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04168033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2-05-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_ 글쓰기에서 길을 찾다
1부 목사는 왜 글을 써야 하는가? 6가지 초기값 설정
1. 글쓰기는 목사의 디폴트: 초기값
2. 글쓰기를 훈련하지 않는 것은 배임 행위다: 목사의 일
3. 목사의 레토릭, 점검이 필요하다: 설교 실패
4. 이전의 사실이 오늘의 편향일 수 있다: 선입견
5. 글쓰기는 목사의 시그니처 무브: 숨겨진 자산
6. 외로움에서 홀로 있음으로: 선택한 외로움
2부 목사의 글쓰기,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6가지 목표 디자인
7. 글쓰기는 자기 성찰의 질을 높이는 기술: 메타인지 향상
8. 글쓰기는 메타버스 시대 목회의 핵심 콘텐츠: 미래 목회
9. 글쓰기는 목회의 줄기세포: 목사의 인생 설계
10. 글쓰기는 트리비움 역량을 세우는 과정: 목사의 사고력
11. 글쓰기, 성장의 잠복기를 이겨 내라: 과정의 진보
12. 글쓰기는 영혼의 묵상이다: 영적 성장
3부 일상 글쓰기, 이렇게 시작하라! 6가지 일상 글쓰기 스트레칭
13. 생각을 말하다: 생각을 훈련하는 브레인스토밍 글쓰기
14. 정보를 더하다: 흘러가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 글쓰기
15. 느낌을 표하다: 희로애락을 돌아보는 감정 글쓰기
16. 의문을 탐하다: 신앙과 삶의 의문을 살피고 탐하는 타우마젠 글쓰기
17. 독서로 꿈꾸다: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 나누는 독서 글쓰기
18. 문제를 살피다: 세상을 돌아보는 이슈 글쓰기
4부 목회 글쓰기, 이렇게 지속하라! 6가지 실전 목회 글쓰기
19. 복음을 전하다: 말이 된 글, 설교 글쓰기
20. 정의를 내리다: 신앙의 질을 높여 가는 키워드 글쓰기
21. 질문을 던지다: 성경과 삶을 연결하는 성경 교재 글쓰기
22. 깊이를 더하다: 글이 된 신앙 고백, 기도 글쓰기
23. 교회를 세우다: 이웃을 사랑하며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 목회 서신 글쓰기
24. 양질이 통하다: 양의 글쓰기로 질의 글쓰기를 이루는 저널 글쓰기
에필로그_ 목사의 전성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하나님은 글 없이도 역사하시는 분이지만 자신의 뜻을 나타내는 데 글을 선택하셨다. 하나님은 말씀하셨고, 그 말씀은 글이 되어 오늘 우리에게 전해졌다. 은혜요 축복이다. 믿음은 들음에서 나지만 그 들음은 기록된 말씀의 선포로부터 시작된다.
목사는 글로 자신의 뜻을 전하신 하나님의 마음을 깊이 묵상해야 한다. 자신의 뜻을 나타내기 위해 글을 선택하신 하나님의 뜻을 헤아린 자로 사역에 임해야 한다. … 성령의 역사는 인간의 노력을 초월한 것이지만, 설교를 이야기할 때 글쓰기 없는 성령의 감동만 추구하는 것은 지혜로운 처사가 아니다. 1부 목사는 왜 글을 써야 하는가?
목사에게 글쓰기는 ‘히든 에셋’(hidden asset), 숨겨진 자산과도 같다. 보이는 설교를 통한 은혜는 보이지 않는 자리에서 기도와 깊은 묵상 가운데 써 나간 글이 설교가 되었을 때 가능하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 그렇게 우리에게 주어졌다. 하나님이 보이지 않는 자리에서 선택하여 부르신 이들을 도구 삼으셔서 글을 쓰게 하셨기에 오늘 우리는 은혜의 성경을 누리며 살아간다.
글을 쓴다는 것은 종이 위에, 컴퓨터 모니터에 글자를 담는 행위 이상의 의미가 있다. 우리의 눈은 쓰인 문자를 보지만 그것이 가리키는 방향은 인생 너머 영원한 하늘나라요, 우리를 창조하신 하나님의 마음이다. 목회자로 글을 쓰게 하시고 가르쳐 지키게 하는 사명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은 성취되어 왔고, 교회는 더욱 공고히 세워져 왔다. 1부 목사는 왜 글을 써야 하는가?
글은 자신도 알지 못하는 내면을 비추는 거울과도 같다. 글을 쓰다 보면 나도 알지 못하던 나 자신을 마주하곤 한다. 글은 말로 표현하기 힘든 내면을 담아내는 탁월한 그릇이다.
메타인지가 생각에 대한 생각이라 했던가. 글쓰기가 주는 선물 중 하나가 바로 메타인지력의 향상이다. 이전과는 다른 시각으로 나를 보고 나의 생각을 생각하게 된다. 그 과정이 지속된다고 생각해 보라. 누가 시켜서 하는 글쓰기가 아닌, 자신이 원해서 한 선택이라면 이 지속성이 가져다주는 변화는 내면의 성숙에 머물지 않는다. 나를 변화시키고, 변화된 존재로 이웃을 사랑하며 하나님의 나라를 세워 가는 존재로 쓰임 받게 된다. 2부 목사의 글쓰기,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