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명/문명사
· ISBN : 9788901063317
· 쪽수 : 341쪽
· 출판일 : 2007-02-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세계관의 유형
1.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 휴머니스트적 세계관을 위하여
세계관 문제 / 우주관, 인간관, 윤리관의 기본 개념 / 세계관의 두 가지 유형: 목적론과 기계론 / 휴머니스트적 세계관
2. 도와 이성
- 동서 철학: 사유의 두 양상
'철학'의 개념과 동서 철학 비교의 논리적 가능성 / 동서 철학의 모체 개념: '도'와 '이성' / '도'와 '이성'의 개념 비교 분석
3. 동서사상의 한 비교점
비교와 우월성의 문제 / '직관적' 대 '합리적' / 볼 수 있는 '도' / 관심의 관점 / 철학가와 현인
4. 21세기 게놈 시대와 종교 문화
세계관으로서 과학과 종교 / 전통적 세계관가 관념론적 형이상학 / 과학적 세계관과 유물론적 형이상학 / 과학적 세계관에 대한 전통적 세계관의 저항과 그 한계 / 인간 게놈 프로젝트와 전통적 세계관의 붕괴 / 과학적 세계관의 승리의 의미 / 게놈 시대의 종교
5. 종교와 미래의 삶
- 사회학적 예측과 철학적 검토
문제 제기 / 사회학적 예측 / 문제의 철학적 분석 / 철학적 선택 / 과학의 종교적 반성
6. 동양 문화와 세계 문화
- 천 년의 문화 정체성과 새로운 밀레니엄의 전망
어째서 문화인가 / 문화 / 양식 원형으로서의 세계관과 동양적 세계관 / 유교.동양 문화의 본질과 특성 / 과학적 서양 문화의 동양적 인문화
7. 환경, 생태계, 자연의 올바른 개념과 세계관의 전환
환경문제의 심각성 / 환경, 생태계, 자연의 개념 / 환경문제와 세계관의 전환
2부 동서 문명의 대화
1. 기술 문명의 위기와 아시아적 대응
과학 기술과 그 합리성 / 과학 기술에 대한 두 가지 가능한 반응 / 아시아의 반응 / 과학자에 대한 인성 교육의 중요성
2. 뉴 밀레니엄의 문명 패러다임과 선
근대 문명의 패러다임: 인간 중심적 형이상학과 과학적 자연관 / 근대 문명의 패러다임 문제: 과학적 자연관의 맹점과 인간 중심주의의 허상 / 새로운 문명 패러다임으로서의 생태 중심적 세계관 / 생태 중심주의와 선불교적 세계관 / 과학적 세계관과 선불교적 세계관 / 문명의 전환과 세계관의 전환
3. 인류의 미래와 동양사상
인류의 미래 예측 / 현대 문명과 서양 사상 / 동양 사상과 미래의 문명 / 동도서기(東道西器)
4. 생태학적 합리성과 아시아 철학
이성의 위기 / 보평적 합리성의 허구 / 합리성의 재정의 / 성찰력으로서의 이성 / 생태학적 합리성과 새로운 이성 개념 / 아시아 철학의 특성 / 생태학적 합리성으로서의 아시아적 합리성 / 생태적 합리성으로서의 서양적 합리성 / 세계관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을 위하여
5. 서고 문화와의 만남
- 자서전적 성찰
6. 문명 간의 대화
문명의 개념 / 문명 간 충돌과 대화 단절의 역사적.논리적 사실 / 문명 간 대화의 역사적.논리적 근거 / 문명의 상대성과 보편성
7. 문화의 상대성과 보편성
- 문화 다원주의
서술적 개념으로서의 문화 다원주의 / 문화의 다원성 / 정치철학으로서의 문화 다원주의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21세기는 '아시아의 세계'라는 의식이 싹트기 시작하여 아시아권은 경제적 급성장과 함께 정치?군사적 발언권이 서구권에서도 점차 커지고 있다. 환경의식, 생태계의 파국에 대한 우려의 증가와 아울러 '아시아의 21세기'라는 생각은 경제,정치,군사적 차원을 넘어서 더 근본적으로는 사상적 차원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미 시효를 잃은 서양적 사유의 틀이 동양 사상에 의해 대체되어야 비로소 막바지에 봉착한 서양적 현대문명은 인류의 미래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