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세트] 어른을 위한 그림 동화 심리 읽기 세트 - 전2권](/img_thumb2/6000672907.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6000672907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3-03-08
책 소개
목차
1권
●‘그림 동화’에 관하여
∝ 재투성이 ∝
●들어가는 글 _ 아름다움이 수치를 이기는 인간의 신비에 관한 동화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불안의 그늘에서 자라는 아이 - “병에 걸린 아내는 죽음이 가까워졌음을 알고……”
착한 아이 콤플렉스의 기원 - “사랑하는 딸아, 경건하고 착하게 살아야 한다.”
‘살아 있음’의 죄의식 - “매일 어머니 무덤에 가서 눈물을 흘렸습니다.”
고통 속에서 얻는 자긍심 - “아이는 화덕 옆 재 속에서 잠을 잤습니다.”
‘악한 계모’는 누구인가? - “당장 나가서 일하란 말이야, 이 부엌데기야.”
아버지는 왜 딸을 도와주지 않을까? - “아버지는 말을 타고 장에 갔습니다.”
‘먼지 속 왕녀’의 소망 - “재투성이는 무도회에 가고 싶어 울었습니다.”
재투성이에게 금지된 곳 - “사람들이 널 보면 다 비웃을 거야.”
슬픔을 지우는 해방의 춤 - “저녁이 될 때까지 재투성이는 춤을 추었습니다.”
재투성이는 왜 세 번 도망칠까? - “소녀는 재빠르게 왕자에게서 벗어났습니다.”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만남 - “이 사람이 진짜 신부입니다.”
∝ 가시장미 공주 ∝
●들어가는 글 _ 불안의 가시덩굴 속 죽음 같은 저주를 깨우는 사랑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완벽한’ 아내의 내밀한 불안 - “아, 우리에게 아이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실패한 남편, 사랑받는 아버지 - “딸을 얻은 왕은 기쁨에 겨워 어쩔 줄 몰랐습니다.”
나르시시즘적 부성애의 비극 - “황금 접시가 열두 개밖에 없었습니다.”
자라지 않는 아이 - “공주는 물레 바늘에 찔려 죽을 것이다.”
여성성에 대한 깊은 두려움 - “모두 깊은 잠에 빠졌습니다.”
방어와 불안의 가시울타리 - “왕자들은 성 안으로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잃어버린 여자를 찾는 왕자의 모험 - “그곳으로 가서 아름다운 가시장미 공주를 보겠습니다.”
만남과 치유 - “왕자의 입술이 닿자 공주는 눈을 떴습니다.”
∝ 라푼첼 ∝
●들어가는 글 _ 세상 끝, 마법의 성에서 부르는 그리움의 노래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사랑의 두 얼굴, 어머니와 마녀 - “라푼첼을 먹을 수 없다면 죽을 것 같아요.”
아버지가 사라져야 하는 이유 - “네가 어떻게 감히 내 라푼첼을 훔쳐갈수있지?”
라푼첼의 탑, 백설공주의 관 - “마녀는 아이를 탑 안에 가두었습니다.”
고독의 탑에서 부르는 노래 - “그때 너무나 사랑스러운 노랫소리가 들려왔습니다.”
마녀와 왕자, 둘로 나뉜 세계 - “머리칼이 내려왔고 왕자는 위로 올라갔습니다.”
추방당한 딸 - “사악한 아이 같으니라고.”
라푼첼 안의 마녀, 초자아의 처벌 - “너는 다시는 그녀를 보지 못할 것이다!”
사랑을 선택하는 용기 - “눈물이 왕자의 두 눈을 적시자 눈이 다시 밝아졌습니다.”
∝ 영리한 엘제 ∝
●들어가는 글 _ 자기 자신으로 돌아가는 길을 찾기 위하여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아버지의 소유물 - “딸을 가진 남자가 있었습니다.”
영리해선 안 되는 ‘영리한 엘제’ - “제 딸은 머릿속에 실타래가 있어요.”
아버지와 똑같은 남자와 결혼하는 이유 - “우리 이제 딸아이를 결혼시켜야겠소.”
처벌의 불안과 강박 - “아마 곡괭이가 떨어져 내 아이를 죽일 거예요.”
내면을 보지 못하는 남편 - “집안일을 하는 데 이 정도 영리하면 될 것이오.”
문제를 회피하는 구강기적 퇴행 - “곡식을 먼저 벨까, 밥을 먼저 먹을까?”
