭 | 초의선사의 일지암 | 화개동 지리산 자락 차밭에서
대나무 _풀도 아닌 것이 나무도 아닌 것이
충신의 화신, 대나무 | 대나무의 붉은 반점 | 말 없는 죽부인 | 핏자국 선명한 대나무가 자라나 | 대나무가 열매를 맺으면
소나무 _나무의 제왕
지조와 영원의 상징 | 수염이 푸른 노인 | 소나무의 수난
버드나무 _이별의 징표
버드나무의 종류 | 버들 류, 머무를 류 | 장대의 버들 | 버들가지 꺾어 떠나는 님께 드리니 | 허공에 날리는 버들솜
벚꽃 _사쿠라에 대한 유감
일본의 벚꽃 놀이 | 조선과 중국의 벚꽃 시 | 우리의 벚꽃 문화
무궁화 _우리나라의 영원한 꽃
아리따운 미인의 얼굴 | 아침에 피어 저녁에 져버리니 | ‘무궁화’란 이름 | 우리나라의 영원한 꽃
<꽃, 마주치다>
들어가는 글
천상의 향기 서향화
서향화의 고향 | 강희안의 벗 서향화 | 천향의 국색
수로부인의 꽃 철쭉
신라 절세의 미인 | 서시에 비견되는 일본 철쭉 | 금과도 바꾸지 않은 꽃
이부인의 환신 오얏꽃
오얏에 얽힌 몇몇 이야기 | 이부인의 환생
형제의 우애 박태기나무
전씨 형제의 나무 | 박태기나무에 봄빛이 이르니
사철 피는 장미 사계화
동아시아의 장미 | 사시사철 피는 꽃 사계화
운향의 일사 찔레꽃
도미라는 이름 | 향낭에 넣어 간직하고픈 향기 | 요대에서 내려온 선녀 |옥빛 얼굴과 붉은 얼굴
꽃의 정승 작약
사랑과 이별의 정표 | 4500년 전부터 이어진 인연 | 꽃의 왕과 꽃의 정승 | 서시의 후신
| 푸른 소매와 얇은 비단 옷을 걸친 미인
미인의 입술 앵두
종묘에 바치는 열매 | 임금이 신하에게 하사한 과일 | 앵두 같은 입술, 버들 같은 허리
동장군을 이겨내는 인동초
겨우사리넌출 | 초야에 버려진 꽃 | 태양이 흰 꽃을 잉태하여 품으니
용이 변한 등나무
지팡이 나무| 오월의 보라색 꽃 | 조선에서 가장 등나무를 사랑한 문인
봉황의 화신 봉숭아
봉황이 내려와 꽃으로 피어나다 | 저 높은 산에서 봉황이 우네 | 손톱에 봉선화 물을 들이고
수놓은 둥근 공 수국
수를 높은 둥근 공처럼 피는 꽃 | 조선의 수국 | 수국과 불두화
닭의 벼슬 맨드라미
투계의 혼령 | 하얀 맨드라미와 양색 맨드라미 | 맨드라미의 별칭 후정화 | 스승과 제자의 맨드라미 시
새벽을 알리는 나팔꽃
나팔꽃의 별칭 | 직녀의 눈물 | 일찍 일어나는 것은 견우화를 보기 위해서라네
화중소년 패랭이꽃
석죽화는 소년이라 | 시골 노인의 꽃 | 비단옷에 핀 패랭이 꽃
부부의 금실 자귀나무
분노를 막는 묘약 | 정을 지닌 나무
천상을 꿈꾸는 능소화
연경에서 온 기이한 꽃 | 『시경』의 꽃 | 하늘을 찌르는 기상
정승 나무 회화나무
세 그루 회화나무와 아홉 그루 멧대추나무| 남가일몽 | 청운의 꿈
남국의 나무 파초
바나나 나무 | 파초 잎에 시와 글씨를 쓰고 | 파초 잎의 빗소리와 바람
궤안 위의 벗 석창포
단오의 상징인 창포 | 선비와 승려의 벗인 석창포
중앙아시아에서 온 포도
포도의 고향| 굳이 술을 빚을 필요가 있겠는가 | 열 말이면 한 고을을 살 수 있던 포도주 | 다산과 풍요의 상징| 바람에 흔들리는 흑수정들
이국의 신비한 과일 비파
중국 남방에서 처음 본 열매 | 살구도 아니고 매실도 아닌데
항아의 나무 계수나무
잃어버린 이름| 항아의 나무
건곤의 정기 금전화
금불초란 이름 | 하늘과 땅의 기운으로 빚어낸 꽃
서리 속에 피는 부용 거상화
부용꽃만 홀로 향기롭네 | 봄을 다투지 않는 꽃
양귀비의 열매 여지
망국의 열매 | 여지의 동래 | 여지를 먹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