자기 밖에서 자기를 찾는 불가능한 여정 - “내가 엘제인가, 엘제가 아닌가?”
불안의 그물 풀어내기 - “엘제는 계속 걸어 마을을 떠났습니다.”
●주석
● 찾아보기
2권
∽ 손 없는 소녀 ∽
들어가는 글 _ 아이가 어른이 되는 험난한 여정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아버지는 왜 딸의 두 손을 자르는가? - “방앗간 뒤에 있는 것을 준다면 부자로 만들어주겠소.”
아무것도 원하지 않는 ‘착한 아이’ - “아버지가 원하신다면 제 팔을 자르세요.”
자기 존재를 찾아 나서다 - “소녀는 잘린 팔을 등 뒤에 묶고 떠났습니다.”
금지된 것을 위반하는 용기 - “소녀는 왕의 정원으로 몰래 들어갔습니다.”
소녀는 왕과 왜 헤어지는가? - “나는 그대를 버리지 않겠노라.”
비로소 진정한 왕비가 되다 - “왕은 7년 동안 아내를 찾아 헤맸습니다.”
∽ 백설공주 ∽
들어가는 글 _ 죄와 불안의 유리 감옥이 열릴 때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금지된 소망, 얼어붙은 삶 - “눈처럼 희고, 피처럼 붉은 아이가 있다면”
거울 앞에 선 나르시시즘 - “거울아, 거울아, 이 세상에서 누가 제일 예쁘니?”
어머니는 왜 딸이 죽기를 바랄까? - “왕비는 시기심으로 낯빛이 파랗게 질렸습니다.”
젊음에 대한 치명적인 질투 - “공주를 죽이고 허파와 간을 가지고 오너라.”
남자, ‘사냥꾼’ 혹은 ‘푸른 수염’ - “사냥꾼이 칼을 꺼내 백설공주의 가슴을 찌르려고 하자…”
움츠린 자아, 퇴행하는 정신 - “백설공주는 난쟁이들과 함께 머물렀습니다.”
처벌당하는 여성성 - “이리 와보렴. 네 허리를 제대로 죄어주마.”
유리 관 속의 공주 - “공주는 아주 오랫동안 관에 누워 있었습니다.”
왕자는 왜 죽은 여자에게 매혹되는가? - “백설공주를 보지 않으면 살 수 없을 것 같으니까요.”
안에서만 열리는 관 - “공주가 먹은 독사과 조각이 튀어나왔습니다.”
처벌하기와 용서하기 - “왕비는 죽을 때까지 춤을 추어야 했습니다.”
∽ 흰눈이와 빨간 장미 ∽
들어가는 글 _ 동화, 의식의 근원으로 가는 통로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어머니 대지’의 선한 아이들 - “한 아이는 ‘흰눈이’, 다른 아이는 ‘빨간 장미’라고 불렀습니다.”
불안과 분열 없는 성장 - “우리는 절대 헤어지지 않을 거야.”
내 안의 ‘곰’과 만나기 - “두려워하지 마세요. 저는 해를 끼치지 않아요.”
감시하는 초자아, 비난하는 난쟁이 - “난쟁이는 소녀들을 보고 소리를 질렀습니다.”
난쟁이를 구해주는 이유 - “이 돼먹지 못한 것들, 이 자랑스런 수염을 자르다니!”
털가죽을 벗는 왕자 - “황금 옷을 입은 멋진 남자가 나타났습니다.”
∽ 홀레 아주머니 ∽
들어가는 글 _ 불의의 세상을 견디며 사는 법
동화 읽기
심층심리학적 해석
악한 자의 행복과 선한 자의 불행 - “엄마는 못생기고 게으른 딸을 훨씬 더 사랑했습니다.”
죽었다가 삶으로 떠오르는 ‘해의 소녀’ - “꼬끼오. 우리 황금 아가씨가 돌아왔어요.”
게으름과 부지런함, 아름다움과 추함 - “소녀는 실을 너무 많이 자아서 손가락에서 피가 났습니다.”
자기 자신으로 다시 태어나다 - “소녀는 불안에 떨며 우물로 뛰어들었습니다.”
‘해의 소녀’는 왜 돌아오는가? - “집에 가고 싶어 슬퍼졌어요.”
게으름은 왜 악인가? - “역청은 게으른 소녀 몸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주석
그림.사진 해설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